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살 직장인, 책읽기를 배우다 - 지식에서 행동을 이끄는 독서력
구본준.김미영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 구본준, 김미영

 

두명의 기자가 쓴 책읽기에 대한 내용이 작성된 이 책은 서른살 직장인이라는 표현과 책읽기를 배우다라는 문장이 나를 읽게 만들었다. 독서를 열심히 해보겠다고 하고 있지만 내가 좋은 책을 읽고 있고 바르게 읽고 있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있었기에 나에 갈증을 채워주기에는 좋은 책이였다.

 

이 책의 특징은 책쟁이라고 불러질 만한 인물들에 대한 인터뷰를 기초하여 그들의 독서에 대한 의식과 방법 그리고 의견에 대해서 기술을 하고 있으며 추가로 그들이 가지고 있는 특징에 대해서 구분하여 쓰여져 있다. 마치 인터뷰를 진행하며 느꼈던 생각과 감정에 대해서 함께 기록함으로서 내가 마치 인터뷰를 하며 배우는 기분을 함께 느낄 수 있었다.

 

책읽기에 대한 중요성 부분에서 많은 공감을 느꼈던 부분은 독서를 하면 오히려 시간이 늘어난다고 하는 표현이였다. 쉽게 독서할 시간이 없어서 읽지 못한다고 많은 사람들이이야기하는데 오히려 독서를 하면서 생각이 촘촘해지고 감정이 순화되며 그로 인해 독서를 좋아하게 되고 좋아하는 독서를 위해 시간을 재조종하니 시간이 늘어나는 경험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주목할만한 대목은 특정 분야를 지정하고 그 분야의 스테디 셀러를 읽기 시작하고 그 관련 전문가 List를 작성하여 그들의 대표저서를 읽게 되면서 전문지식을 깊게 쌓을 수 있고 현재 Trend와 Issue를 구분하면 분야에 대한 깊은 지식을 결국 갖게 된다는 내용이다. 또한 소설 같은 비전문 소설에 대해서도 자기계발과 상관없이 감정순화를 가지게 되니 결국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효과도 함께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 소설 혹은 자기계발서와 같이 구분되는 성격의 책들도 결국에는 자기에게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자기계발서의 경우야 독서의 특성상 자기계발이니 도움이 되는 분야의 내용이 분명하며 이런 류의 책은 결국 답을 주는 책이라면 소설의 경우 질문을 주는 책이라고한다. 어떤 상황에 대한 소설의 표현은 질문을 던지면서 생각하게 되고 경험을 쌓게 된다는 것이다. 이 얼마나 독서의 중요성을 다시 알게 되는 순간인지

 

인상적인 내용을 보면 책을 읽기전에 저자의 의도 그리고 이 책을 왜 쓰게 되었을까라는 의문을 가지게 책을 읽어라는 부분과 저자의 논리에 쉽게 동화되는 경향이 있는데 관련 책을 여러권을 읽고 입체적으로 접근을 하는게 좋으니 처음은 개론서를 통해 탐색을 하고 용어를 초기에 먼저 읽게 되면 좋다라는 내용이다.

 

즉 지식을 다루는 직업은 현재 벌어지는 일을 분석하고 생각을 많이 할 수 있어야 하므로 역사와 철학을 읽어야 한다는 것이다.

 

정리하면 이 책은 역사와 철학의 중요성을 말하는 책이 아니라 독서라는 행위 자체에 대해서 중요성을 이야기하며 그 중요성이 가장 필요한 시기가 30대라고 이야기한다. 소설이든 철학이든 자기계발서이든 책은 무조건 읽어보자는 결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