괜찮지 않다고 외치고 나서야 괜찮아지기 시작했다
정순임 지음 / 파람북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15대에 걸쳐 400년을 한집에서 살아온 우복종가에서 나고 자란 연년생 오빠와 둘째로 태어난 딸의 이야기다. 그녀는 고향집에 귀환해 된장, 고추장 담그며 꾸는 꿈, 문화재로 등재된 고택에서 벌어지는 어머니와 딸의 갈등과 화해와 치유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저자가 집안의 둘째로, 딸로 태어나 받은 차별은 상처가 되어 힘들었겠다는 생각을 했다. 종갓집이라 먹을 것 입을 것 걱정 안할 것 같은데 집안의 어른들이 오빠와 다르게 대우 하는 것에 염증을 느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빠가 착하다고 했다. 상처는 곪아가서 이대로는 안되겠다 싶어 나이 오십에 가출을 감행을 한 것은 시도 때도 없이 바닥을 드러내는 자존감을 세우기 위함이었다.

 

괜찮다 괜찮다 하면 괜찮아질 줄 알았는데 나만 그런 것도 아니라고, 입 앙다물고 두 손 볼끈 쥐고 걸어왔는데, 괜찮아지지 않았다는 말이 왜 그리 공감이 되던지 책을 읽으면서 나도 모르게 눈물이 흘렀다. 남동생이 태어나던 날 자다가 안방에서 쫓겨났다는 것도 나도 막내동생이 태어날 때 셋방 살이 할때라 주인집에 가서 자라고 하면서 쫓겨났는데 마루에서 쪼그리고 있던 내가 생각났다.

 

우천할매와 할매 며느리 무섬아지매는 결혼하고 이혼하고 생각하고 싶지도 않았던 부산살이 저자의 손을 잡아주었다. 추억이란 이름으로 다시 들여다볼 수 있게 되었다. 열한 살부터 집을 떠나 대처에서 공부하다가 오십에 다시 귀향할 때까지 만만치 않았던 시간들을 견디게 한 것은 고향산천이다. 사랑 하나 믿고 식구들 가슴에 대못을 박고 혼전 임신으로 시작한 결혼 생활이 8년만에 끝이 나고 두 딸을 데리고 살아왔다.

 

형제들끼리 고향으로 모이자는 의견이 나왔고, 대대로 내려온 장 담그는 일도 배우고 여러 음식도 익혀 두어야 해서 안동과 상주를 오가는 두 집 살림이 시작되었다. 3년은 느긋하게 시골살이를 배우고 익히며 지내자는 생각이었다. 귀향하고 상표 등록을 하면서 엄마와 충돌이 잦았다. 떨어져 있으면 궁금하고 걱정되고 눈앞에 있으면 마음에 차지 않는 딸이라고 결론에 닿았을 때 가출을 실행했고 제주도 한적한 마을에 한달 살기를 하면서 글을 쓰기 시작한다. 걷고 울고 쓰고 또 썼다.

 

갱년기가 어떨지 상상한 적도 없다보니 자다가 식은 땀이 흐르면 일어나 앉아 나이 들어가는 육체를 마주해야 하고, 어떤 놈이든 걸리기만 해봐라. 이 시기가 모든 순간에 주인공이 되는 시기, 앗싸! 나에게도 드디어 갱년기의 시기가 도래했다. 갱년기가 다 똑같은 게 아니라는 사실을 공감하고 공감을 하게 되었다.

 

가족은 세상에서 가장 단단한 이름이자 사소한 일로도 순식간에 해체 될 수 있는 모래성 같다. 두 딸내미 손을 잡고, 결혼 밖으로 나온 그날부터 이십여 년 늘 폭풍우 속에 서 있던 저자를 품어준 고향과 부모 형제가 있어 고맙다고 표현한다. 저자가 아홉 살 때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엄마 나이 서른둘 나이에 종부로 네 남매를 데리고 살아온 삶이 말이나 글로 헤아려질 수는 없을 것이다.

 

저자의 고향집 당호 산수헌은 우복 정경세 종가이고 국가 민속문화재다. 25대 조부께서 진주에서 상주로 이거하셨고, 대를 이어 살고 있으며 고향집으로 터전을 옮긴 분은 15대 조부 우복 할배다. 삶의 형태가 바뀌는 데 따라 변화해온 것이다. 반바지를 입고 마루를 닦고, 들에 나가 직접 고추와 콩을 심고, 딸내미 우렁찬 목소리가 담장을 넘으면서 산수헌 사람들은 오늘을 산다고 말한다. 고택이라는 특별한 공간을 배경으로, 여성으로서의 생애와 감정을 담담하게 잘 풀어내고 있는 이 책을 덮으며 산수헌의 장맛이 매우 궁금해진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