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 앤 아트
김영애 지음 / 마로니에북스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ㅇ 한줄 리뷰
ㅡ 필연적인 패션과 아트의 콜라보


ㅇ What it says
ㅡ 세계적인 명품 브랜드들이 예술가와 협업하게 된 동기와 그 과정, 그리고 성공적인 결과물

ㅡ 아트 컬렉터, 이브 생 로랑
디올, 이 시대의 페미니즘 패션
루이비통, 혁신의 라이프 스타일
에르메스, 쇼윈도에서 가구까지
샤넬, 가장 유명한 여성 디자이너가 되다
프라다, 예술의 수호자
발렌티노, 패션의 스토리텔링
구찌, 뉴미디어 시대의 패션
펜디, 밈으로 되살아난 로마의 수호자
발렌시아가, 파괴를 통한 재창조
알렉산더 맥퀸, 패션계의 이단아
이세이 미야케, 디자이너에서 디자인 뮤지엄으로


ㅇ What I feel
ㅡ 명품에 대해 너무 몰라서, 이야기에 끼기가 어려워서 이참에 브랜드별로 특징을 좀 배워봐야겠다는 생각에 읽게 된 책이었는데, 책 날개의 저자소개에서 이미 기가 죽었다. 생각보다 이 분야에서 엄청 유명하고 성공한 분이라서. ㅎㅎ 역시 난 패션 문외한이었던게 맞았던게야. ㅜ

ㅡ 패션 문외한인 나도 이름은 익히 들어서 알고 있는 명품 브랜드들이 어떻게 예술가와 협업하는가를 다루고 있는 책이다. 그 와중에 브랜드의 탄생과 특징도 곁들여 알려주고.

ㅡ 발렌티노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피에르파올로 피촐리는 자신을 옷을 만드는 사람이 아닌 '영감을 주기 위한 매체를 만드는 사람'이라고 소개한다고 한다. 패션 디자이너가 아닌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미술작품을 통해서만 영감을 받는게 아니라 이제 매일의 패션을 통해 영감을 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래서 패션과 아트가 콜라보를 많이 하고,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는것! 패션 브랜드마다 패션쇼를 여는 특별한 장소가 있는데, 프랑스의 경우 대부분 미술관이라는게 그 예이다. 루이뷔통은 루브르, 디올은 로댕 미술관. 패션과 예술이 얼마나 맞닿아 있는지 알 수 있다.

ㅡ 나는 처음 알게 된 사실인데, 디자이너들이 브랜드를 옮겨다니는게 참 신기했다. 그전에 루이뷔통에서 디자인을 하다가 생 로랑으로 옮겨가기도 하고. 전부 다른 특색을 갖고 있는것 같고, 주된 디자이너에 따라 디자인이 달라질 것 같은데 브랜드를 옮겨서도 메인 디렉터가 될 수 있다는게 신기했다. 자신의 색을 펼치기보다는 그 브랜드의 정체성에 따라 디자인 하는건가aa

ㅡ 클래식 함 vs. 트렌디함. 당시 트렌디한 예술과와 협업하는게 영원함을 추구하는 명품과는 어울리지않는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계속 똑같은것만 추구해서는 도태되고 말것 같긴하다. 비교적 소수의 사람들이 누리는 명품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어쨌든 대중의 입맛에 맞아야하는 거니까. 가벼운 트렌디함이 아닌 그래도 예술가의 트렌디함과 함께 하는거니까.

ㅡ 나는 워낙에 이쪽에 감각이 없어서 잘 모르지만서도 서울 잠수교에서 열린 <루이비통 2023 프리폴 여성 패션쇼>는 진짜 감탄이 나왔다. 패션과 예술은 새로움과 창의력을 펼치기 좋은 분야이구나. 그래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라고 하는구나. 협업을 통해 무엇이든 시도해볼 수 있는 그 자유로움과 신선함이 부러웠다. 이런게 바로 우리의 영감이 되는거고.

ㅡ 뒤로 갈수록 나는 잘 모르는 브랜드가 나오기 시작한다. ㅎㅎㅎ 앞으로 구매는 못하더라도 ㅋ 관심을 가지고 새로운 인스퍼레이션을 받을 수 있도록 해봐야겠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정성껏 읽고 성심껏 작성한 리뷰입니다>

#패션앤아트 #김영애 #마로니에북스 #패션과예술의콜라보 #명품브랜드 #북유럽 #BookULove #도서리뷰 #옙베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