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골의 <이반 이바노비치와 이반 니키포로비치가 싸운 이야기>라는 소설도 작자가 10년 후 다시 찾은 곳에서 벌어진 이야기를 다뤘는데, 그 짧은 글에 두 이반의 싸움이 정말 훌륭하게 묘사돼 있지요. 저는 그 짤막한 단편에서 작자의 큰 뜻을 발견했습니다. ‘악마마저 우울하게 만드는‘ 인생의 진실을 엿본 기분이었죠.  - P43

그저께 너에게 편지를 쓰면서 니체의 슬픈 탄식이 떠올랐어.
‘인간은 누군가를 칭찬하거나 깎아내릴 수는 있지만 영원히 이해하지는 못한다.‘
그래도 정신없이 몰입해서 (나는 요즘 몰입을 할 수 있게 되었어. 가끔은 정신을 멍하니 두기도 하고. 이 상태가 너무 그리웠기에 소중히 여기고 있다네) 편지를 썼어. 역시 썼더니, 좋았어.
니체의 에피그램은 니체가 중얼거린 순간의 진실이었고, 나나 자네의 경우엔 어릿광대짓에 불과했지. - P85

죽기 전에 온 힘을 다해 땀을 흘려보고 싶습니다.
그날그날을 가득 채워 살 것.
옛 중국 죽림칠현은 아는 것이 많았지만 대숲에 몸을 숨기곤 날마다 주색에 빠져 정신없이 웃다가 결국 굶어 죽은 사람도 있다지요.
아무리 똑똑한 사람도 일단 대숲에 들어가면 그걸로 끝입니다.
계획을 세웠습니다. (재능은 던져버리고!) 우리는 강을 건너고, 산을 넘어서, 우리의 길을 걸을 뿐입니다.
자살을 해도 좋고, 백세 장수를 누려도 좋고, 사람마다 제각기,
나름의 길을 살아내는 일, 자아의 탑을 쌓아 올리는 일, 이것 말고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 P91

오늘 가장 맛이 좋은 담배 열 갑을 벽장 선반에 숨겼습니다.
세상 가장 좋은 사람으로서,
조용히 목숨 걸고 살아주시길.
그립습니다. - P342

문화라고 쓰고 거기에 ‘부끄러움‘이라는 독음을 다는 일, 대찬성입니다. 
저는 넉넉할 우자를 생각합니다. 우승優勝이나 우량優良 따위처럼 훌륭하다優는 표현을 할 때 쓰는 한자이지만, 또 한 가지 뜻이 더 있지요? 
상냥하다優는 말에도 이 한자를 씁니다. 이 글자를 잘 들여다보면, 사람 인ㅅ변에 근심할 우자를 씁니다. 
인간을 걱정하고, 인간의 쓸쓸함과 외로움과 괴로움에 민감한 일, 이것이 상냥함이며, 또한 인간으로서 가장 뛰어난 일이 아닐까, 그리고, 그런, 상냥한 사람의 표정은, 언제나 부끄러움을 품고 있습니다. 
저는 저의 부끄러움으로, 저와 제 몸을 갉아먹고 있습니다. 술이라도 마시지 않으면, 말도 꺼낼 수가 없습니다. 그런 부분에 ‘문화‘의 본질이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문화‘가 만약 그런 것이라면, 그것은 연약하며, 늘 지는 것입니다. 그걸로 됐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제 자신을 ‘멸망의 백성‘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언제나 지고 멸망하면서, 거기에서 나오는 중얼거림이 우리의 문학이 아니겠습니까. - P3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는 독일제 진통제를 다량 복용한 참이었다. 진통제에는 최면 효과가 있기 때문에 서둘러야 했다. 칼날로 절개할 부분은, 그 역시 퇴폐적인 삶의 비참함을 보여주는 예인데, 발칸 반도의 어린이가 할퀸 손목 안쪽이어야만 했다. 진통제가 가져온 흥분 효과로 그는 용기를 잃지 않았다. - P253

나는 나무와 고래에 대한 인류의 흉포함을 고발하기를 소망해왔다. 그런 자로서, 가장 인간답게 태어나면서부터 갖고 있던 흉포함을 드러내고, 오랫동안 가져온 생각의 옳음을 증명해야만 한다. 흉포하게 저항하는 동안 마지막 인류인 내 육체=의식이 어중간한 채 폭발하고, 그리고 ‘무‘다. 그때야말로, 고래여, 너희는, 나무여, 다름 아닌 너희를 향해 다 잘되었다라는 대합창을 보낼 것이다. 모든 잎사귀는 몸을 떨며 이어서 노래할 것이다. 다 잘되었다!

덮개 문이 열린다. 해가 진 지상의 빛 가운데 고래의 피부처럼 검푸른 것이 한순간 보였다. 날아오는 가스탄에 눈을 감고 이사나는 방아쇠를 당긴다. 다섯 발. 총탄을 소중히 사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 방아쇠를 금방 풀어서 연사를 짧게 해야 한다. 가스탄이 집중한다. 그는 호흡을 멈춘다. 두 번 다시 숨을 쉬는 일은 없으리라. 그는 세 발을 쏜다. 강한 물살이 지하 벙커 내벽에 닿고 튕겨서 그에게 엄습한다. 이미 깊은 물 속에 다시 잠기며 그는 네 발을 쏜다. 모든 것은 어중간 한 채로 그 너머에 ‘무‘가 드러나 있다. 나무의 혼·고래의 혼에게 그는 마지막 인사를 보낸다. 
다 잘되었다! 모든인간에게 마침내 찾아올 것이, 그를 찾아왔다. - P35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8장 오그라드는 남자

9장 오키 이사나의 고백

10장 상호교육

11장 자기 훈련으로써의 범죄

12장 군사행동을 예행연습하다










보이의 감탄이 담긴 음성은 백치라는 말이 이사나에게 환기하는 모든 나쁜 감정을 한꺼번에 없애주었다. 그 음성으로 인해 적어도 이사나의 내부에서는 보이와 진짜 화해가 이루어졌다. 다름 아닌 진의 중재에 의해…………. - P267

그건 다른 누구보다 조선인이 약했기 때문이야. 이번 대지진이 일어나면 혐오의 대상이 될 약한 인간이란 바로 우리들이야. 우리들이 오늘날의 괴물 같은 아버지들과 할아버지들에 의해 희생 제물이 되는 거라고. 그 전에 대항해에 나갈 수 있다면야 다행이겠지만, 그렇게 안 되면 우린 스스로를 그 자리에서 구할 수단을 생각해야지. - P2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6장 다시 고래나무에 대하여(147p)

7장 보이 저항하다(178p)

8장 오그라드는 남자(207p)

"나무라고?" 이사나는 흥미를 느끼며 말했다. "네 고향에서 느티나무를 특별한 나무라는 뜻으로 나아무라 부른다면, 그건 제대로 된 호칭이군! 느티나무라는 이름은 원래 늦티나무라고 불리던 것으로, 티가 나는 나무라는 뜻이라고 도감에 쓰여 있으니까." - P151

"나는 당신처럼, 정말 고래나무에 대해서 듣고 싶어 하지만 들은 후에 떠오르는 해석을 함부로 떠들지는 않는, 그런 사람에게 이야기하고 싶었어."
이사나는 청년의 솔직한 목소리에 마음이 동하여 그의 이야기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말로 답했다.
"나는 이런 평온한 저녁에는 내 주변에 있는 나무로부터 지지를 받아 가장 바람직한 모습으로 행동한다고 할까, 대한다고 할까, 그렇게 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할 때가 있어. 그걸 나는 나무의 혼의 도움이라고 생각하지만...……." - P16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5장 고래나무(115p)


"내가 자란 곳도 산골이었는데, 고래나무라 불리는 건 없었어." 그가 조심스럽게 말했다. "하지만 지금 고래나무라는 말을 듣고 내게도 곧바로 고래의 모습을 하고 바람에 따라 고래처럼 움직이기도 하는 큰 나무가 보였어. 그리운 느낌이야." - P1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