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으로 보는 성생활 지침서 (양장)
자미에 왁스먼 & 에밀리 모스 지음, 김광우 옮김, 벤저민 바헨예 그림 / 시그마북스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새로운 시대로 달려가고 문화들이 서로 개방되고 있으나, 계속 제자리에 머물러 있는 것이 있다. 그것은 ’()이다. 시대가 바뀌었음에도 성에 대한 교육은 좀처럼 나아지지 않는 것 같다. 학교에서 성 교육도 예전보다는 많아진 듯 하나 제대로 된 성교육이 아직까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본다.

 

사실 우리나라의 유교 문화가 우리의 국민성을 만들어 갔기 때문에 이것이 바뀐다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다보니 성에 대해 올바른 정보보다는 숨기려하고, 드러내지 않다보니 우리는 성에 대해서만은 움츠려 드는 것이다.

 

성 생활은 번식 이상의 의미를 갖는 아주 중요한 삶의 부분이다. 아주 아름답고 소중한 부분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정서 상 이 책 <그림으로 보는 성생활 지침서>(시그마북스.2011)를 당당히 드러내고 읽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었다.

 

이 책을 손에 처음 들었을 때 아직까지 당당하지 못한 나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럼에도 한 장 한 장 넘기며 음성적이었던 성을 양지로 끌어내고자 노력 했다.

 

내용을 보면 성(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려고 했다. 그림으로 설명하는 부부관계의 속 깊은 이야기는 그동안 잘 몰랐던 새로운 사실들을 배우게 했다. 저자는 이 모든 것이 열정으로 만들어낸 결과들이라고 말하며 즐기라고 이야기한다.

 

이 책의 설명은 사진이 아닌 모두 그림으로 담았다. 그래서 그림이 생각보다 야하지 않아서 좋다. 다만 전반적으로 최대한 넓게 다가가려고 했지만, 깊이 있게 다루지는 못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여러 가지 개요를 살펴보는데 그친 것은 조금 아쉬운 부분이다.

 

이 책을 덮으며 드는 생각은 세상을 재미있고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는 많은 공부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특히 성에 대해서는 숨기지 않고 좀 더 올바른 공부가 필요할 것 같다. 이 책이 많은 도움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