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우스트 러시아 고전산책 5
이반 세르게예비치 뚜르게녜프 지음, 김영란 옮김 / 작가정신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파우스트는 작가정신에서 펴낸 러시아 고전 산책 시리즈이다. 결혼한 여인에 대한 한 남자의 사랑과 파멸을 예술적으로 그려낸 투르게네프의 자전적인 작품으로 섬세한 심리묘사가 탁월하다. 고전은 두 번을 읽어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실감했다. 이반 투르게네프의 대표작 세 번의 만남, 파우스트, 이상한 이야기가 수록되었다.

 

세 번의 만남

주인공은 사냥을 하러 글린노예 마을을 자주 가곤하였다. 마을에 한 저택에서 이 년전 이탈리아 소렌토에서 보았던 여인을 보게 된다. 여인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아름다웠기 때문에 문지기 루키야느이치는 누군지 모른다고 하였다. 다음 날 여인과 어떤 남자가 말을 타고 지나가고 있었다. 남자에 대한 질투를 느끼며 이름이라도 알아내려 했지만 다시 만나지 못했다. 몇 년이 지나 페테르부르크 가면무도회에서 우연히 여인을 만난다. 소렌토에서 만난 여인이었고 여인의 말을 통해 연인과는 헤어졌고 버림을 받았다는 이야기를 듣는다. 여인은 주인공에게 꿈처럼 나타났고 다시 꿈처럼 곁을 스친 뒤 이제 영원히 사라졌을 뿐이다.

 

파우스트

중편 [파우스트]는 파벨이 친구에게 보낸 9통의 편지 내용이다. 파벨은 9년만에 고향으로 돌아온다. 어느 날 대학 동창인 프리임코프가 이웃에 살고 있으며 그의 아내가 젊은 시절 좋아했던 베라 니콜라예브나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베라는 어릴 때 아버지를 잃게 되었다. 베라 어머니는 베라를 엄격하게 교육시키며, (예술)에 의한 강렬한 정열의 각성을 두려워하고 예술 작품과는 담을 쌓은 채 살아간다. 그녀가 어리기도 했지만 역사나 자연과학에 해박한 파벨과는 어울리지 않는다며 그녀의 어머니 반대로 헤어지게 된 것이다. 그런 베라에게 파벨은 괴테의 [파우스트]를 읽어준다. 파벨이 낭독을 마쳤을 때, ‘하인리히!라는 마지막 말이 울려 퍼졌을 때, 독일인, 프리임코프는 즐거움에 대해 감사하기 시작했다. 그녀에게 마음에 안 드셨나요?” 물으니 그 책을 빌릴 수 있나요?” 되물었다. 베라는 파우스트적 세계에 눈뜨게 되고 정신적 행복을 누리는 듯 보였다. 그러나 죽은 어머니 유령이 베라 앞에 나타나고 베라는 병에 걸려 죽고 만다.

 

펜을 놓으며 한마디만 하겠네. 최근 몇 년 간의 경험에서 난 확신 하나를 얻었어. 인생은 농담이나 오락이 아니라는 것, 인생은 유희조차 아니라는 것.... 인생은 힘겨운 노동이라는 것. 금욕, 끊임없는 금욕, 이것이 바로 인생의 숨겨진 의미요, 인생의 수수께끼를 푸는 열쇠라네.p153

 

이상한 이야기

(H)는 십오 년전 T***현의 어느 도시에서 머물면서 지주인 지인과 그의 큰딸 소피를 만난다. 호텔에 묵으면서 하인을 통해 바실리라는 청년을 만나는데, 이 청년은 어떤 죽은 사람을 만나고 싶으면 보여주는 신비한 능력이 있다. 가정교사를 만나보고 싶다고 하니 그의 모습이 보였다. 귀족회의실에서 열린 무도회에서 소피와 대화 중 바실리에 대해 이야기를 하게 된다. 소피는 믿음의 시작은 자기희생, 자기비하를 실천해야 한다고 말한다. 2년 뒤 소피가 가출했다는 소식을 듣게 되고, 여관에서 우연히 바실리와 소피를 만나게 된다. 바실리는 순례자가 되어 있었고 소피는 신의 인간의 모습인 그를 스승으로 모시고 있었다. ’는 교양 있고 젊고 부유한 아가씨가 자신의 모든 것을 버리고 그렇게 떠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 가족이 소피를 집으로 데려왔지만 오래 살지 못하고 숨을 거둔다.

 

도스토옙스키, 톨스토이와 함께 러시아 3대 문호의 한 사람으로 꼽히는 투르게네프는 젊은 시절부터 괴테의 [파우스트]에 몰입했고, 러시아의 번역본에 대한 논평이 담긴 논문을 발표하였고 11년 뒤에는 중편 [파우스트]를 발표한다. 이 책은 욕망과 희생, 사랑의 본질을 아름답게 그려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