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모자를 쓴 여자 새소설 9
권정현 지음 / 자음과모음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인공 하민은 잠이 오지 않은 새벽 2시 무언가에 이끌려 베란다로 나갔다 헌옷수거함 옆에서 자신의 눈과 마주친 검은 모자를 기억한다. 흔히 볼 수 있는 종류의 맥고모자였다. 남자인지 여자인지 사람인지 확신할 수 없지만 그녀가 살고 있는 3층 베란다를 향해 미소를 지었다는 점이다.

 

새소설 시리즈의 아홉 번째이기도 한 소설은 현진건문학상과 혼불문학상을 수상하며 날카로운 상상력과 생생한 묘사로 흡입력 넘치는 작품 세계를 펼쳐온 권정현 작가의 세 번째 작품이기도 하다. 소설은 짧지만 흡입력 있고 스릴이 넘친다. 이 소설을 주로 새벽에 읽었는데 베란다를 내다 본다는 생각만으로 무서운 생각이 든다.

 

삶은 제 꼬리를 문 우로보로스처럼 과거와 현재가 맞물려 있는 것이다.p198

 

민은 평범한 가정의 부모 밑에서 4년제 대학을 졸업 후 도전한 공무원 시험에서 4년 연속 불합격을 하였다. 비오는 날 우연히 우산을 씌워준 인연으로 만난 남편과 결혼을 하고 이듬해 은수가 태어났다. 세 살이던 은수와 평소에 가던 약수터에서 자신의 부주의로 아이가 죽자 민은 자책하며 나쁜 존재가 아이를 앗아갔다고 생각한다. 더 이상 아이를 낳을 수 없는 부부는 무지라는 반려견을 입양하였다. 크리스마스 이브날 교회 앞에 바구니 안 담요에 싸인 아이와 까만 고양이를 발견하였다. 경찰에 신고를 하고 입양 절차가 까다로웠지만 아이와 고양이를 입양하기로 한다. 아이는 동수가 되었고 고양이는 까망이라 불렀다.

 

무지가 눈을 다쳐 실명하는 일이 생기고 까망이의 행동이 불길하였다. 검은 모자의 환영을 자주 보게 된 것도 그즈음의 일이었다. 수년 동안 쌓여온 공포와 불안이 그녀의 내면에서 바깥으로 튀어나와 하나의 형태로 마침내 존재를 드러낸 것은 아닐까. 남편은 병원을 가보라고 했고 의사와 남편은 민이 겪고 있는 증상이 망상장애라고 단정 지었다. 남편은 민에게 여행을 제안했다. 여행을 떠난 사이 집을 봐주던 친정엄마가 돌아가셨다. 민은 친구의 출판사에서 석 달동안 교정에 매달렸다. 자신이 여행을 가지 않았다면 엄마는 죽지 않았을 테고 동수를 입양하지 않았다면 엄마는 죽지 않았을 텐데 더 나아가 남편을 만나지 않았다면 ... 생각의 고리들로 민은 혼자만의 아픔이었다.

 

강박 장애가 심하고 그것이 망상을 만들어내고 자꾸 지우거나 잊으려고 하지 말고 현실을 인정하고 눈을 뜨고 바라보라고 했다. 가족을 잃는 것은 힘든일이다. 특히 아이를 잃었을 때의 부모 심정은 겪어보지 않고서 어떻게 알 수 있을 것인가. 어디까지가 현실이고 무엇이 허구인지 끝없이 의심케 하는 밀도 있는 전개는 읽는 독자들을 작품 속 세계로 끌고 들어간다. 범인이 누구이며 검은 모자의 실체는 무엇인지 모든 것이 주인공 민의 착각인 망상인지를 가리는 것은 아무도 알지 못한다. 책을 읽으면서 혼란이 오기는 했지만 나름 심리 환상극으로 최고이다.

 

이 소설은 처음과 끝이, 왼쪽과 오른쪽이, 위와 아래가, 과거와 현재가 구분되지 않고 동그라미 안에 뒤섞여 있다. 우리는 여전히 제 꼬리의 기원을 찾아, 제 꼬리를 물기 위해 살아가고 있지 않은가. 진실과 정의, 시대와 역사, 슬픔과 기쁨, 잠깐 스치는 인연들, 나아가 우리 삶이 이럴 것이다. <저자의 말 중에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