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처럼 책을 보고 책을 쓰다 - 차별화된 기획을 위한 편집자들의 책 관찰법
박보영.김효선 지음 / 예미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글을 쓸 수 있지만 저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 언젠가 내 책을 쓰고 싶다는 마음이 있어서일까 글쓰기 책을 가끔 읽는다. 이 책은 현업편집자가 저자가 되고픈 이들을 위한 책보기기술을 전해준다. 저자가 되려면 책 보는 방법부터 달라야 하고 책을 읽지 말고 보라고 한다.

 

원고를 투고했으나 거절당해 본 경험이 있는 예비저자라면 도대체 뭐가 문제지?”라고 한 번쯤 생각해 보았을 것이다. “어쩌면 원고가 아니라 기획이 문제라고 말한다. 기획이 좋은데 원고가 부족한 경우, 문장이 거칠고 구성이 약하다면 편집자들은 어떻게 수정해야 할 지를 고민한다. 편집자라면 누구나 좋은 저자를 발굴하고 싶어 한다.

 

저자가 책을 쓰는 사람이라면, 편집자는 빛나는 기획을 완성시키는 최고의 조력자다. 편집자들은 책을 읽지 않고 본다. 차별화된 상품을 만들기 위한 편집자의 기획법이다. 책을 쓰고 싶다면 자신의 강점 콘텐츠가 무엇인지 찾아보고 시중의 도서들을 분석해 이전과는 차별화된 기획을 해야 한다.

 

이 책에서 말하는 책읽기는 일반적인 의미의 독서가 아니라 책보기’, ‘책 관찰이다. 시중에 나왔던 책을 소개하며 예를 들어준다. 예비저자들은 자신의 강점 콘텐츠를 표현할 줄 알아야 하기에 기존 도서들의 책 제목, 부제, 카피를 꾸준히 관찰하길 추천한다. 제목을 잘 지어서 베스트셀러가 된 책들도 있는데 많은 분야에서 늘 입버릇처럼 하는 말로 제목을 짓는 구어체로 된 제목이 공감하기도 쉽다.(~지쳤거나 좋아하는 게 없거나, 박막례, 이대로 죽을 순 없다)

 

 

 

모든 사람이 책 쓸 필요 없지만, 책쓰는 기술은 모두에게 필요하다. 덧붙이는 말로 책을 쓴다고 베스트셀러 저자가 되진 않지만, 책을 쓰고 난 후 성장하는 저자가 많은 편이라고 말한다. 목차 쓰는 법, 원고를 잘 쓰기 위해 알아야 할 것들, 대화체를 살리면 읽는 맛이 좋아진다. 도서와 논문 참고자료를 잘 활용하면 도움이 되지만, 잘못 사용하면 표절이라는 평가를 받을 수 있다. 내 책에 맞는 출판사 고르는 법, 출판의 종류 등 궁금한 내용이었는데 자세히 알려준다.

 

추천사가 책 판매에 도움이 될 거라고 기대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그럼에도 추천사가 있으면 좋은데 저자들이 간혹 생뚱맞은 사람에게 추천사를 부탁하는 경우가 있는데 친분을 고려하여 책의 콘텐츠와 무관하게 의뢰를 하는 것인데 신중하게 고려하는 게 좋다. 저자 소개글에는 저자의 매력이 충분히 담겨 있어야 한다. 전문성, 솔직 담백하게 담아내는 것, SNS 활동을 하는 내용, 강연 활동을 하는 강사라면 그 내용도 좋다.

 

표지글은 책의 성격을 알려 주는 최초의 글로 편집자가 작성하고 머리말은 저자가 작성한 글이다. 목차는 독자나 저자에게 중요하다. 예비저자들은 기존 도서의 목차를 최대한 많이 보는 게 좋다. 최소한 30~40권 이상 목차를 살펴보길 추천한다.

 

 

 

내 원고에 애정을 가진 출판사를 만나 계약하는 것은 참 행복한 일이다. 출판사를 만났다고 가정하고, 저자에게 질문하는 것들을 정리하였다. 하루 한 페이지 읽는 습관과 함께 읽는 것을 권한다. 메모의 중요성과 필사를 추천한다. 필사를 하게 되면 논리적인 글 구조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서평은 궁극적으로 생각하고 표현하는 힘을 키우기 때문에 서평 쓰기를 생활화할 것을 권한다.

 

어렵고 불편한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에서 나도 실천을 하고 있다는 생각에 기분이 좋아졌다. 온라인 독서카페에서 두꺼운 책 읽기, TV에서 방영하는 요즘 책방:책을 읽어 드립니다. 책장에 묵혀 두었던 책 읽기 책장 파먹기도서를 읽고 있기 때문이다. 읽기와 쓰기는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똑같은 책을 읽더라도 내가 어떻게 읽느냐에 따라 깊이와 가치가 달라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