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근거리는 고요
박범신 지음 / 파람북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박범신 작가가 데뷔 50주년을 맞아 산문집 [순례]와 함께 출판하였다. [두근거리는 고요]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 비교적 최근에 발표해 온 글이다. 신문이나 잡지에 게재했던 것, 팬클럽 와사등홈페이지 등에 쓴 소소한 것들을 모았다.

 

책은 저자가 고향 논산으로 내려간 뒤의 소소하고 의미 있는 일상들이 좋았지만 같이 늙어가는 아내 사랑이 돈독한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순서는 알 수 없으나 아내와 나는, 젊은 날 철없이 맹세했던 대로 곁에서 죽는 것을 지켜보게 될 날을 맞이하게 될 것이다. 시간이 얼마나 남아있는지는 알 수 없다. 굴절 많았던 세월 속에서 아내와 함께 이만큼이나마 지내 온 것은 전적으로 아내의 사랑이 나보다 깊고 넓기 때문이다.

 

설날이면 제자들이 세배를 오는데 아내의 건강문제로 떡국을 끓일 처지가 되지 못해서 논산으로 내려온 뒤 인터넷에서 떡국 레시피를 찾아보았다. 제자들과 장을 보러 갔는데 사모님은 꼭 표고버섯을 넣었어요.”말했다. 선생님은 매년 드셨는데 기억 안 나요? 오금을 탁 박았단다. 아내에게 미안하고 미안했다. 서울에 한 이틀 다녀오면 와초재에 비닐봉지를 놓고 가는데 누가 햇냉이를 캐서 선물로 주고 간 것이다. 향내부터 최고의 봄호사가 아닐 수 없다.

 

한 남자가 <당신>이라는 책을 들고 나타났다. 남자의 아내는 평생 일만 하다가 간경화로 죽었다. 아내는 저자의 책을 소일하며 읽었는데 남자는 작가 사인을 받아 아내 기일에 산소에 바치고 싶었던 모양이다. “우리는 얼마나 많이, 이 봄, 이 여름, 이 가을이 아니면 못 볼 꽃을 그냥 지나쳐 왔을까.” 책 날개에 <당신>에 나오는 본문 한 구절이 씌어 있었는데 남자의 회한이 문장에 닿아있다고 느꼈다. 와초재에 찾아오는 사람이 많아서 오픈 하우스를 열었는데 전국에서 많은 사람이 모였고 나중에 그날 만난 독자들끼리 팬클럽 와사등을 만들었다.

 

문학은 우리에게 아무것도 요구하지 않으며 아무것도 명령하지도 않는다. 그게 문학의 힘이다. 효용성이 주는 반인간, 반문화에 대해서도 효용성이 없으므로 그 결백으로 문학은 그걸 지적할 수 있으며, 그것은 현대문학의 의미 깊은 특권이기도 하다. 사람과 사람의 참된 만남, 참된 소통도 그럴 것이다.p71

 

저자는 반평생을 일벌레로 살았다. 15년여 동안 소설을 거의 사십여 권 가깝게 썼다. 연재소설을 한꺼번에 세 군데씩 쓸 때도 있었다. 일이 많으면 일에 치어 불안했고 일이 없으면 텅 빈 시간 때문에 불안했다. 빨아도 허기질 뿐인 엄마의 빈 젖을 빠는 기분이었다고 표현한다.

 

문화일보에 <외등>이라는 소설을 연재하다가 하루아침에 연재를 끊었고 절필 선언을 했다. 혼자 은둔해 있거나 유랑하는 시간이 늘어났다. 깊은 밤 헛것이 씌운 듯 혼자 헤매다가 죽을 뻔한 적도 있었고, 네팔 히말라야 오지에서 길을 잃은 적도 있었다. 다시 소설을 쓰기 시작했고 <흰 소가 끄는 수레>로 작가의 자리에 되돌아왔다. 절필하고 3년여, 1996년의 일이었다.

 

히말라야 지역을 매년 다녀오고 있다. 그곳에 가면 만년 빙하가 상징하는 초월적인 영원성을 눈으로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그곳 사람들의 소박한 삶이 오래된 기억들을 일깨워 첫 꿈을 되돌려 받는 듯한 내적 환희를 얻는다.

 

저자가 고교시절 가방을 든 채 가는 곳은 옥녀봉 발치 황산동 고수부지였다. 절대빈곤의 끝물이었으며 개발의 불꽃이 막 타오르기 시작한 연대였다. 길을 물을 곳은 책뿐이었다. 세계문학 전집부터 지식인 그룹이나 읽을법한 철학류 서적까지 마구잡이 독서에 빠져 살았다. 그곳은 우울한 소년이 지닌 자의식의 어두운 골방이기도 했고 그곳에서 도시락을 까먹으면서 종일 책을 읽었다.

 

이야기하는 바람이었던 거야 혼자 중얼거리기도 했다. 본래 산이 되고 싶었던 게 아니라 바람이 되고 싶었던 것이라 고쳐 생각하자 가슴이 확 열리는 느낌이 들었다. 그러나 바람이 되기에 너무 많은 걸 소유하고 있었다. 아내와 세 아이가 있었고, 이층집이 있었고, 60여 권에 달하는 저서도 있었고 수많은 독자도 있었다. 결코 바람이 될 수가 없었다.

 

히말라야 트레킹을 다녀올 때마다 걷는 원칙은 그것, ‘함께 걷되 혼자 걷고 함께 걷는다이라고 한다. 혼자 걷지만 함께 가고 함께 걷지만 혼자 가야 고독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의미도 낚는 인생을 얻을 수가 있다. 영원이든 신이든 행복이든, 따져보면 모든 게 사랑이라는 이름의 길로 통합된다. “사랑만이 가장 큰 권력이다!” 작가가 전하는 메시지인 것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