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부하기가 죽기보다 싫을 때 읽는 책 - 지루함을 못 참는 이들을 위한 맞춤형 공부법
권혁진 지음 / 다연 / 2019년 9월
평점 :
지루함을 못 참는 이들을 위한 맞춤형 공부법

세상에는 두 종류의 사람이 존재한다. 원래부터 공부의 지루함을 잘 참는 사람과 지루한 것은 무엇이든 못 참는 사람이다. 전자가 대체로 공부 잘하는 사람에 속한다. 저자는 후자라고 한다. 공부하기가 싫을 때 읽는 책이라 제목에 끌렸다. 나는 공부하기 싫어한 적이 없었고 찢어지게 가난하여 공부가 하고 싶어도 못했던 것이다. 나이 먹어서 만학을 하려니 많이 힘들었다. 공부는 때가 있다라는 말을 절실히 실감하였다.
원래부터 공부의 지루함을 잘 참고 견디는 사람들은 굳이 이 책을 보지 않아도 된다고 하는데 이미 읽는 중이라 되돌릴 수 없다. 무조건 양으로 승부하는 시대는 끝났다. 양보다는 질, 집중과 효율을 강조하는 시대다. 여전히 공부라고 하면 어딘지 모르게 불편하고 하기 싫은 대상으로 여기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다.
서울대생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공부벌레에 가깝다. 저자가 서울대를 다니며 느꼈던 것은 그들도 일반 학생들과 차이가 없다. 어느 집단이든 수업 태도나 성적 기준으로 상위, 중간, 하위 집단이 생긴다. 공부를 잘하는 것보다는 친숙하게 느끼고 좋아하는 감정을 갖는 것이 장기적으로 인생에서 더 중요하다. 공부를 별로 안 했는데도 우수한 성적을 받았다는 친구의 말에 그와 나 자신을 비교하지 마라.
공부를 꾸준히 잘하는 사람들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변명이나 핑계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공부하기에 앞서 꼭 길러야 하는 것이 회피하지 않는 태도다. 핑계를 대기 시작하면 아무리 공부를 싫어하지 않더라도 진척이 없다.
책상이 싫으면 책상 앞에 앉지 마라. 남들과 다른 나만의 공부 장소를 찾아라. 자신이 좋아하는 최적의 공부 환경부터 찾아라 등 일반적 개념에서 벗어나는 부분이 많다. 스터디 카페에서, 침대에서 공부를 해도 좋다. 공부를 하다가 졸리면 억지로 하지 말고 잠시 졸든지 자고 일어나서 하라고 한다.
장소를 바꿔주면 뇌가 지루함을 잊는다. 밥 먹을 곳을 정할 때도 마찬가지다. 오늘은 패스트푸드점에서 햄버거를 먹었다면 내일은 오늘과 다르게 분식집에 가고 싶은 것이 사람 심리다. 저자의 공부 활용법은 스터디 카페에서 공부하고 집에 와서 공부를 했다. 밖에서 공부하는 것이 여의치 않다면 집에서도 장소를 바꾸자. 자기 방에서 공부하다가 거실로 나와 할 수도 있다. 자유롭게 스터디 노마드가 되라. 조용한 곳에서 고도의 집중이 필요한 날과 약간의 음악이 흘러나오기를 원하는 날 등 그날 컨디션에 따라 다른 곳에서 공부할 수도 있다.
저자가 30대 중반에 두 번째 수능을 준비할 때 자주 들었던 노래들은 지브리 애니메이션 OST였다. 잔잔한 음악은 공부의 지루함을 달래주는 좋은 친구였다. 공부라는 것은 간식처럼 가볍게 생각해야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대개 머리가 맑을 때 할 수 있는 공부는 새로운 개념을 습득하거나 빠른 독해 등이다. 두뇌 회전이 느려졌을 때는 이미 획득한 정보를 반복하여 기억하는 데 활용하는 것이 좋다.
세상에 없던 새로운 비법 노트에 적어야 할 내용은 자기가 두 번 이상 반복적으로 틀리는 부분이다. 만약 두 번 이상 틀리는 것이 많아서 적을 것이 너무 많아진다면 세 번 이상으로 올려도 된다. 즉,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항들을 적는 게 아니라 내가 자주 틀리거나 잊어버리는 것들을 적는 거다.(P141)
공부 자극을 위한 네 가지 대표 유형
첫 번째 보상을 통한 자극이다.
두 번째 벌칙을 통한 자극이다.
세 번째 스스로 동기부여를 하는 방식이다.
네 번째 매사 의욕이 없는 사람들에 대한 내용이다.
저자는 보상과 동기부여를 주로 활용하지만 각자 자신의 성향에 따라 적합한 방식을 취하면 된다. 구체적인 내용은 사람마다 또 달라질 수는 있다. 부록으로 나만 몰랐던 잘못된 공부 습관 개선법도 나만의 공부법에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