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랭클린 익스프레스 - 길고 쓸모 있는 인생의 비밀을 찾아 떠난 여행
에릭 와이너 지음, 김하현 옮김 / 어크로스 / 2024년 9월
평점 :
내가 좋아하는 작가 에릭 와이너의 신간.
읽은지는 꽤 되었는데
기록은 미루다 미루다 지금에서 남긴다.
벤저민 프랭클린. 미국 건국의 아버지.
도무지 이 사람에 대해 아는 것이 없었다. 그런데 정말 많은 일을 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한 사람의 인생을 좇아 자신의 깨달음을 풀어내는 데 지겹지 않게 에릭 와이너의 필력이 좌우했다.
쓸모 있는 삶을 살고자 했던 프랭클린,
하지만 ˝지금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묻는 실용주의자가 아니라 미래의 가능성을 믿는 ˝가능성주의자˝ 프랭클린.
인간적인 프랭클린을 살펴보며, 위인 또한 한낱 사람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의사는 삶을 살리고, 교사는 삶을 빚는다는 말이 인상깊었다. 삶을 빚는 직업이라...
철학자이자 1960년대의 구루였던 앨런 와츠는 이 형이상학적미로의 출구를 제시했다. 더 이상 진정한 자기라는 환상 때문에초조해하지 말고 "진실한 가짜"가 돼라." 진실한 가짜는 사기꾼도 아니고 착각에 빠진 것도 아니다. 진실한 가짜는 자기 역할, 아니 역할들에 너무 깊이 몰입해서 배역과 사람, 가면과 얼굴이 하나가 된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어떤 종류의 가면을 쓰느냐가 아니라 그 가면이 우리 얼굴에 얼마나 잘 맞느냐다. 벤 프랭클린의가면은 그의 얼굴에 잘 맞았다. 그는 진실한 가짜였다. 프랭클린은 ‘마치‘의 철학을 지지했다. 자기 삶을 마치 좋다는듯이 살아가다 보면 삶은 어느새 정말로 좋아져 있다. 동료 인간을 마치 좋은 사람처럼 대하다 보면 언젠가 그들은 정말로 좋은사람, 아니면 적어도 더 나은 사람이 된다. 프랭클린이 자기 가면중 하나인 리처드 손더스를 통해서 한 말처럼 "보이고 싶은 모습이 있다면 제대로 연기해야 한다."
우리 둘 다 알게 되었듯이 이런 계속되는 도피는 헛된 노력이다. 우리는 자신이 태어난 곳을 절대 잊지 못한다. 고향은 우리 안에 남아 있으며, 시간이 흐를수록 존재감이 더욱 커진다. 어린 시절은 시간이라는 은은한 렌즈를 통해 바라보면 더 좋아 보인다. 1788년 여든두 살의 프랭클린은 "어린 시절의 천진한 기쁨"을 돌아보며 한번 더 고향을 방문할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 "보스턴사람들의 예의와 표현 방식, 심지어 목소리의 톤과 억양까지도전부 내게 기쁨을 주며 내게 원기와 활기를 불러일으키는 듯하다." 나와 볼티모어에 대해 말하자면 나는 지금도 볼티모어 명물인 게를 좋아하고 워터를 ‘워더‘라고 발음하며 볼티모어를 찾을때마다 만족스레 밀려드는 익숙함을 느낀다. 볼티모어는 지금 내가사는 곳에서 겨우 64킬로미터 거리에 있다. 고향의 인력은 우리 생각보다 더 강하다.
프랭클린은 그럴 일이 없으리라고 생각했다. 그는 도덕적으로완벽한 사람이 되기 위한 자신의 계획이 비교적 수월하리라 예상했다. "나는 옳고 그름을 알았으므로, 아니 안다고 생각했으므로 언제나 옳은 것을 행하고 그른 것을 피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프랭클린은 자신이 생각만큼 그리 덕 있는 사람이 아님을 깨달았다. "내가 생각보다 훨씬
•결점투성이 인간이라는 사실을 알고 깜짝 놀랐다." 정원의 잡초를 뽑듯이 끊임없이 미덕에 주의를 기울여야 했다. 한 가지 잘못을 없애면 다른 하나가 튀어나왔다. 잘못을 얼마나 많이 저질렀는지, 그의 작은 공책은 이내 검은 점들 때문에 구멍이 숭숭 뚫렸다(그는 이 공책이 다른 종류의 성경이라고 말장난을 했다[구멍이라는 뜻의단어 hole과 신성하다는 뜻의 단어 holy를 이용한 말장난옮긴이]). 프랭클린은 공책을 더 두꺼운 고급 종이로 바꾸고 "젖은 스펀지로 쉽게지울 수 있도록" 심이 더 부드러운 연필을 사용했다. 벤은 특히 두 가지 미덕에 고전했다. 하나는 질서였고 유난히힘들었던 다른 하나는 겸손이었다. 그는 "내가 이 미덕을 실제로습득했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습득한 것처럼 보이는 데는 꽤 성공했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