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어 - 김주영 장편소설 문학동네 한국문학 전집 5
김주영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시대 대표적인 이야기꾼 김주영의 [홍어]는 열세 살 세영의 성장소설로 시적 상징과 묘사를 통해 한 폭의 그림 같은 아름다운 작품이다. 세영은 유부녀와 정을 통하고 집을 나가버린 아버지를 기다리며 어머니와 단둘이 살고 있었다. 밤새 내린 눈이 툇마루를 덮었고, 문짝 사이로 펼쳐진 설국의 세계가 시선을 사로잡는다. 밤사이 열여섯 살 된 낯선 계집 하나가 부엌으로 숨어 들었다. 회초리를 맞아도 당찬 성격에 지쳐버린 쪽은 어머니였다.

 

식구로 거두기로 정하고 삼례라는 이름을 지어준다. 부엌 문설주에 매 달아논 홍어가 보이지 않았다. 홍어는 숙회나 찜을 해서 먹는데 아버지가 홍어찜을 좋아했다. 홍어는 부재하는 아버지의 별명이기도 한데 삼례가 먹었거나 없어졌던 것이다. 음력 보름 부터 겨울 내내 가오리연을 띄우며 살았다. 삯바느질로 가계를 꾸려나가고 있었지만 많은 창호지 옷본들 중에서 새로운 연을 만드는 어머니의 표정은 너무나 진지하였다. 그것이 떠돌이 생활을 하고 있는 아버지에게 던지는 어머니의 화두였다는 것은 훨씬 뒷날에야 깨달았다.

 

오년 전 아버지가 집을 떠난 이후 이웃의 남정네들과는 철저한 단절을 두었고, 아낙네들끼라도 야단스러운 교류를 하지 않았다. 소모적인 감정 발산을 최대한으로 절제하는 이면에는 남편으로부터 외면당한 모멸감이 자리잡고 있었다. 옆집 남자가 춘일옥에 부인과 아버지가 불미스러운 일을 벌여 거리매질 당하지 않으려고 야밤 줄행랑하게 된 이야기를 해준다. 어머니는 삼례가 춘일옥 작부들의 일감을 가져온 것에 혼을 낸다.

 

삼례는 어머니가 자신에게 매질을 하는 것은 한풀이라고 말한다. 세영은 바람이 불지 않아 연을 날리지 못하고 돌아갔을 때 어머니의 우울한 얼굴이 눈에 선하게 떠오른다. 살아 있는 새를 잡겠다고 남의 집 굴뚝에 새집을 건드려보기도 하였다. 삼례는 고무신을 돌려 신어 두 사람의 발자국을 세 사람의 발자국으로 만들 수 있는 지혜를 가졌다.

 

자다 말고 나가는 삼례를 미행하다 몽유병이라는 것을 알았다. 어느 날 삼례의 지갑이 두둑한 것을 알고 채근하였다. 삼례는 자전거포에서 일하던 청년과 함께 집을 나가버렸다. 그녀의 소굴이었던 담구멍의 고무신 한 켤레도 보이지 않았다. 홍어포가 걸려 있었던 부엌 문설주에는 씀바귀 한 묶음이 대롱대롱 매달려 있었다.

 

아버지가 떠난 지 육년째가 되었고, 삼례도 떠나고 고즈넉한 산골 마을에 한 낯선 사내가 찾아와 종적을 감춘 삼례의 간곳을 대라고 위협한다. 어머니는 돈을 주어 달래자 가끔씩 마을 방천둑과 소택지 부근을 배회하곤 하다 여름이 되자 사라진다.

 

겨울, 옆집 남자는 삼례가 술집 색시가 되어 읍내에 나타났다고 귀뜸한다. 세영은 혼자 읍내를 헤매다가 삼례를 여러 번 찾아가 만난다. 어머니가 삼례를 불러내어 그동안 아버지를 찾기 위하여 모아둔 고액이 돈을 쥐여주고 멀리 떠나라고 하였다. 흡사 삼례를 대신하듯 삼십대 초반의 여자가 아이를 업고 나타났다. 며칠 지나 차표를 끊으러 나갔다가 돌아오지 않았다. 아버지의 소생이라며 호영이라 이름을 지었다. 어머니가 호영이를 애지중지 돌보는 것에 질투를 하여 수탉이 옆집 누룽지가 잡아 먹은 것을 모른체하였다. 아이까지 생겨 일손이 모자라 창범이네를 부른다. 세영은 옆집 남자와 창범이네가 그렇고 그런 사이라는 것을 목격한다.

 

세영이 삼례를 그리워 하는 대목은 환상인지 몽유병인지 꿈인지 애처러웠다. 미스 민에게 받은 삼례의 주소가 적힌 쪽지를 담구멍 속에 감추었다. 발길이 끊긴 외삼촌이 찾아오고 춘일옥 남자와 화해하고 아버지가 돌아온다고 하였다. 집안을 정돈하고 어머니의 얼굴에는 홍조가 가득했다. 6년 만에 만나는 아버지의 한마디는 세영이 사팔눈은 아직 고치지 못했군.”(p301)모든 몽환의 날개를, 누룽지가 수탉의 날개를 요절대고 말았듯이 깡그리 물어 비틀어버리고 말았다.

 

눈이 소복하게 쌓인 곳에 고무신 발자국을 보았지만 들어왔던 발자국이 집밖으로 나간 흔적은 없었다. 담구멍에 삼례의 주소가 적힌 쪽지가 없었다. 나는 떠나간 어머니 때문에 절망적인 동요를 느끼지는 않았다. 마지막 장면이 희망적이다. 어머니는 아주 떠난 것이 아니라 아버지를 돌아오게 한 삼례를 데리러 간 것은 아니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