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를 위한 세계관 구축법 : 생성 편 - 마법, 제국, 운명 작가를 위한 세계관 구축법
티머시 힉슨 지음, 정아영 옮김 / 다른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소설, 영화, 게임에 바로 써먹는 아마존 베스트셀러의 창작 팁을 전하는 [작가를 위한 세계관 구축법]의 생성편이다. 저자는 어떻게 써야 한다에 관한 가르침이 아니라, 많은 독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이야기와 그러지 못하는 이야기에 관한 논의라고 할 수 있다. ‘해야 한다라는 명령을 하지 않았으며, 어구를 쓰더라도 비교적 가벼운 느낌으로 썼다. 현실의 문제를 처리하는 과정으로써 글을 쓰기도 했다고 서문에 밝혔다.

 

<해리 포터>, <스타워즈>, <아바타: 아앙의 전설>, <반지의 제왕>, <얼음과 불의 노래> 등 여러 장르의 명작들을 치밀하게 분석했다. 장이 끝나는 곳에 바쁜 작가를 위한 n줄 요약 코너가 있어 복습한다는 생각으로 읽을 수 있다. 다른출판사 포스트에 생성편과 구동편의 요약노트가PDF로 올려져 있어 글쓰기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프롤로그는 독자가 작품을 처음 만나는 부분이다. 작가는 독자에게 이 부분이 왜 필요한지 더욱 빈틈없이 따져봐야 하는데 없느니만 못하다면 쓰지 말라고 한다. 첫 장은 작가에게 일종의 시험과 같다. 미칠 만큼 쓰기 어렵지만 안 쓸 수는 없는데다, 독자가 들춰보고 계속해서 읽을지 말지 결정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인물들을 소개하고, 재미있는이야기라고 독자를 설득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첫 장은 설명을 제공하기보다 나중에 나올 설명을 위해 독자가 몰입할 수 있는 맥락을 쌓는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

 

상징을 이용하는 복선의 한층 효과적인 형태 중 하나로는 모티프가 있는데, 이때 상징은 대체로 이야기 전반에 걸쳐 반복적으로등장한다. 반복 덕분에 상징이 눈에 띄고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에는 노인을 자기희생의 상징인 예수 그리스도에 비유하는 구절이 반복해서 나온다. 다른 이들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희생하리라 암시하는 복선이라고 할 수 있다. 복선은 독자에게 앞으로 일어날 일의 흐릿한 형체를 보여줄 뿐, 정확히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는 알려주지 않는다. 그저 이야기의 긴장이 어디에서부터 생겨나는지 귀띔하라는 의미다. 복선은 독자에게 이야기를 안내해준다.

 

마법 체계에서는 판타지 이야기를 쓸 때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한 가지는 하드 마법 체계와 소프트 마법 체계 중 무엇을 도입할 것인가다. 마법 체계의 미학도 중요하지만, 이야기 속에서 갈등, 문제, 인물들의 상호 작용이 전개되는 데 무엇보다도 큰 작용을 하는 것은 마법 체계의 예측 가능성과 일관성, 그리고 한계, 약점, 대가다. 인물들이 거의 조절이 불가능한 수동적 마법 능력을 갖고 있으면 서사의 긴장을 더욱 쉽게 끌어갈 수 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전히 자신의 지능, 독창성, 그 밖의 각종 기술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이다.

 

작가가 창조한 허구적 사회가 무엇을 가치 있게 여기는지에 따라, 각자의 판테온 내에서도 더욱 중요하게 숭배받는 신이었을 것이다. 흔히 신생 종교라고 하면 도전받고 변화할 일이 적었을 것이라는 사실을 먼저 떠올리곤 하는데,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있다. 제국의 흥망성쇠를 다룬 세 개의 장은 트래비스 리 푹스의 도움을 받아 썼다. 그는 휴스턴 라이스 대학교에서 인류학, 이슬람교학, 르네상스 이전 역사학학사 및 중세 역사학 석사 학위를 취득한 뒤, 동 대학에서 청동기 문명학 박사 과정을 밟고 있다. 휴스턴 자연 과학 박물관 중동 유물 및 이집트학 큐레이터로도 활동 중이다.

 

역사 속 가장 웅장한 이야기들에 대한 스포일러를 하자면, 모든 제국의 끝은 몰락이라는 것이다. 혁명으로 무너지는 제국을 창조할 때는, 혁명에는 대개 오랜 기간에 걸친 경제 불안정, 문화적 분열, 정치 환경 변화가 선행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멸망의 길을 걷는 작중 제국을 그릴 때, 작가는 중앙 당국이 꼭 지니고 있어야 하는 힘, 그런데 잃고 있는 힘, 그 결과 영토 전반에 대한 통제력 약화를 초래하고 있는 힘이 무엇인지 생각해봐야 한다. 판타지가 아니어도 서사를 다루는 글에는 세계관을 펼치는 데 글쓰기의 기술이 필요한 시대라고 한다. 이 책이 자신만의 이야기를 쓸 때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요약노트를 많이 읽어보려고 한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