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집에 온 불량 손님 단비어린이 문학
한수언 지음 / 단비어린이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집에 온 불량손님


이 책을 펼치고 책을 읽는 동안, 


‘푸하하하 뭐야?’ 인어를 이렇게 표현한 책은 처음이다!


이제 까지 알아 왔던 인어는 잊어라.


대머리에 겨털이 무성한 할아버지 인어라니…


그것도 인성 파탄자인 막무가내 인어 할아버지. 


‘머리로 갔으면 좋았을 털들이 겨드랑이로 몰린 것 같았다’라는 내용이 너무 웃기다. 



엄마와 함께 살고 있는 세별이네 집에 변화가 생긴다. 


무뚝뚝하고 무서운 할머니와 같이 살게 된다는 것이였다. 


엄마와 다투고 바닷가에 나온 세별이는 바닷가에서 인어를 만나게 된다. 


그 인어는 우리가 생각하는 아름다운 인어가 아닌 대머리에 겨털이 무성한 할아버지 인어다. 


인어가 죽을까 걱정되어 집에 데리고온 세별이의 행동에서 순수한 마음을 느낄 수 있었다. 



할머니와 사이가 좋지 않아 힘들어하는 세별이에게 인어 팔복이는 진주를 통하여 할머니의 비밀을 엿볼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렇게 할머니의 비밀을 알아가면서 세별이는 용기를 내어 할머니에게 다가가게 되는 내용이었다. 



팔복이가 준 마지막 선물의 진주는 할머니의 미래를 볼 수 있는 진주였다.


나라면 그 진주를 어떻게 했을까? 사용했을까?


우리아이의 미래를 볼 수 있는 진주라니.. 나의 미래를 볼 수 있다니..


쉽게 버리지 못 할 것 같다. 



마법이 풀린 팔복이가 뒤도 돌아보지 않고 집으로 가는 모습은 여러가지 생각이 들게 한다. 


그동안 지내온 세별이와의 이별을 슬퍼하기보다는 집으로 어서 돌아가기를 택한다. 


슬플보다 기쁨을 선택하는 듯한 모습에서 많은 생각이 들었다. 


​#협찬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우별이 뜨던 날 단비어린이 문학
유하정 지음, 황여진 그림 / 단비어린이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4가지 단편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다.

첫번째 이야기는 <여우별이 뜨던 날>이라는 제목으로 새로운 가족이 생긴 도준이가 새로운 가족들을 못마땅하게 생각하고 불평 불만만 하면서 지냈는데

어느 날 수상한 할아버지를 만나면서 일어나는 이야기다.

할아버지는 왜 도준이가 잃어버린 고양이와 같은 트릿볼을 가지고 있고, 비슷한 상처도 있는걸까?

결국 할아버지의 정체는 나오지 않았지만 숨겨둔 보물을 보니.. 엉뚱하고 웃기다. 그 엉뚱한 보물을 찾느라 동생과 함께 고군분투한 주인공의 모습이 느껴진다.

두번째 이야기인 <굴러들어 온 알>은 정우가 키우는 새가 새로운 동생 덕에 밖에서 키우게 되는 이야기이다. 정우는 동생이 너무 밉다. 미운 이유는 엄마의 사랑을 빼앗아 간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아이의 이런 마음이 안스럽게 느껴졌다. .내 주변에 이런 아이가 있다면 나는 어떻게 대해야 하나?라는 고민도 들었다.

요즘 재혼 가정이 많아지면서 아이들이 이러한 감정들을 많이 경험 할 것 같다. 우리 아이들과 자라날 친구들의 삶이니 함께 고민해봐야 할 것 같다.

세번째 이야기 <넌 정말 유주>는 귀여운 느낌의 이야기였다. 나와 이름이 같은 공룡이라니! 신기하고 재미있을 것 같다. 내가 유주의 엄마여도 유주의 행동에 대해서 못 마땅할 것 같다. 요리는 불과 칼을 다루는 위험한 일이니 아이가 너무 어린데 하고자 하면 걱정이 앞설 것 같다.

네번째 이야기 <메탈콩이 나가신다> 양심과 욕심사이에 겪는 아이들의 마음이 잘 담겨 있다.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어른의 시선으로는 양심을 택해야 한다고 지도 하겠지만 아아의 시선으로는 욕심을 고를 것 같기도 하다.

네가지 이야기를 읽고 있으면 아이들에게 전하고 싶은 이야기를 하나하나 담은 작가의 마음이 느껴진다.

혼자라고 생각하겠지만 내 옆에는 누군가가 있다. 우리는 함께 고민을 나누기도 하고, 새로운 시도를 하기도 한다. 누군가가 내 옆에 있어주고 위로의 말을 나눌 수 있다는 것, 나는 나로 반짝이며 세상을 밝히고 있다는 것,

모두 각각의 빛을 지닌 별이라는 것을 아이들이 알아가길 바라는 마음이 부모의 마음 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하는 사람을 위한 MBTI - 탁월한 성과를 만드는 MBTI 직장 사용 설명서
백종화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협찬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뽀뽀뽀가 무슨 뜻이야? 햇살그림책 (봄볕) 52
신영희 지음, 황진희 옮김 / 봄볕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뽀'가 도대체 무슨 뜻일까?

좋다는 건가?

응?

그런가?

맞나?


7살과 5살인 아이는 리승의 말을 알아 들을 수 있을까?

왜 하필 그 많은 말들 중에 '뽀'였을까?

질문이 머리위에 뽁,뽁,뽁,뽁 떠오르는 책이다.

책 소개를 보니 어떤 내용일지 더욱 궁금해지기만 할 뿐이다.

귀여운 토끼와 다람쥐의 뽀짝스러운 이야기에 아이들은 하던 일도 멈추고 집중한다.

자신이 읽어 보겠다고 호기롭게 이야기를 읽기 시작하기도 하고, 마지막장에 써진 기호를 보고 직접 글을 써보기도 한다.

리승은 '뽀'로만 거의 이야기를 한다.

그래서 우사토는 리승의 말을 이해하기다 힘들다.

서로의 이야기를 알아 듣지 못하는 상황은 생각보다 많이 겪게 되는 것 같다.

해외 여행 갔을 때는 상시로 마주하고, 가까운 제주도에만 가도 외국인들로 붐벼서 많이 겪는다. 하지만, 그게 과연 국외의 이야기 뿐일까?

같은 나라지만 지방마다 사투리가 서로 달라서 지방 사투리로 이야기하면 서로 못 알아 듣는 일이 자주 있다.

그렇다고 우리가 대화가 안되느냐?

그건 아니다.

해외 여행에 가서도 언어는 잘 몰라도 눈 빛, 손 짓, 발 짓으로 소통을 할 수 있다.

사실 언어가 다르다고 못알아 듣는 경우도 있지만. 같은 언어를 사용해도 서로 못알아 먹는 일이 많다.

사춘기 아이와 싸우면서 이야기하는 부모나, 싸우는 부부들 등 다양한 사람들에게서 같은 언어를 하고 있는데도 서로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 떄가 있다.

서로의 생각을 내세우기만 하고 듣지 않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의사소통에 중요한 도구이기도 하지만 언어 만이 중요한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게 하는 책이였다.

책 속의 우사토는 말이 전혀 통하지 않은 리승에게 집중한다.

리승이 하는 이야기가 무슨 이야기 일까 궁금해하고

자신이 하는 생각이 리승이 전하고자 하는 말이 맞는지 리승에게 확인하기도 한다.

다른 사람의 생각을 궁금해하고,

내가 들은 그 사람의 말이 맞는지 그 사람에게 직접 확인하는 열린 소통 방식을 우사토는 하고 있다.

그래서 인지 리승은 우사토에게 마음을 열고,

저녁 식사 시간에 우사토를 위해서 토끼풀을 가져와 직접 주기도 한다.

그렇게 둘은 진정한 친구가 될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

#협찬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죄송해요 이별은 처음이라서요
한승완 지음 / 지식과감성#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죄송해요. 이별은 처음이라서요.

이 시집은 제목에서 처연함이 느껴진다.

홀로 남은 벤치가 쓸쓸함, 외로움을 보여주는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1부 지나가는 길에 잠시 노란벤치에 앉았다.

2부 나에게는 그대라는 다섯 번째 계절이 있습니다.

3부 제가 좀 서툴죠. 이별은 처음이라서요.

시를 읽는 동안

내 안에 내재되어 있던 소녀 감성이 살아 난다.

'아.. 나도 이렇게 가슴 절절하게 누군가를 사랑하고, 보고 싶어하고 그리워하던 때가 있었지.'

그때의 나는 어땠는지

그 시절 속으로 들어가 시를 감상해 본다.

누군가를 좋아하는 것 처럼 블랙홀에 빨려 들어가는 것 처럼 어쩔 수 없으며, 허락 받고 누군가를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는 이야기들을 들려주며, 사랑의 시작이 나 스스로 정할 수 없는 것이라는 생각이 드는 구절들이 많았다.

그러하면서도 나 자신은 소중한 사람이고 귀한 사람임을 끈임 없이 알려주고 있다.

이 시집을 다 읽고 나서

처음드는 생각은 연인간의 '사랑'보다는

엄마의 사랑, 부모의 사랑, 아이의 사랑의 느낌이 많이 들었다.


'너에게','밤하늘에 별 하나' 등 시 구절들이 유난히 아이 생각이 많이났다.

내 현실을 반영해서 읽게 되기 때문일까?

늦음 밤..

시집을 꺼내어 펼치고 구절 구절 음미하며 읽게 되면 분명 눈물이 나리라.

마음을 울리는 시 구절 구절들을 한 번 쓱~ 훑어 내릴 때도 감정의 변화가 잦았는데

읽으면 읽을수록 얼마나 많은 감정의 파도가 밀려올지..

시 안에 들어 있는 이야기는.. 결국 삶이라고 생각한다.

시 안에는 희노애락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어.

삶에서 느낀 설레임, 이별, 아픔, 슬픔, 위로 등이 담겨 있다.

그리고 그 안에 희망을 넣어 두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