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본능 - 성공한 사업가는 무엇에 집중하는가
마이크 미칼로위츠 지음, 송재섭 옮김 / 처음북스 / 201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노래방은 처음 등장할 때 모든 사람들이 반기고 즐거워했던 아이템이었다. 이것은 당시 혁신의 모델이었다. 이어 등장한 PC방 역시 혁신의 모델이었다. 이 두 아이템은 성공의 길이었고 많은 사람들이 좋은 성과를 경험할 수 있었다. 그러나 늦게 이 시장에 뛰어든 많은 사람들은 실패를 맛봐야 했다. 생겨날 당시는 혁신의 아이템이었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파괴력은 약해져갔고, 사람들의 관심을 벗어나는 구식 아이템으로 변하고 만 것이다.

 

이렇듯 같은 길을 가더라고 실패와 성공의 두 길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두 갈래 길 중 성공이라는 길을 갈 수 있는 능력을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이 책 <혁신본능>(2013.처음북스)은 현재에 머물지 않고 다른이보다 한걸음 앞서가는 안목을 키워주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성공의 길을 갈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앞에서도 예를 들었지만 당시에 혁신적인 아이템이라도 시간이 흘러 문화가 변하고, 트랜드가 바뀌면 성공의 방정식은 변하게 되어있다. 그래서 계속적인 공부와 변화가 필요한 것이다.

 

이 책의 저자(마이크 미칼로위츠)는 혁신의 모습을 통해 자신의 삶을 변화 시키고 또 성공이라는 삶을 만들었던 당사자였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 그동안 자신이 걸었던 성공의 길을 안내하고자 한다. 그래서인지 그의 글들은 설득력이 있다. 구체적이면서 체계적인 혁신을 바탕으로 한 성공의 방법들은 읽는이에게 영향력을 키칠 수밖에 없다.

 

사업의 마음가짐으로 시작해 준비와 구체적인 시작 그리고 진행과 마무리라는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하나하나 혁신의 아이콘을 통해 성공의 길을 안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각 장의 끝에 지금 당장 실행하라라는 명령어를 통해 직접적인 행동을 이끌어 내어 이 책이 공부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려고 노력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혁신(革新)의 뜻은 사물, 생각, 진행상황 및 서비스에서의 점진적인 혹은 급진적인 변화를 일컫는 말이다. 여기서 혁()은 가죽 혁을 말한다. 혁신하려면 반드시 가죽을 벗기는 아픔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쉽지 않은 일이지만 성공의 길에 반드시 통과해야할 과정이 바로 혁신이다. 이 길을 친절하게 안내하는 것이 바로 이 책이다.

 

영화감독이자 시나리오 작가 겸 영화배우인 우디 앨런은 당신이 이따금 실패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혁신적인 일을 하나도 시도하지 않고 있다는 확실한 징표다.’라고 말했다. 혁신이 성공의 길이 아닌 실패를 경험하게 해줄 수도 있다는 말이다. 그러나 성공의 길을 가기 위해서는 실패를 뛰어넘는 용기가 있어야 한다. 이 책이 그러한 실패를 줄여주는 소중한 안내가 되어 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