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사를 꿰뚫는 질문 29 - 고종 즉위부터 임시정부 수립까지
김태웅.김대호 지음 / arte(아르테) / 201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한국 근대사를 꿰뚫는 질문 29

 

책이 나온 배경은 온라인 공간에서 시민들과 만나고 소통하는 팟캐스트 <역사탐구생활>이 출발점이었다. 김태웅, 김대호 공저이기도 하고, 고종이 즉위한 1863년부터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된 1919년까지, 50여 년의 기간을 책에 담았다. 올해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주년이 되는 해에 책이 출간되고 우리가 이 책을 읽을 수 있다는 거에 감사한다. 책을 읽으면서 일본의 만행에 대한 글에 분노할 때도 있었다. 다시는 이런 아픈 역사가 생기면 안 되겠다는 생각도 해 보았다.

 

 

이 책은 29가지 질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챝터 끝날때마다 이것만은 꼭해설을 달아 놓았다. 1장 홍선대원군, 개혁가인가 망국의 원흉인가?로 시작된다. 조선왕조의 전통은 국왕이 후계자 없이 사망할 경우 왕의 친척 중에서 왕위 계승자를 선정하고 왕의 아버지에게도 특별한 지위가 필요해서 대원군이라 불린다. 고종이 나이가 어려서 조대비가 수렴청정을 하지만 실제로는 홍선대원군이 정책을 결정하였다. 홍성대원군의 대명사는 쇄국덕분에 망국의 원흉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

 

저자는 갑신정변과 김옥균의 평가를 두고 역사적 인물을 평가할 때는 당시의 역사적 맥락을 고려하면서 복잡하게 사고할 필요가 있다. 우리 각자가 긍정과 부정의 이분법으로 쉽게 평가될 수 없듯이, 김옥균과 같은 역사적 인물도 한 면으로 단순하게 평가 될 수 없다. 그래서 역사가 어려운 거 같다. 그 시대를 살아보지 않아서 뭐가 옳은지 그른지 판단을 할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1894년에 있었던 농민들의 항쟁에 수많은 이름이 불려졌는데, ‘동학란’‘동학 무리의 난’‘동학변란’‘동학당의 난으로 불리다 1960년대에 들어와 동학혁명이라는 단어로 쓰였다. 그래서 4.19 혁명, 5.16 혁명으로 부르게 되었다.

 

갑오개혁의 4기에 을미개혁은 왕비가 시해되는 비극이 실시되고 단발령이라는 충격적인 사건이다. 옛날에는 상투를 틀어서 조선 사람임을 증명하는데 단발을 하는 것은 조선인의 정체성을 훼손하는 것이기도 하다. 서울 사대문에서 가위를 든 순검들이 문안으로 들어와 선비와 상인들의 발길이 끊겨 서울의 물가가 치솟을 정도였고, 머리카락 때문에 자살하기도 하고, 남편의 단발에 아내가 반대하며 자결하는 사건도 일어났다. 이를 계기로 최조의 의병을 불러일으킨 동기가 되었다.

 

 

일제는 이등 국민을 어떻게 차별했을까? 일본인 눈에 비친 한국인은 외세에 의존하고, 분열을 일삼고, 정체되어 있으며, 기껏해야 다른 나라의 것을 모방하는 수준이라 열등한 존재들이다. 그래서 한국인은 일본의 지배를 받을 수밖에 없는 이등 국민이자, 일본이 베푸는 은혜로 문명과 개화의 길로 나아갈 수 있는 미개한 민족에 불과하다고 일등 국민은 생각했다. 뭐 이런 소리가 있나? 읽으면서 화가 치밀었다.

 

명성왕후가 어머니로서 보여 주었던 모습에 대해 비판한 책도 있지만 뛰어난 학문과 지성적인 강한 개성과 굽힐 줄 모르는 의지력을 지녔으며,시대를 추월한 정치가이자 외교가로 조선의 독립을 위해 애쓴 분이었다.‘고 평가하는 외교관도 있다. 사람이기에 두 가지를 동시에 잘 할 수는 없다는 것을 증명하는 말인가

 

고종은 왜 암군의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을까 고종은 스스로 지위와 능력으로 왕의 자격을 얻은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주변의 도움이 필요했을 것이다. 정치는 군주 혼자만의 몫이 아니라 관료와 더불어 추진되는 정권 문제였고, 고종은 의정부보다 황실 직속의 궁내부에 권한을 집중했다. 고종의 측근 인물 10여 명 정도가 의정부를 받는 회전문 인사방식으로 운영되었다.

 

안중근은 뤼순 감옥에 수감되어 있으면서 자서전<안응칠 역사><동양 평화론>을 집필하였다. <동양 평화론>이 한··일 모두로부터 존경을 받는 이유는 동아시아 공동체의 실현 가능성을 가르치는 교재로 활용하고 있다고 한다.

 

 

영화 박열을 보고 아나키스트라는 것을 알았다. 아나키스트는 무정부주의자라는 말이다. 우당 이회영 독립운동가 아내가 쓴 서간도 시종기라는 책도 읽어 보았다. 이회영은 노블레스 오블리주로 칭송을 받았다. 요즘으로 금수저인데 전 재산과 일가를 데리고 북간도에서 독립운동을 한 인물이다. 독립운동가들이 만주로 갈 때 세 가지를 각오해야 한단다. ’아사‘ ’타사‘ ’동사이회영 일가는 만주와 상하이에서 독립 투쟁에 헌신하며 온 가족이 세 가지 고난에 고초와 희생을 겪어야 했다.

 

일제는 3.1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이러한 만행을 저질렀다고 국사편찬위원회가 정리하였다. 191931일부터 530일까지 시위 참가자 수는 2023089, 191931일부터 192031일까지 1년 동안 한국인이 입은 피해로 사망 7645, 부상 45562, 체포 49811, 가옥 725, 교회 5개소, 학교 3개교 소각되었고, 한 가지 기억해야 할 점은 사상자도 문제지만, 일제 군경에 체포된 경우 극악한 고문과 태형이 뒤따랐다는 것이다. 영화 항거에서 봤던 것처럼 아우내 참사는 유관순 열사의 순국과 관련이 있다.

 

3·1운동과 그 결과로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우리 역사에서 가장 치열하며 위대했던 순간의 산물이자 낡은 시대를 끝내고 새로운 시대를 열어 가는 역사적 분기점이었다. 우리가 이 빛나는 절정과 열정적인 전통을 대한민국의 출발점으로 삼을 수 있는 것은 우리의 큰 자부심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p583

 

한국 근대사를 꿰뚫는 질문 29는 한국 근대사를 명쾌하게 소개하고 그 의미를 쉽게 전달해 주면서 새로운 방식의 역사 책의 면모를 보인다. 역사책 하면 머리가 아프기도 하는데, 이 책은 재미있게 읽었다. 꼭 읽어 보기를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