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을 찾아서 ㅣ 봄봄 아름다운 그림책 19
쥘리에트 소망드 지음, 이주희 옮김, 에릭 퓌바레 그림 / 봄봄출판사 / 2010년 6월
평점 :
사소한 것에 너무 신경 쓰느라 정작 중요한 것을 놓치고 사는 현대인들에게 경종을 울리는 책들이 많다. 아직 읽어보지 않았지만, ‘행복에 목숨 걸지 말라’는 역설적인 책 제목이 인터넷상에서 자주 눈에 띄어 목차를 훑어보니 사소한 것에 얽매여 큰 것을 잃는 어리석음을 범하지 말라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 사소한 것에 목숨 거는 사람들이 행복을 느끼는 순간 역시 사소한 것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으니 이 또한 아이러니다. 결론적으로 사소한 것이 인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엄청나다는 것, 그 사소함이 모여 일상이 된다는 것, 그 사소함의 가장 기본이 되고 자신의 울타리가 되는 것이 가족이라는 것을 깨닫게 해주는 예쁜 그림책,「행복을 찾아서」를 만났다.
‘조심의 나라’에 사는 행복하지 않은 소년 마누. 아무도 불행하지 않기에 수많은 사람들이 ‘조심의 나라’를 부러워하며 그 비밀을 캐내고자 했지만, 불행하지 않은 상태가 곧 행복이 될 수는 없다. 염려스러운 일, 모르는 일은 시작도 하지 않기에 사고도 없고, 실망도 없는 ‘조심의 나라’는 잘 맞물린 시계의 톱니바퀴마냥 그냥 그렇게 굴러갈 뿐이다.
어느날 밤, 옛날이야기를 들려 달라던 마누는 자다가 무서운 꿈을 꿀 수도 있기에 들려줄 수 없다는 할아버지의 말을 듣고 화가 났다. 이때 날아온 금조 한 마리. 자신을 낙원이라 소개한 금조는 행복을 찾아 떠나고 싶어 하는 마누의 마음속 이야기를 들었다며 함께 떠나자고 말한다.

금조가 날아간 방향을 따라 걷던 마누는 모래사장을 지나 큰 파도가 치는 바다를 건너 맛의 나라와 응석의 계곡, 얼음산, 기쁨의 골짜기 등을 지나며 여태 안 좋은 일이 일어날까봐 생각조차 하지 못했던 많은 일들을 경험하며 순간순간 ‘이곳이 행복의 나라가 아닐까?’하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모든 일들 속에 빠진 것이 있으니 바로 함께 느끼고 기뻐하며 나눌 수 있는 가족이다.
가는 곳마다 자신이 보고 경험한 신비로운 것들을 할아버지에게 엽서로 띄워 보내며 금조를 쫒아 곧 찾을 것만 같은 행복의 나라를 향해 가지만, 어느날 아침 귀에 익숙한 메트로놈 소리를 듣고 자신의 집에 가까이 왔음을 알게 된 마누는 자신이 그동안 얼마나 할아버지와 평소 누렸던 소소한 일상들을 그리워했는지 느끼게 된다.
이 책이 여기에서 끝을 맺었다면 감동이 덜했을 것이다. 피부로 느끼며 살지 못할 뿐 가족이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 모르는 사람들이 없기에 이러한 결말은 어느 정도 예상이 된다. 그러나 이 책속의 반전은 그동안 너무 ‘조심’만 하고 살아 인생의 즐거움을 몰랐던 마누의 할아버지가 그동안 마누가 보내왔던 엽서와 다시 돌아온 마누를 보면서 함께 모험을 떠날 수 있을 만큼 변화된 마음이다.
반짝반짝 빛나는 마누의 사랑스런 눈동자와 자애로운 할아버지, 두 사람이 함께 손을 잡고 길을 떠나는 모습만 보아도 이미 이들 곁에 ‘행복’이 찾아왔음을 알 수 있다.
나도 때로는 사랑하기에 남편이나 아이에게 하고 싶은 것을 막기도 하고, 때로는 반대의 것을 강요하기도 했는데, 남편과 아이의 ‘마음의 속삼임’을 잘 듣고 함께 하면서 행복할 수 있는 것을 찾아보고 싶다. 그러고 보니 ‘행복’의 열쇠는 뭐든 내 뜻대로 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의 뜻을 살피고 따르는 것이란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