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한다고 상처를 허락하지 마라 - 나를 아프게 하는 것들에 단호해지는 심리 수업
배르벨 바르데츠키 지음, 한윤진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많은 사람들이 사랑이라는 말에 속아 상처를 허락한다는 것이다. 이 책은따귀 맞은 영혼,너는 나에게 상처를 줄 수 없다저자 배르벨 바르데츠키의 심리 수업이다. 독일의 심리학자로 40년간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상처를 치유해왔다. 책에는 가상의 인물 소냐와 프랑크 두 사람의 관계에 대해 만남과 헤어짐을 심리학 관점으로 풀어 놓았다. 인간 관계 때문에 고민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치유해주는 좋은 책이 될거 같다.

소냐의 유년 시절은 엄마의 이른 죽음으로 의지할 대상이 없어졌다. 엄마의 유언은 아빠와 동생을 부탁하고 혹 새엄마가 생겨도 끼어들지 말고 잘 해주라는 당부였다. 아빠와 관계는 서먹하여 딸을 사랑한다는 느낌을 받지 못했다. 친할아버지에게 성추행을 당해도 혼자 속앓이를 하다 독립을 한다. 헤르베르트를 만나 결혼을 하지만 둘 사이는 대화가 없고, 집안일은 온전히 소냐 몫이었다. 남편은 출장이 잦았고 컴퓨터에서 늘 일만 하는 등만 보였다.

 

어린 시절 상처받고 치유할 기회를 놓친 아이는 성숙한 어른으로 성장하지 못한다. 누군가가 상처를 살짝 건드리기만해도 혼자 버려질까 봐 두려운 마음이 슬며시 고개를 든다.”

 

온라인 매칭 사이트에서 프랑크를 만났다. 온라인상에서는 상대를 속이고 자신을 포장하기도 하는데 프랑크가 그런 인물인지 몰랐다. 결혼을 유지한 상태로 달콤한 유혹에 이끌려 두 사람은 가까워졌고, 소냐는 이혼을 결심한다. 프랑크는 이혼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새 집을 얻어 살림을 합치면서 소냐의 꿈은 하나씩 깨져간다.

 

소냐와 프랑크는 마음보다 성적으로 먼저 가까워져서 진정으로 친밀도를 높이는 데 걸림돌이 된다. 로맨스 중독, 연애 중독자들인 것이다. 연애 초기에 프랑크는 파렴치한 행동을 보였는데 인지하지 못했다. 가령 저녁 초대를 해놓고 소냐에게 더치페이를 요구하고, 아내를 나쁘게 욕하면서 부부 싸움에서 입은 상처를 거침없이 드러내고 결혼하자마자 아내를 배신했다. 바람을 피우고 싸움을 할 때 물건을 던지고 아내에게 손찌검을 했다는 이야기를 거침없이 해댄다.

 

나르시시즘에 빠진 남성은 상대 여성이 이별을 원하는 것을 극도로 두려워한다. 따라서 사전에 그런 일을 방지하기 위해 위협과 협박을 일삼는다.(중략) 이런 유형의 남성은 여성에게 주로 금전적인 제재를 가하거나 커리어를 망가트리겠다고 협박하기도 한다. 심지어 명예를 훼손하겠다고 위협하기도 한다.p227

 

소냐는 전 남편 헤르베르트의 나르시시즘에 빠진 남성을 경험했다. 과시하는 행동으로 자신의 부족함을 보상받으려 하지는 않았지만 부정적인 방식을 따랐다. 결혼 할 때까지 부모의 과보호 속에서 살았고 떨어지기 싫어하는 아이처럼 자란다. 감정을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정서를 가지고 있다. 나는 소냐의 마음이나 행동이 끊고 맺음이 잘 안되고 우유부단한 성격이고 분통 터지는 장면이 있을 때는 읽으면서 답답하였다.

 

나르시시즘이란?

자신이 리비도의 대상이 되는 정신분석학적 용어로, 자기애(自己愛)라고 번역한다.
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에 반하여 자기와 같은 이름의 꽃인 나르키소스, 즉 수선화(水仙花)가 된 그리스 신화의 미소년 나르키소스와 연관지어, 독일의 정신과 의사 네케가 1899년에 만든 말이다. 자기의 육체를 이성의 육체를 보듯 하고, 또는 스스로 애무함으로써 쾌감을 느끼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한 여성이 거울 앞에 오랫동안 서서 자신의 얼굴이 아름답다고 생각하며 황홀하여 바라보는 것은 이런 의미에서의 나르시시즘이다.
[네이버 지식백과]나르시시즘 [Narcissism] (두산백과)

 

프랑크는 소냐와 자식과의 만남을 단속하고, 입는 옷들에 간섭하고, 크게 소리치며 격분했고, 부정적인 말들만 골라서 모욕했다. 정작 본인은 오피스텔에서 생활하면서 경제적인 도움은 받지 못한 채 주말에만 왔다가 사라지는 것이다. 싸우고 난 다음날은 울면서 사과하고 그러기를 반복하였다. 둘 사이가 파경을 맞을 즈음 소냐는 심리치료를 받는다. 상담 선생님은 소냐와 프랑크가 나르시시즘에 빠진 관계를 맺고 있고, 프랑크가 그녀를 망가뜨릴 거라고 조언 했다.

 

나르시시스트는 둘만의 오붓한 생활을 꿈꾸며 이상향을 그린다. 두 사람이 함께 느끼고, 생각하고, 체험하며 항상 같은 걸 바라는 이상적인 생활, 하지만 실제로 사랑할 때 마주하는 현실은 소망과 상당히 다르다. 상대와 계속해서 주도권 다툼을 하고, 자신이 원하는 대로 상대방이 따라줘야만 관계를 지속한다. 아무리 사랑하는 사람이라도 제멋대로 행동하는 건 용납하지 않는다. 이런 사랑에서는 서로 다른 두 사람이 하나가 되어야 한다. 하나가 된다는 건 우유와 블랙커피를 섞어 카페라테를 완성하는 것이다.p274

 

쉽게 자책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의 응원이 필요하다. 누군가가 호감을 느끼고 다가와 함께 앞날을 걱정해주는 것만으로도 그들의 자존감은 높아진다.”

 

이 책의 형식은 독특하다. 한 연인 관계의 시작과 끝을 소설처럼 흥미진진한 이야기로 풀어놓고, 심리학자인 저자가 각각의 장면마다 필요한 코멘트를 남기는 식이다. 각 인물의 행동과 심리를 매우 솔직하고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있기 때문에, 독자는 생생한 현장감을 느끼며 이 이야기에 몰입하고, 결국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객관적인 시선에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