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수수의 습격 - 먹거리에 대한 통념을 뒤엎는 놀라운 기록
유진규 지음 / 황금물고기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 유진규

 

옥수수의 습격이라는 내용의 이 책은 주변 지인의 소개로 알게 된 책이다. 우리가 쉽게 일상속에서 받아들이고 있는 편견과 과학적 근거 없이 언론의 소개와 이야기로 받아들여져 굳어버린 관념을 깰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버터보다는 마가린이 몸에 좋다고 생각한다. 버터는 동물성 기름이고 마가린은 식물성 기름이니 몸에 훨씬 좋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버터만 먹고도 몸이 좋아진 사례가 있다. 이 사례를 시작으로 책은 시작된다. 이야기에 나오는 버터는 그냥 버터가 아니라 오메가 3가 풍부한 버터이다. 일반 버터와 다른 오메가 3가 풍부한 버터는 어떻게 해서 만들어 질까? 그 이유는 옥수수에 있다.

 

피딩랏이라는 축산 생산 공정에서 고기의 질 그리고 맛을 유지하기 위해 옥수수를 사료로 쓰게 된다. 옥수수 사료의 저렴성과 공급성이 이유가 되는데 옥수수를 먹고 자란 소들은 우유, 버터, 고기에서 오메가 3의 함량이 적어진다고 한다. 그런 고기를 먹고 사람들은 살이 찌고 지방이 쌓이게 된다는 것이 이 책의 주요 요지중 하나이다.

 

인간은 잔인하게도 고기를 먹는 욕구를 실현하기 위해 이런 생산 방식을 택하게 된다. 유사한 사례로 소가 송아지에게 먹이기 위한 우유는 원래 봄에 많이 나오게 된다. 여름에 풀을 먹기 위해 소는 송아지를 봄에 출산하는데 낙농업자들은 겨울에 우유를 공급하기 위해 송아지를 가을에 낳게 만들어 버렸다. 가을은 옥수수 수확철이다. 

 

결국 많이 먹어서 살이 찌는 요인보다 몸에 좋지 않은 음식이 더 살을 찌게 만드는 것이다. 오메가 3와 오메가 6의 함량이 균형을 이뤄야 올바른 먹거리이지만 현 고기 수요를 충당하기 위한 생산 방식은 가축에게 가혹하게 올바르지 않은 먹거리와 환경을 제공하고 우리는 몸에 좋지 않은 이 고기를 먹고 있다

 

공생이라는 단어가 있다. 함께 살아간다는 것은 풀과 동물과 사람이 함께 어울려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환경일 것이다. 음식도 그런 공생관계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책은 그런 공생 관계에 대한 생각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소를 풀을 먹여 키운다는 것은 현재의 생산성에서 30% 수준으로 떨어지게 된다. 결국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이런 공생에 대한 자각만 이뤄진다면 잔혹한 축산업도 바뀔 것이고 환경도 좋아질 것이다. 선택은 스스로의 몫이다.

 

이 책은 스스로 선택하기를 원한다. 하지만 먹거리에 대한 한 편견을 부수고 싶어 한다. 내가 먹은 이 고기를 위해 송아지는 빈혈상태로 크게 되고 파리보다 못한 짧은 인생을 살고 있다는 것을 아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