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지도 - 동양과 서양, 세상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선
리처드 니스벳 지음, 최인철 옮김 / 김영사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 리처드 니스벳

 

생각의 지도라는 제목의 이 책을 어떻게 해서 읽게 되었는지 아니 왜 내가 읽고 싶다고 생각했는지도 오래될 만큰 내 도서 List에 있었던 책이였다. 우선 흥미롭게 읽었다는 점과 내가 알지 못한 사고 체계와 인식의 세계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점이 마음에 든다.

 

우선 인간의 사고 체계 즉 논리적으로 추론하는 사고의 과정은 인간은 같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저자는 동양과 서양에서 즉 교육과 환경을 통해서 인간의 추론 방법과 행동이 바뀔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쓰게 되어진 책이다.

 

동양과 서양은 왜 이렇게 다른 추론 방식과 교육관을 가지고 있을까?

 

이 책은 그 다른 추론 방식을 하게 된 배경 그리고 그렇게 생각하게 되는 실험과 관련 논거를 보여주며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 하게 된다. 서양 문화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그리스 문화는 나라는 주체를 중시하며 논쟁을 즐겼다고 한다. 논쟁을 즐기기 위해서 상대방보다 지식을 높히기 위한 지식 추구 행위는 중요한 항목이였으며 이는 모순이라는 것에 집착하여 비모순 원리 즉 논리학의 발전이라는 결과물이 나오게 된다.

 

상대적으로 동양은 중국 문화에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되며 중국 문화는 관계 중시, 환경에 나를 적용, 적응하게 하며 통치자를 섬김을 중시한다. 개인의 자율성보다 집단의 자율성을 중시하고 논쟁을 피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즉 논쟁은 관계를 해친다고 생각하게 만드는 문화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다른사람의 의견에도 일리가 있다는 양보와 타협 그리고 조화를 중시하는 문화가 된다. 

 

생각의 지도는 이런 사고적 과정을 유발하는 일련의 문화적 차이, 그리고 사회가 요구하고 가치의 차이로 인해 사고의 과정이 틀려지게 된다고 말한다. 동일한 현상 동일한 사실에도 받아들이는 추론 과정과 결론이 달라지게 된다고 말한다. 예를 들면 십년동안 회사에서 근무했지만 현재는 역량이 떨어져 최근 성과가 부족한 사람을 회사에서 그만두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서양은 그만두어야 한다고 동양은 더 지켜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이는 부분과 분석을 중시하고 개인을 중시한 서양에서는 최근 성과라는 부분에 주목하지만 동양은 조화와 관계 그리고 다른 요인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추측하는 사고과정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이런 동양적 사고는 점쟁이 즉 미래를 두려워 하는 사고(그래서 점문화가 성행)를 가지고 있게 되며 상대적으로 서양은 현실이 만적스러우면 미래도 만적스럽게 생각하게 되는 경향을 가져오게 된다고 한다.  

 

물론 저자 스스로도 이 책의 한계에 대해서는 책에 기술하고 있다. 실험 결과과 결코 일반화 혹은 전체를 대변하는 대표성을 가진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하지만 동양과 서양인의 사고 과정의 차이 혹은 언어 구조의 차이등은 결코 인간이기에 같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환경과 교육, 문화등으로 차이가 발생 되어 질 수 있다는 점을 말하고 있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인간의 사고과정 그리고 환경과 교육 그리고 가치를 통해 인간이 생각하게 되는 인식과 결론이 틀려질 수 있단느 점을 기억해야 할 것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