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읽는 기술 Future Inc.
에릭 갈랜드 지음, 손민중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수년전 타임머신이라는 영화를 재미있게 본 기억이 난다. 누구나 과거 또는 미래에 대한 여행을 꿈을 꿀 것이다. 실제로 여행이 가능하다면 많은 사람들이 과거로의 여행보다는 미래로의 여행을 더 선호할 듯 싶다. 이유는 이미 알고 있는 나의 옛 모습보다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미래의 모습, 그 시대의 문화 등이 너무 궁금하기 때문이다. 미래의 세계를 알고 싶어 하는 것은 어쩌면 인간의 욕망이지 않을까 싶다.

 

이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이 책 『미래를 읽는 기술』<한국 경제 신문.2008>을 읽으면 100% 예측하기는 힘들지만 최대한 가깝게 그 미래에 다가갈 수 있는 방법을 배울 수가 있다. 

“당신도 미래를 경영할 수 있다”라는 부제를 가진 이 책은 미래의 사회 및 그 시대의 트렌드를 미리 예측하여 준비함으로 새로운 시대에 나의 위치를 확고히 다지는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책은 도구와 테크닉, 미래의 원동력 이렇게 2부로 구성 되어있다.

1부에서는 정보를 수집하고 정보를 분석, 전달하는데 있어 도구들이 어떤 것들이 있고 이것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이야기하고 있다. 다만 한 가지 전제 조건으로 미래를 꿰둟어 보려는 신념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2부에서는 미래를 이끌 주요 원동력들에 대해 서술했다. 미래에 대한 연구에서는 인구 고령화, 에너지, 환경적 지속력, 정보기술, 의료, 생명공학, 방송매체의 확산이 대두됨을 인식하고 이 부분이 어떻게 원동력으로 작용하는지 배울 수 있다.

저자는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개별적이고 독립적이지 않고 서로 연관되어 있고 상호 작용으로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는 사실을 이야기한다.

 

이 시스템을 통해 다각적이고 넓은 시야를 통해 모든 부분들을 볼 수 있다면 다음 변화가 어디서 발생할지 알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아짐을 알수 있다. "바로 이것이 미래학자들이 미래에 대한 핵심적인 연구를 하며 조직을 이끌 때 세상을 보는 방식이다. 일단 이러한 사고방식을 습관화하면 모든 사물을 넓어진 시야로 보게 되어 위험과 기회를 찾아낼 수 있는 능력이 커진다"(42p)

이것은 우리의 기업과 우리 자신을 큰 생태계의 일부로 간주하는 것으로서 미래의 방향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로 작용한다. 

“남보다 한 발 앞서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여 실행에 옮기는 미래의 지배자가 될 것인가? 시간에 쫓겨 끔찍한 방안만 남은 상황에 직면할 것인가?” (18p)
저자가 던지는 이 물음은 이 책이 세상에 나온 목적을 이야기하고 있으며, 이것은 우리에게 많은 생각을 요구하고 있다.


이 책을 통해 미래에 대한 확답을 가질 수는 없겠지만, 내 스스로의 미래를 최대한 가깝게 예측한다면 그 미래는 내가 먼저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