꿈꾸는 20대, 사기史記에 길을 묻다
사마천 지음, 이수광 엮음, 이도헌 그림 / 추수밭(청림출판)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저 : 사마천

엮음 : 이수광



이 책은 사기를 읽어 보겠다고 도전한 내게 처음으로 다가온 사기관련 책이다. 우선 도서관에는 정말 다양한 사기 관련 엮음 책들이 많았다. 사기 원전을 읽기에는 내가 너무 부족하다는 생각에 어느정도 정리가 된 엮음 책이 필요했고 20대에게 길을 알려줄 것 같은 이 책이 내겐 무난해 보였다.



이 책은 사마천이 지은 책 사기에서 사기열전 내용을 주로 다루고 있다. 인물들에 대한 이야기과 소개 그리고 관련된 고사성어, 배워야 할 점이 무엇인지 저자의 생각도 표현되어져 있다



수많은 인물소개와 내용에서 모든 것을 리뷰하기는 어렵지만 인상적이였던 내용을 간추려 보면 소왕이라는 인물이 범수라는 현자에게 지식의 가르침을 청한다. 범수는 이 청을 거절하는데 그 이유가 "결단을 내리지 않기 때문이다"라고 답한다. 이 부분은 우리가 살아가는 이 사회에서 배워야 할 내용이라고 생각한다. 지식을 알기만 하면 그것은 관념인데 실천을 해야 그것이 지식의 실행으로 완성이 될 것이다. 결단을 내리지 못하는 소왕에게 굳이 가르침이 무슨 소용이 있겠냐라는 범수의 말은 정말 공감이 되었다.



한신이라는 장수는 항우, 유방 밑에서 장군으로 지내며 나중에는 큰 대장군으로 성장하지만 젊은 시절에는 무뢰배에게 굴욕을 당하고 인정을 받지 못해 고생을 한 인물이다. 이 한신이라는 사람을 통해 젊은 날에 고생의 가치는 그 사람을 성숙하게 만들어 주는 밑거름이 된다고 한다. 사실 젊은 날의 고생이라는 너무 뻔한 이야기가 식상하지만 한신이라는 인물의 이야기는 자신의 현재 처지를 고민하지 말고 알아주는 사람이 없다고 한탄할 필요는 없다는 소리이다.



관중과 포숙의 일화도 이런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관포지교라는 말로 유명한 이 두 인물은 서로를 이해하고 인정한 사이로 유명한데 "나를 낳아준 사람은 부모이지만 나를 알아주는 이는 포숙이다"라는 관중의 말은 사람을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를 알려준다고 할 수 있다.



인상적인 관중의 말중 하나는 치도란 무엇이냐라는 질문에 민심을 얻는 것이라고 했고 민심을 얻기 위해서는 백성의 이익을 꾀하는 것이라고 했다. 백성의 이익을 꾀하기 위해서는 선정을 펼쳐야 하고 백성이 풍요로우면 국가가 풍요해지며 이는 국력이 올라가게 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왕에게 있어서 치도란 그렇게 시작되어진다. 우리가 사는 사회에서 필요한 이야기가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꿈꾸는 20대에게 사기의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서 읽기 쉬운 열전으로 풀어나갔지만 그 안에 들어 있는 내용은 결코 가볍지 않은 것을 보면 사마천의 사기는 분명 귀한 지식을 담은 고전이라고 생각된다. 20대에게 중요한 것은 마음가짐, 철학, 가치관의 형성이라고 생각한다. 부는 그 옛날에도 불평등했다. 부의 추구보다 지혜, 지식, 꺠닮음이 먼저 필요할 것이고 인생에 다양한 경험과 기회가 기다리고 있으니 새로운 것을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 책은 비단 20대가 대상이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인생에 중요한 가치와 기준을 정립해야 하며 그 정립에 필요한 비교를 역사 속 인물의 이야기를 통해 배울 수 있다고 본다.



나를 알아주는 이가 하나도 없어도 스스로 부족함을 알려고 노력하면 그 가치는 분명 빛을 발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