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버지
이채윤 지음 / 러브레터 / 2009년 2월
평점 :
이 책을 바로 읽기전 신경숙 저자의 '엄마를 부탁해'란 책을 읽었다.
어머니의 무고한 희생과 사랑이 담긴,그러나 우리는 당연시 여기는 내용이'었다.
'엄마를 부탁해'란 책을 읽고 바로 아버지란 책을 읽게되서 의미가 남달랐다.
아버지란 단어하면 바로 떠올리는 것이, 어깨위에 무거운 짐을 짊어지고 가는 가장의 모습일것이다.
가장이라는 이유로 하루하루 전쟁터 같은 직장속으로 나가는 우리내 아버지.
IMF라는 경제위기속에서 일터를 뺏기고 가장으로서의 역할을 다 못했다는 죄책감 속에서 사는 우리내 아버지.
주인공 원근은 젊었을적엔 고등학교 국어교사를 하다가 동생의 컴퓨터 회사에 전무로 이직을 하게 된다.
점점 커지던 회사만큼 원근의 가정은 행복하기 그지 없었다.
그러나 경제위기가 닥치면서 회사는 부도나고 동생마저 죽어버린다.
집이 차압당하고 경제적위기가 원근에게 닥쳐오지만 부인인 자경의 경제적 능력으로 위기를 넘긴다.
이내 원근은 생수 사업에 손을 댔다가 도망쳐버린 사장때문에 또 한번 집안은 흔들린다.
자경은 뒷수습하느라 정신없고, 남편의 무능함을 싫어하게되고 원근은 부담감때문에 집을 떠난다.
원근의 딸 승희가 아버지가 남기고 간 일기를 통해서 어머니 자경과 함께 원근을 찾는다.
이책을 읽으면서 고향에 혼자 계신 아버지 생각이 났다. 농사가 잘안되서 술을 자주 마셨던 아버지.
농사를 잘해서 우리한테 잘 해주려고 햇던것이 잘 안되서 가장으로서 더욱 힘들어하셨던거 같다.
이책을 읽으니 아버지의 어깨가 그동안 얼마나 무거웠을가 하는 생각을 해보면서
'아버지를 탓했던 내가 참 철이 없었구나'라는것을 느끼게 되서 부끄럽다.
그 시절 아버지와 대화를 했으면 좀더 아버지의 어깨가 가벼워 지진 않았을가..
가족간의 대화단절이 이렇게 상황을 극적으로 몰아가는거 같다.
힘들때일수록 가족간 서로 의지하면서 보다듬어야 하거늘, 힘든만큼 신경도 날카로워지고
서로에게 상처만 주는 말들만 오고 가는것이다.
어느 가장이나 가족들의 편안함을 위해서 열심히 일을 하지 않으려는 가장은 없을것이다.
남들보다 더 열심히 일해서 가족들을 먹여 살려야 한다는 부담감!
그렇지만 가족들은 몰라주고 거기서 마찰은 시작되는것이다.
아무리 힘들어도 따뜻한 말한마디가 서로의 행복을 지킬수 있다는것! 을 명심했으면 좋겠다.
미래의 가장이 될 나에게 이 책은 중요한 참고서 역할을 해준거같아서 좋다 ,
이 책을 바로 읽기전 신경숙 저자의 '엄마를 부탁해'란 책을 읽었다.
어머니의 무고한 희생과 사랑이 담긴,그러나 우리는 당연시 여기는 내용이'었다.
'엄마를 부탁해'란 책을 읽고 바로 아버지란 책을 읽게되서 의미가 남달랐다.
아버지란 단어하면 바로 떠올리는 것이, 어깨위에 무거운 짐을 짊어지고 가는 가장의 모습일것이다.
가장이라는 이유로 하루하루 전쟁터 같은 직장속으로 나가는 우리내 아버지.
IMF라는 경제위기속에서 일터를 뺏기고 가장으로서의 역할을 다 못했다는 죄책감 속에서 사는 우리내 아버지.
주인공 원근은 젊었을적엔 고등학교 국어교사를 하다가 동생의 컴퓨터 회사에 전무로 이직을 하게 된다.
점점 커지던 회사만큼 원근의 가정은 행복하기 그지 없었다.
그러나 경제위기가 닥치면서 회사는 부도나고 동생마저 죽어버린다.
집이 차압당하고 경제적위기가 원근에게 닥쳐오지만 부인인 자경의 경제적 능력으로 위기를 넘긴다.
이내 원근은 생수 사업에 손을 댔다가 도망쳐버린 사장때문에 또 한번 집안은 흔들린다.
자경은 뒷수습하느라 정신없고, 남편의 무능함을 싫어하게되고 원근은 부담감때문에 집을 떠난다.
원근의 딸 승희가 아버지가 남기고 간 일기를 통해서 어머니 자경과 함께 원근을 찾는다.
이책을 읽으면서 고향에 혼자 계신 아버지 생각이 났다. 농사가 잘안되서 술을 자주 마셨던 아버지.
농사를 잘해서 우리한테 잘 해주려고 햇던것이 잘 안되서 가장으로서 더욱 힘들어하셨던거 같다.
이책을 읽으니 아버지의 어깨가 그동안 얼마나 무거웠을가 하는 생각을 해보면서
'아버지를 탓했던 내가 참 철이 없었구나'라는것을 느끼게 되서 부끄럽다.
그 시절 아버지와 대화를 했으면 좀더 아버지의 어깨가 가벼워 지진 않았을가..
가족간의 대화단절이 이렇게 상황을 극적으로 몰아가는거 같다.
힘들때일수록 가족간 서로 의지하면서 보다듬어야 하거늘, 힘든만큼 신경도 날카로워지고
서로에게 상처만 주는 말들만 오고 가는것이다.
어느 가장이나 가족들의 편안함을 위해서 열심히 일을 하지 않으려는 가장은 없을것이다.
남들보다 더 열심히 일해서 가족들을 먹여 살려야 한다는 부담감!
그렇지만 가족들은 몰라주고 거기서 마찰은 시작되는것이다.
아무리 힘들어도 따뜻한 말한마디가 서로의 행복을 지킬수 있다는것! 을 명심했으면 좋겠다.
미래의 가장이 될 나에게 이 책은 중요한 참고서 역할을 해준거같아서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