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집행관들
조완선 지음 / 다산책방 / 2021년 2월
평점 :
[집행관들]은 띠지에 쓰인 글처럼 속이 시원했다. ’갑질 세상에 대한 통쾌한 복수가 시작됐다.‘ 검찰, 사법부, 정치권, 언론을 망라하는 대한민국 공조 카르텔, 이제 법의 이름으로 처단하지 못한 악질들을 철저히 도려내기 위해 집행관들이 나섰다.
역사적 모티브와 경탄할 만한 상상력을 연결해 흥미진진한 역사 추리소설로 탄생시켜 온 조완선 작가가 대한민국의 사회상을 저격한 현대 사회 미스터리로 독자들을 다시 찾는다. 베스트셀러 [외규장각 도서의 비밀]로 ‘교양 문화 추리소설’의 패러다임을 새로이 제시하고, [제6회 롯데 시나리오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하는 등 영화처럼 생생하고 독창적인 작품으로 독자들을 만족시켜온 작가다.
역사학자 최주호 교수는 고교 동창 허동식의 전화를 받았다. 생존해 있는 유일한 친일파 노창룡에 관한 자료를 부탁했다. 허동식은 다큐멘터리 감독인데 작품 구상에 쓴다고 했고, 25년 만에 나타난 동창의 부탁을 외면할 수도 없고 어려울 것 같지도 않았다. 며칠 후, 노창룡이 살해되었다는 소식이 연일 보도된다. 현장에 남아 있는 것은 일제강점기의 고문 도구들과 피해자의 등에 새겨진 숫자들뿐이다. 최주호가 보낸 잔혹한 고문 자료가 살인 수법으로 그대로 이용되었다. 최 교수는 원치 않게 살인 사건에 연루되었음을 직감한다. 고문수법에 관한 기사를 내보낸 신문사에 찾아간다.
수사팀의 우경준 검사는 노창룡의 사체 등에 숫자의 비밀을 풀어보면서 용의자들은 법을 불신하거나 법에 의해 깊은 상처를 받은 자가 가담했을 것이라 생각한다. 두 번째 희생자는 조선시대의 형벌을 사용하였다. 인터넷이나 시민들의 반응은 범인들에게 우호적이었다. 잔혹하고 엽기적인 살인 수법에는 관심이 없었고 민족정기에 방점을 찍었고, 사회 정의에 초점이 맞춰졌다고 했다. 이런 현상을 한 심리학자는 ‘분노의 대리만족’이라는 표현으로 여론을 분석했다.
칼럼을 쓰는 것으로 분노를 대신하려고 했다. 나라를 거덜낸 종자들이 제 잇속만 채워도, 그들이 특별사면을 통해 면죄부를 받아도 속절없이 지켜봐야만 했다. 자신에게는 인간쓰레기를 단죄할 권한이, 그들을 응징할 수단이 없었다. 기껏해야 좀 더 자극적인 어휘를 골라 칼럼을 끼적대는 게 전부였다. 그것이 자신만의 분노를 표출하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허동식은 달랐다. 손에 피를 묻혀가며 직접 몸과 행동으로 보여주었다.p167
배동휘, 안희천, 정윤주, 윤민욱, 엄기호, 양세종, 이기호, 북극성, 허동식 등은 A와 B팀으로 구성되어 각자 역할 분담을 했다. 집행관들의 공통점은 분노와 상처가 있었다. 권력형 부패 사건을 다루는 사회부기자, 부패정치인과 비리 공직자를 공격하는 역사학 교수, 항명 사건으로 옷을 벗은 전직 특수부검사 출신의 변호사, 국방부 비리사건을 폭로한 퇴역 군인, 하나같이 부패와 비리에 맞서는 인물들이었다. 이들은 친일파, 부패 정치인, 악덕 기업인. 이 땅에 존재해서는 안 될 종자들만을 골랐다. 그러나 살인의 정당한 이유가 될 수는 없다.
부정부패를 저지른 인간들, 그런 악행을 저지르고도 이들은 여전히 거리를 당당하게 활보하고 있지 않나. 오히려 부와 영화를 대물림해 주면서 잘 살고 있지 않은가 말이야. 이런 인간들을 어떻게든 응징해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법의 심판을 받을 수 없다면 다른 방법을 써서라도 대가를 치르게 해주고 싶었지. 노교수의 말처럼 법이 제대로 집행되었다면, 피해자들이 처참한 최후를 맞이하지는 않았을까. [집행관들]을 처음 펼치자마자 술술 재미있게 읽었다. 분노와 자존심이 맞붙는 날카로운 심리묘사와 이어지는 반전은 통쾌하지만 한편은 씁쓸한 마음이 들었다. 소설은 ‘집행은 멈추지 않는다’로 마쳤는데 2권이 나올 것 같은 예감이 든다.
조금이라도 ’집행관들‘의 순수한 열정을 헤아린다면, 적폐들과의 전쟁 속에서 그나마 위로가 되지는 않을까. 정말 그들의 바람대로 세상이 바뀐다면, 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작가의 말)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