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줍줍의 고전문학 플레이리스트 41 - 하루 15분 고전과 친밀해지는 시간
문학줍줍 지음 / 책밥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줍줍'이라고 하니 뭔가 거져먹는 느낌이 든다. 하루 15분, 고전과 친밀해지는 컨셉으로 [문학줍줍의 고전문학 플레이리스트 41]이란 책이 나왔다. 누군가는 문학의 요약본을 읽지 말라는데, 나는 요즘 이동 중에 이런 책을 재미있게 읽고 있다. 문학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면서 더 찾아보고 싶게 만든달까. 아무튼 문학의 가이드북으로서 요긴하게 읽고 있다.

이 책의 저자는 문학 유튜버라고한다. 책에는 그의 고전문학 독서노트가 한가득이다. [안나 카레니나]에서부터 [톰소여의 모험]에 이르기까지 제목의 숫자처럼 41편의 문학이 소개된다.

목차를 보니 문학작품이 중심이 아니라, 그것들을 묶어놓은 공통된 주제가 배열의 중심이었다. 저자의 목록 중엔 내가 고등학교 때 읽다 포기해버린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의 저자 밀란 쿤데라의 이름이 있었다. 이 책에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이 실린 것은 아니었지만, 문득 저자가 궁금한 마음에 밀린 쿤데라의 <정체성>부터 보기 시작했다.

'나'란 존재의 정체성에 대해 탐구하다...

작품<정체성>을 소개하는 첫 페이지에는 짤막하게 저자가 소개된다. 작가 밀란 쿤데라는 1929년 체코 출생. 그의 아버지 루드빅 쿤데라는 당대 뛰어난 피아니스트이자 음악학자였다고 한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을 읽을 때는 저자가 어떤 사람인지도 모르고 읽었는데, [문학줍줍의 고전문학 플레이리스트 41]를 접한 것이 밀란 쿤데라에 좀 더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었다. 아버지로부터 음악과 피아노 교육을 받은 그의 작품에는 음악적인 영감이나 악보, 음악 기호 등이 직접 등장한다고 한다.(내가 좋아하는 문학 스타일이기도 하다)

작가에 대한 짤막한 소개를 끝내고 다음 장에서는 <정체성>의 줄거리가 이어진다. 샹탈과 장 마르크, 이 둘은 권태로운 연인이었던 걸까? 소설 전체의 분위기를 알 수 없어 단정하기 어렵지만, 뭇남성들이 자신에게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고 자신의 남자친구 앞에서 늘어놓은 푸념이나 익명으로 샹탈에게 편지를 보낸 장 마르크의 행동을 보면 그런 느낌이 든다.

-이름과 정체성의 상관관계 -

작품의 이름이 <정체성>인 만큼 이름을 매개로 한 주인공들의 정체성을 잘 그려내고 있는듯하다. 장 마르크는 샹탈에게 그저 그런 연인이었지만, 익명이라는 이름 아래 또 다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샹탈 또한 파티장에서 만난 노인이 샹탈의 이름을 '안'이라고 부르자 낯섦 등 내면의 반응을 보인다. 이 부분을 읽고 원작을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소 어려울 것 같은 소설을 쉽게 들려주는 것은 물론, 작가에 대한 소개, 작품의 감상 포인트를 짚어주는 것이 15분이라는 시간을 내어 읽기에 더없이 풍성하다는 생각이 든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자유롭게 썼습니다 -

#문학줍줍의고전문학플레이리스트41 #문학줍줍 #책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학줍줍의 고전문학 플레이리스트 41 - 하루 15분 고전과 친밀해지는 시간
문학줍줍 지음 / 책밥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일 15분, 알찬 문학여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페이지로 시작하는 철학 수업 -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는 맨 처음 철학 입문서 10대를 위한 빅피시 인문학
최훈 지음 / 빅피시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신의 삶이 표류하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철학 책을 읽으라고 권하고 싶다. 인간은 자신의 인생에서 누구나 헤맨다. 나도 그렇다. 하지만 우리는 덜 헤매기 위해서라도 책 읽기가 필요하다. 한낱 돈 안되고 쓸모없는 일로 보일지언정 한발 물러서서 보면 그것은 그 사람의 삶의 방향을 정해 조금씩 움직여가는 바다 위의 커다란 배의 모습과 같다.

예전에 도서관에서 우리나라 수능에 해당하는 프랑스 대학 입학시험 관련 도서를 본 적이 있다. 책 속에는 철학 문제 예시와 어떻게 답을 구성하면 좋을지에 관한 일종의 가이드가 담겨있었다. 그때 알았다. 프랑스에서는 고등학교 때 철학을 배운다는 것.

[1페이지로 시작하는 철학 수업]은 중고등학생들이 철학을 접하기에 부담 없는 책인 것 같다. 책에도 '10대를 위한 인문학'이라고 쓰여있다. 고대부터 현대까지 하나의 키워드를 한 페이지에 담아 쉽게 설명하고 있다. 이 키워드의 카테고리를 살펴보자면 철학의 말, 철학자, 용어/개념, 철학사, 삶과 철학, 생각법, 철학 TMI가 있다.

1페이지에 담긴 주제와 관련된 설명을 읽고 난 후 흥미롭거나 관심이 가는 부분이 있으면 다른 관련 도서를 읽음으로써 더 알아볼 수 있다. 내용이 그리 깊지 않아서 부담되진 않는다. 각주제마다 짧은 내용을 담고 있기에 이 책을 철학 안내서 정도쯤으로 생각하면 좋을 거 같다.

맨 마지막 페이지 '철학의 쓸모'에서 이 책의 저자가 남긴 글이 인상 깊다.

"철학은 쓸모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삶에 아무 도움이 안 되는 말만 한다거나 뜬구름 잡는 소리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학문을 하는 것은 꼭 쓸모가 있어서만이 아니다. 그 자체가 흥미 있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조류학이 새에게 유용한 만큼만 과학 철학은 과학자에게 유용하다"라는 말이 유명 물리학자가 했다고 떠돌아다닌다. 그러나 조류학자가 꼭 새에게 도움을 주려고 새 연구를 하겠는가? 과학철학자도 과학자에게 도움을 주려고 과학 연구를 하는 것은 아니다. 지금은 쓸모가 있는지 없는지 알 수 없지만 그 쓸모가 나중에 밝혀질 수도 있다."(p.230)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자유롭게 썼습니다 -

#1페이지로시작하는철학수업 #최훈 #빅피시 #철학입문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페이지로 시작하는 철학 수업 -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는 맨 처음 철학 입문서 10대를 위한 빅피시 인문학
최훈 지음 / 빅피시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대를 위한 철학 안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매일 10분 철학 수업
장웨이.션원졔 지음, 이지수 옮김 / 정민미디어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사 책을 읽을 때 소크라테스 이전의 고대철학자들은 건너 뛰거나 조금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었다. 세상을 물이라든지, 불이라든지, 씨앗이라든지... 오늘날 생각에 비추어보면 말도 안 되는 생각이라는 판단에 읽을 가치도 없다고 무의식적으로 그렇게 여겼는지도 모르겠다.

[매일 10분 철학 수업]은 서양철학 중에서도 고대철학자들에게 집중되어 있다.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는 물론이고, 탈레스부터 피타고라스, 헤라클레이토스, 파르메니데스, 엠페도클레스, 아낙사고라스, 데모크리토스, 에피쿠로스, 스토아학파의 제논까지 쉽게 접하지 않는 철학자들에 관한 이야기들이 실려있다.

만물의 근원을 물이라고 본 탈레스를 철학사에서는 고대 최초의 철학자로 본다. 만물의 근원이 물이라... 어떻게 보면 맞는 말 같기도 하고, 과학자들은 동의하지 않는 명제 일수 있다. 그러나 탈레스는 그의 말이 사실인지 아닌지 참 거짓 여부에서 벗어나 그의 생각과 말이 갖는 역사적 의의를 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탈레스 이전의 사람들은 신화를 통해 세상을 바라보고 있었다. 대지의 신 가이아를 통해 대지에 만물이 생겨났으며, 천둥의 신 제우스, 하늘의 신 우라노스, 올림포스의 여러 신들의 지배하에 우주, 인간의 운명이 결정된다고 믿었다. 신화는 곧 상상력이다. 사람들은 자신들의 상상력으로 세상을 이해하고 있었던 것이다.

신화적 관념이 팽배했던 때, 만물을 철학적 시각으로 보기 시작한 이가 바로 탈레스였다. 철학은 상상력 외에 사고력까지도 요한다. 탈레스는 만물을 상상력으로만 보는 것이 아닌, 감각기관을 통한 섬세한 관찰과 보다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근거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싶어 했다.

"철학은 인류가 세상을 이해하는 출발점이다"

만물의 근원이 물이라는 탈레스의 말은 곧 세상을 바라보는 인간의 관념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신화적 시대에서 철학적 사고의 문을 연 탈레스, 그런 그를 통해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세상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에 대한 끊임없는 자기 물음일 것이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자유롭게 썼습니다 -

#매일10분철학수업 #장웨이 #션원졔 #이지수옮김 #정민미디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