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의 마법 (특별판 리커버 에디션) - 지식 세대를 위한 좋은 독서, 탁월한 독서, 위대한 독서법
김승.김미란.이정원 지음 / 미디어숲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음을 밝힙니다 -

[서재의 마법]

- 독서의 체계화에 대한 이야기 -

이 책은 저자가 3명이다. 김승, 김미란, 이정원. 이 책의 형식은 주로 김미란이라는 사람이 김승의 서재를 방문하면서 새로 알게 되고 발견하고 깨달은 사실들을 대화 형식으로 구성해 놓은 책이다. 이런 구성일 줄은 책을 신청하면서 사실 생각도 못 했다. 그러니까 책은 미란이가 P(폴킴=김승)의 서재를 방문하는 것으로 그 이야기가 시작된다.

김미란 씨도 저자이긴 하지만, 이 책에서는 독자의 시선으로 P 서재를 방문하는듯한 콘셉트를 지닌다. 읽으면서 나도 내내 P의 서재를 방문하는듯한 느낌을 받았다. 남의 집 방문할 때, 특히 개인 서재를 들여다볼 때 그 설렘이란... 서재는 곧 그 사람의 관심사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독서의 중요성을 말하기도 하지만, 저자가 '서재'라는 키워드를 통해서 강조하는 부분은 다양하다. 우선 독서, 그 자체에 대해서는 말할 것도 없고 세세하게는 독서법, 서재의 의미, 삶을 변화시키는 독서, 독서 철학, 지식 관리, 도서관리 등 서재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이야기는 참으로 다양하고, 세밀하고, 촘촘했다.

첫 챕터에서는 P의 서재에 대한 소개가 주를 이룬다. 이 책의 장점 중에 하나는 스토리를 따라 읽어가면서 중간중간 그에 해당하는 관련 사진과 그림을 볼 수 있는데 글로만 읽는 것보다 현장의 생생함을 전달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P 서재에 대한 묘사가 그저 줄글로만 되어있었다면 어쩌면 나는 금방 흥미를 잃었을지도 모르겠다. 곳곳에 실려있는 수십 장의 사진을 통해 마치 P의 서재를 간 것처럼 보고 느낄 수 있었다.

일반 가정집의 방 하나로 된 서재를 떠올리면 오산이다. 하나의 사무실 같은 느낌을 준다. 동네 작은 도서관 정도로 봐도 무방할듯하다. 줄지어 서있는 책꽂이에 어마어마한 양의 책들이 보인다. 이게 개인 서재라니... 나로선 참으로 부럽기 그지없다.

P에게 있어 서재는 곧 베이스캠프라 할 수 있다. 전문 등산가들이 히말라야를 등반하는 영상을 보면 쉽게 볼 수 있는 베이스캠프 전경... 서재는 그런 의미의 장소라 했다. 산을 오를 때도 베이스캠프가 그 자체로서 최종 목적은 아니듯이 서재, 그것을 갖추는 것 자체가 독서하는 이의 최종 목적이 되지는 않을 것이다. P의 최종 목적, 즉 정상은 무엇을 의미할까.

베이스캠프라는 단어를 설명하면서 함께 등장하는 '베이직 라이프'라는 개념이 인상적이다. 처음 듣는 개념이었다.

저의 서재는 베이스캠프이지만 이것은 상징적인 공간입니다. 베이스캠프보다 더 위대한 것은 그 공간을 시간으로 채우는 노력입니다. 저는 그것을 '베이직 라이프'라고 합니다. 오랜 세월 서재의 공간을 채운 근본적인 땀, 눈물, 노력, 기다림 등을 모두 담아내는 것입니다.

p.35

P는 독서 전과 독서 중, 독서 후를 나누어 그 단계를 도식화하면서 삶과의 관계 측면에서 그것을 연결 짓고 있다. 이른바 '독서의 영향력 구간 비유'이다.

구간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정상, 베이스캠프, 세상입니다. 정상에서 발견한 것은 '꿈'이고 이것이 베이스캠프를 거치면서 '목표'로 바뀝니다. 그리고 다시 세상으로 나가면서 그 목표가 '계획'으로 바뀝니다. 현실로 돌아가서는 계획대로 '실천'하고 실천에 대해서는 반드시 '평가'를 거쳐야 '개선'이 됩니다.

p.58

이 말을 통해 나는 저자 김승이라는 사람이 얼마나 촘촘한 독서를 하고 있는지 실감할 수 있었다. 독서는 단지 기분전환 용일 수도 있지만, 세밀한 과정을 거쳐 지식이나 깨달음, 행위를 산출하는, 더 나은 삶을 위한 하나의 거대한 프로세스가 되기도 하는 것이다. 독서를 통해 변화하는 삶, 그 말을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이렇게 자세한 설명으로 들으니 독서라는 행위가 얼마나 경이로운 것인지 새삼 깨닫는다.

이 서평의 부제이기도 한 '체계'는 P의 독서 전반을 나타내는 성격이기도 하지만, 그가 지칭한 '깊이 독서'와 '넓이 독서'를 아우르는 말이기도 하다. 넓은 독서란 이 분야, 저 분야를 왔다 갔다 보는 것이 아닌 한 분야를 넓게 보는 독서 과정이다. 가령, 육아, 문학, 경제학, 화학에 관한 책을 보는 것이 아니라 육아, 성장발달, 건강하게 키우기, 바르게 키우기, 놀이로 키우기, 육아법 등에 관한 책을 보는 것이다. 양적 독서로서 이 과정에서는 충분한 분량을 읽는 것이 요구되며 비슷한 주제를 연결시켜 폭을 넓히기도 한다. 다른 주제라도 연결 가능성을 모색하며 읽는 것이 바로 넓은 독서에 해당한다.

깊은 독서란 폭을 넓히는 것이 아닌, 깊이를 만드는 과정이다. 깊은 독서 이전에 넓은 독서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래야 폭넓어진 지식에 대한 깊이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지식의 체계, 즉 독서의 체계란 같은 종류의 지식을 그룹 지우고, 그것들 간의 순서를 형성하는 일이다.

P의 독서기록을 담은 무수한 독서 바인더 사진을 보면서 보이지 않는 것을 향해 끊임없이 열망하는 어느 지식인의 모습을 떠올린다. 꾸준한 독서도 사실 그리 쉽지 않은 일일 텐데, 그 방대한 지식을 기록, 정리, 관리한다는 사실에 존경심이 든다. 누가 시켜서도 아닌, 독서를 통해 그 거대한 지식체계를 세워 나갈 수 있는 P의 근원적인 힘은 무엇일까. 나는 그것을 두 가지로 생각해 보았다. 하나는, 삶에 있어 책이 P에게 작용하는 치유와 위로의 역할이고, 다른 하나는 '사람에 대한 사랑'으로 귀결되는 지식과 독서에 대한 열정이 아닌가 한다. 나에게는 참으로 귀감이 되는 사람에 관한 책이었다.

지식의 목적은 '사람'이다

한 사람을 가르치고 키우는 것은 1천 명을 살리는 것과 같습니다. 교육을 바로 세우는 것은 나라를 살리는 길입니다. 저는 한 명의 학생을 컨설팅하는 일도, 1천 명의 사람들을 앞에 두고 강의하는 일도 함께합니다. 그런데 책을 쓰면 수만 명의 사람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이 바로 제가 지식을 추구하는 목적입니다.

p.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학으로 시작하는 여유로운 아침 - 아침 3분, 데카르트와 함께 하루를 열다
오가와 히토시 지음, 이정환 옮김 / 나무생각 / 2021년 7월
평점 :
절판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음을 밝힙니다 -

[철학으로 시작하는 여유로운 아침]

- 아침 3분, 하루가 달라지는 사색의 힘 -

지금 우리에게는 철학이 필요하다는 저자의 머리말 제목에 나는 깊은 공감을 한다. 언제 들어도 지나침이 없는 말이다. 다만 우리에게 필요한 그 철학에 어떻게 쉽게 다가가고 어떻게 우리 삶에 배치시킬 것인가 하는 고민이 그림자같이 따라다닌다.

이제부터 철학 공부!, 내일부터 철학 공부! 이런 말은 무척이나 부담스럽다. 마치 철학 공부를 시작하기도 전에 두뇌를 풀가동 상태로 둬야 할 것만 같은 긴장감을 유발한다. 내가 이 책 [철학으로 시작하는 여유로운 아침]에 주목하게 된 것은 책 제목 밑에 쓰인 이 글귀 때문이었다. "아침 3분", 이 책의 부제는 "아침 3분, 데카르트와 함께 하루를 열다"이다.

점심때 보라는 얘기도 아니고, 저녁때 보라는 얘기도 아니다. 이 책은 명확히 쓰여있는 바와 같이 아침에 볼 것을 권한다. 왜 그럴까. 인간의 두뇌가 아침에 가장 맑고 깨끗하기 때문일 것이다. 인생, 삶에 있어 진취적인 생각을 하기에 좋다고 생각한다. 혹 아침에 두뇌를 가동시키는데 시간이 걸리는 사람이라면 흐리멍텅한 두뇌를 깨우기 좋다고나 할까. 일종의 커피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사실, 저자는 이 책을 모닝커피와 같은 역할을 하도록 만들었다고 한다. 모닝커피의 역할을 잠시 생각해 본다. 내가 아침에 커피를 마시는 이유는? 맛도 있지만, 어쨌든 잠을 깨기 위해서이다. 저자는, 모닝커피처럼, 아침잠에서 깨어날 수 있는 가벼운 철학 책을 만들고자 했다. 그렇게 기획되고 탄생한 것이 바로 이 책 [철학으로 시작하는 여유로운 아침]이다.

철학자는 데카르트를 다룬다. 데카르트 하면,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라고 하는 그 유명한 명언을 남기신 분이 아닌가. 데카르트는 철학사에 있어 (대륙) 합리론 제1선에 있는 사람으로 알고 있다. 그는 세상에서 가장 명확하고, 분명하고, 진실한 것을 찾고자 갈구했다. 그것이 그 당시 추구하던 진리의 모습이지 않았나 싶다. 가장 명확하고, 분명하고, 진실된 것을 찾고자 한다면 그것이 분명 그러한 것인지(혹은 그러한 것이 될 수 있는지) 하는 '의심'의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약 20년 전에 데카르트의 의심과 관련하여 어느 책에서 이런 대목을 읽었던 것 같다. 방금 내 손에 들고 있던 유리 막대를 봤을 때 그 모양이 한점의 의심도 없이 분명했는데, 물속에 반을 담갔을 때 그 모양이 굴절되어 휘어지게 보였다는 것이다. 내 눈에 인식되는 것, 보이는 그대로인 것이 분명하고, 명확한 것인 줄 알았는데, 감각으로 인식되는 것은 세상의 진리라고 불릴만한 것이 못되었다. 데카르트는 순간 유레카 같은 발상을 떠올린다. 내가 (그것이 참인지 아닌지) 무엇인가를 대상으로 놓고 의심하는 과정 속에 있는 나, '사유하는 나, 의심하는 나'의 존재는 세상 분명하고, 명확한 사실이 아니던가. 여기에서 유래된 것이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Cogito, ergo sum"이다.

이 책은 데카르트의 사상과 그의 저서를 바탕으로 인생에 도움이 될만한 여러 가지 이야기를 전한다. 그의 저서 <방법서설>, <성찰>, <철학 원리>, <정념론>을 바탕으로 한다. 철학에 관심이 깊으신 분들은 원저 독서도 추천드린다.

사람에게는 왜 생각이 중요할까. 인생이 무한하고, 모두 다 평탄하고, 유복하고, 여유롭고, 즐겁고 행복하기만 하다면 철학은 필요 없을지도 모른다. 모든 게 다 갖춰진 환경에서 상승 욕구란 것이 존재할지 의문이다. 우리의 삶이 매 순간 그렇지 않기에, 우리에게는 생각이 필요하고, 철학이 필요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나는 철학에 대해서 잘은 모르지만, 돌이켜보면 인생의 힘든 순간마다 철학이라는 디딤돌을 밟았던 것 같다. 삶을 살아내는 데 있어 일종의 정신적 무기라고 할 수 있을까.

배우겠다고 생각한다면 외부 세상은 무한대로 열려있다.

길은 어디에나 있지만 같은 길은 없다.

p.63

정신이 얼굴을 만든다.

p.18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학으로 시작하는 여유로운 아침 - 아침 3분, 데카르트와 함께 하루를 열다
오가와 히토시 지음, 이정환 옮김 / 나무생각 / 2021년 7월
평점 :
절판


- 아침 3분, 하루가 달라지는 사색의 힘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할리우드 생활 영어 3000
박신규 지음 / PUB.365(삼육오)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음을 밝힙니다 -

[할리우드 생활영어 3000]

- 같은 범주, 다른 느낌 -

오늘 본 책은 [할리우드 생활영어 3000]이라는 책이다. 프롤로그를 통해서 이 책이 만들어진 과정을 알 수 있었는데 출판되기까지 저자의 시간과 노력이 상당히 들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저자가 할리우드 영화를 보며 영화에 등장하는 표현을 하나씩 모은 모음집과도 같은 영어책이다.

예전에는 유럽 영화같이 알다가도 모를 어떤 심오한 영화를 좋아했는데 나이를 먹기도 하고, 세상사 골치 아픈 일이 많으니 많이 웃고 싶어서 이제는 할리우드 영화만 본다. 요즘은 그냥 유쾌한 할리우드 영화가 좋다. 이런 기호와 맞아떨어져 이 책에 눈이 갔다. 영화 볼 때 영어가 귀에 쏙 들어오기까지 하면 금상첨화 아니겠나.

우표 수집을 하듯 하나씩 모은 표현들은 다음과 같은 범주로 묶여있다. 만남, 소개, 이름, 퇴근, 작별에서부터 계획, 해야 할 일, 준비, 작업 완료, 자업자득, 양심의 가책, 복잡한 문제들에 이르기까지 Unit 24개에 이른다.

비슷한 표현을 뭘 그리 많이 실었나... 할 수도 있을 테지만, 이 책이 보여주는 것은 그만큼 표현이 다양하다고 하는 영어 표현의 다양성인 것 같다. 말할 때, 작문할 때 접속사도 하나만 알고 계속 그것만 쓰면 너무 고루하지 않은가. 이런 의미에서 표현도 하나보다는 다양하게 알아두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다음은 격려에 관한 표현을 모아놓은 부분이다. 저자의 노력이 대단한 게, 각 표현이 있는 오른쪽으로 이 표현의 출처가 기재되어 있다. 슈렉, 토이스토리,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페르디난드 등 표현을 읽어보며 옆의 영화 제목을 보는데 이표기가 나에게 두 가지 생각을 불러일으킨다. 하나는, 저자가 영화광일지도 모른다는 생각, 둘째는 영화를 추천받는듯한 느낌.

격려하는 표현으로 Cheer up! 만 알고 있었다면 이제는 거기서 벗어나 보자. 아래의 사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904번부터 969번까지가 격려 표현으로 실려있다. 표현들 앞에 파란색 헤드폰 표시가 되어있는 것은 듣기 파일이 제공되는데, 그것을 들으며 표현 연습을 하라는 얘기다. 파란색 헤드폰 표시 아래 각 3개의 네모칸 박스는 '들었다'라는 표시로 체크해도 되고, '외웠다'라는 표시로 체크를 해도 좋다.

표현을 암기하는데 순번이란 없으며 904번부터 969번까지 그냥 쭉 들어보고, 두 번째 들어보고, 세 번째 들어보고 계속 들어본다. 암기하려고 애쓰지 말고 그냥 주구장창 들어본다. 한 다섯 번만 들으면 내 귀에 먼저 꽂히는 표현이 있을지도 모른다. 이미 알고 있는 표현은 나만의 색으로 소거하도록 하자. 자다가도 튀어나올 만큼 익숙한 표현이라면 검은색 매직으로 그어버리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나는 그 표현은 졸업했다는 의미로...)

코로나로 힘든 시기여서 그런지 격려 표현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와서 소개해봤다. 표현의 뜻을 보면서 지금 고통을 겪고 있는 다양한 직업군의 사람들이 떠오르기도 하고, 어떤 사람들에게는 이 표현을, 또 어떤 사람들에게는 저 말을 해주면 좋겠다는 생각이 잠시 스쳐 지나갔다.

코로나에 걸려 힘들었을 이에게

That must have been hard.

코로나 4단계를 같이 이겨 나가야 하는 우리에게

We gotta pull together.

이 힘든 시기를 잘 보내야 하는 고3 수험생에게

You can make it.

이렇게 노력하다 보면 언젠간 좋은 일이 있지 않을까요?

좋은 일이 있을 겁니다. Good things will happen.

영화를 좋아하는 분이라면 이 책으로 회화의 기본을 익히는 것도 좋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귀로 듣고, 눈으로 보고, 입으로 말하는 표현이 어느 영화에서 가져온 것이라고 생각하니 그 영화도 보고 싶게 만드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할리우드 생활 영어 3000
박신규 지음 / PUB.365(삼육오)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같은 범주, 다른 느낌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