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쓰기가 이렇게 쉬울 줄이야
양원근 지음 / 오렌지연필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쓰기가 이렇게 쉬울 줄이야

 

 

《저자 소개: 양원근(제임쓰양)》

20년 출판기획을 전문으로 수많은 베스트셀러를 탄생시킨 엔터스코리아의 대표입니다. 20년 출판기획 이력을 바탕으로 강의 또한 진행하고 있으며, 8회 연속 조기 마감으로 많은 사람을 놀라게 하기도 했습니다. 그간 기획사 대표로서 작가를 빛나게 해주는 조력자 역할만 해왔던 제가 책을 내다니, 참으로 묘한 기분이 듭니다. 지금까지의 출판기획 경험과 노하우를 고스란히 담아낸 이 책 한 권이 당신의 운명을 바꾸어줄 것입니다. , 이 책을 읽고 궁금한 점이 있다면yang@enterskorea.com으로 연락주세요. 친절히 답변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저자는, 지금 이 책을 집어 든 당신은 책을 쓰고 싶거나 이미 출간한 자신의 책을 베스트셀러로 만들고 싶거나 혹은 첫 번째 책이 별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다음 책을 준비 중일 수도 있겠다. 나는 이도 저도 아닌 그냥 책 읽는 독자다. 책은 성공한 사람의 전유물이 아니다. 저자도 한 때 책 읽기에 빠진 적이 있다고 하였다. 이 책은 인문 도서이면서 글쓰기 책이다. 책은 아무나 쓸 수 없지만 누구나 쓸 수 있다 라고 한다. 독서를 하다가 책을 쓰고 싶다. 책을 내고 싶다는 사람이라면 주저 하지 말고 이 책을 읽어보기를 권한다.

 

책은 성공한 사람의 전유물이 아니다. 거창한 스펙이 있어야만 책을 쓰는 시대가 아니다. 독자들은 유명인들, 수려하게 잘 쓰이거나 문학적 가치가 있는 책만 찾지는 않기 때문이다. 읽는 사람도 쓰는 사람도 같은 눈높이에서 책을 읽고 쓰는 시대이다. 사람들은 이제 조언보다는 위로를 원하고, 가르침보다는 공감을 원한다.

 

언젠가 일기장에 몰래 쓴 꿈이 이루어졌거나, 혹은 그 과정에 있거나, 자신이 생각하는 행복의 기준에서 많이 비켜나 있지 않은 것도 성공이다. 책은 그렇게 성공하고 싶은 사람이 쓰는 것이다.

 

나는 최근 몇 년 동안 하루도 빼놓지 않고 책을 읽고 필사를 해왔다. 우연한 기회에 양재나비라는 독서 모임에 참여했다가 거기서 강규형 저자를 만났다. '쓰기'에 관심이 없었던 나조차도 변화시킨 그분의 바인더 쓰기는 정말 대단했다. 강규형 저자는 아침 6시 반이면 바인더를 쓰는데, 이 습관을 몇 년째 이어오고 있다고 한다.

 

 

 

대박 제목을 만드는 6가지 법칙

법칙1 독자에게 무엇이 이익인지 확실하게 알려주어야 한다.

법칙2 '지금이 기회'임을 강조하고 '중요한 일'임을 인식시켜야 한다.

법칙3 내용이 궁금해서 참을 수 없게 만들거나 '?'라는 의문이 들게 해야 한다.

법칙4 '설마, 그게 가능해?' 하는 흥미를 유발시켜야 한다.

법칙5 왜 읽어야 하는가? 읽어야 하는 이유를 확실하게 알려야 한다.

법칙6 독자의 마음을 위로하고 대변해주는 표현을 한다.

   

 

당신의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책 내용이 좋아야 한다. 이는 5가지 조건 중 대단히 필수적인 사항이다. 예전에는 독자의 지적 수준을 중학생 정도로 보는 게 일반적이었지만 지금은 아니다. 독자들은 글로벌 시대에 많은 책을 읽고 새로운 경험을 하고 특이한 것을 접해보았기에 굉장히 수준이 높아졌다. 허접한 콘텐츠로는 절대 독자들의 지갑을 열 수 없다.

 

 

잘 팔리는 책에는 언제나 그에 합당한 이유가 존재한다. 내용이 정말 좋거나, 타이밍이 기가 막히거나, 책의 때깔이 완전 멋지거나, 콘셉트가 아주 참신한 등등 , 이 모든 요소를 극대화시켜주는 게 바로 '마케팅'이다. 마케팅은 타고 있는 불에 기름을 들이붓는 역할을 한다 

 

 

"한 인간의 심성과 이성을 이해하려면 그가 지금까지 무엇을 이루었느냐가 아니라, 앞으로 무엇을 하고 싶어 하느냐 하는 포부를 살펴봐야 한다." 칼릴 지브란

 

 

 

종종 "작가한테 배우면 더 낫지 않나요?"라고 묻는데, 아니다. 작가는 말 그대로 '글을 쓰는 사람'이다. 분명 책쓰기와 글쓰기는 다르다고 하지 않았는가. 책쓰기에서 중요시되는 요소인 '콘셉트 잡기'는 작가가 잘하는 영역이라기보다는 편집자. 대필작가들이 잘하는 영역이다.

 

나도 기획 전문가 중 한 사람으로서, 책의 콘셉트를 잡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일러두려고 한다. 콘셉트를 잡기 위해서는 먼저 스스로 던져야 할 질문이 있다. 바로 '나는 누구인가?'이다. 여기에 대해 명확한 답이 나와야 그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내가 누구인지, 나의 장단점과 특기, 취미, 전공 등을 정확하게 짚을 때 내가 어떤 책을 쓰고 싶은지를 발견할 수 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