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올 초대륙 - 지구과학의 패러다임을 바꾼 판구조론 히스토리
로스 미첼 지음, 이현숙 옮김 / 흐름출판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가올초대륙 #로스미첼 #이현숙옮김 #흐름출판 #서평 #도서지원 #신간도서 #지구과학의패러다임을바꾼판구조론히스토리 #지구과학 #북스타그램


< 흐름출판사로 부터 도서지원 받아서 쓴 서평입니다 >


지구인으로 살면서도 새삼 지구에 놀랄 때가 있다. 지구의 자전 속도를 상상하고 계산해볼 때, 지형에 따라 문화가 달라지고 그 문화가 수 천 년 이어져올 때, 집 앞 화단을 꾸민 돌덩이가 사실 저 밑에서 아주 오래 있었다는 걸 알 때. 중학교에 입학하고 처음 꾸었던 꿈이 지질학자였던 때가 있었다. 공룡이 좋아서라기보다 땅 위보다 땅 속이 더 궁금하고 알고 싶어서 잠도 못 자던 때가 얼마간 있었다. 이 책, 『다가올 초대륙』을 읽으면서 당시의 두근거림과 그간 들어봤음직한 과학의 장면들과 정보들이 떠올라 즐겁고 설레었다. 


초대륙은 로디니아, 판게아 등 인간사만큼이나 지구사도 돌고 돌고 돈다. 지구도 우리의 책처럼 기록을 남긴다는 것, 그 이야기는 지층, 암석 등에 남아 언젠가는 읽혀지기를 기다리고 밝혀지는 순간 과거에 대한 경외와 미래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지구 역사에 대한 지식이 지금 지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가 된다는 것은 이런 공부의 필요성을 절감케 하면서도, 공부가 필요했나 싶을 만큼 가까운 곳에 답이 있었다는 부끄러움도 느낀다.  


저자인 로스 미첼의 학문에 대한 열정과 과학자들의 연구에 대한 축적된 이야기들은 아주 흥미롭고 재미있으며 쉽게 서술되어 중등과정에서도 충분히 읽을 수 있으며, 지구 역사에 대한 기본 교양서로 널리 읽히기에도 적합한 책이라 생각한다. “《내셔널지오그래픽》에서 빌린 용어인 ‘지리 문해력’을 살짝 변형한 ‘지질 문해력’은 현재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p.15)는 서문의 문장이 책장을 넘길수록 더 깊이 뇌리에 새겨진다. 지식에 대한 보고로서 뿐만 아니라, 과학하는 자세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기 좋은 계기가 되며, 지구인의 삶과 미래를 바라보는, 우리 존재에 대한 이야기로 가득한 이 책은 필독서로 모두에게 권할만한 책이다.


p.107 당시 풋내기 학부생이었던 내가 느낀 바는, 학생으로서 틀려도 괜찮다는 것이었다. 사실 이것이 가장 좋은 학습법이다. 지질학자가 무언가를 처음 발견할 때, 처음에는 해석이 틀릴 수 있다. 하지만 그 실수는 절대 반복하지 않는다. 


p.340 과학은 시간이 걸린다. 이는 좌절감을 주는 면이 있지만 동시에 구원하는 면도 있다. 과학은 이제 전 세계에 걸쳐 상호 연결된 하나의 거대한 공동체로, 작은 네트워크가 광대한 규모로 확장됐다. … 과거에서 미래 세계로 떠나는 시간 여행에 동행해주어 감사하다. 아직 모든 것을 잃지는 않았지만, 우리에게는 정말 시간이 필요하다. 미래를 바라보는 시선이 있어야만 그 일부가 되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랑켄슈타인 책세상 세계문학 13
메리 셸리 지음, 정회성 옮김 / 책세상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세상서포터즈1기 #프랑켄슈타인 #메리셀리 #책세상 #책세상세계문학 #세계문학 #영미문학 #고전소설 #소설 #고딕소설 #여성작가 #추천도서 #페이지터너 #북스타그램 #신간도서 #정회성옮김



< 책세상 서포터즈1기 4월 도서 협찬 받아서 쓴 서평입니다 >

프랑켄슈타인은 내가 애정하는 작품이다. 작품도 너무 잘썼기도 하고, 내가 생각했던 프랑켄슈타인의 이미지를 깨어버린 작품이기도 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가독성이 좋고 스토리라인도 너무 좋다.

그래서 항상 고전소설 추천해달라고 하면 이 작품을 추천하는 듯하다. 

프랑켄슈타인 번역본은 진짜 수많은 출판사에서 번역되어 나왔다. 나도 3개의 출판사 번역으로 본듯한데, 이번에 책세상 출판사에서 새로운 번역으로 출간이 되었다. 정회성님 번역인데 이분 민음사 세계문학에서도 자주 보이시는 분이다. 영어,일본어 번역을 하시는듯 하다. 번역도 괜찮아서 읽는데에는 무리 없었던거 같다.



프랑켄슈타인은 작품에 나오는 괴물을 창조해 내는 박사이다. 단순히 인간의 궁금증으로 창조해 버린 괴물이. 창조를 해놓고선 무섭다고 손을 놔버린 프랑켄슈타인박사. 괴물이는 자신을 창조해낸 존재로부터 버림을 받고 스스로 이 세상에서 나란 존재의 이유를 깨우처 나가는 이야기를 담아내고 있다. 어찌보면 인간이 인간답지 않고, 괴물이 괴물답지 않는, 인간이 괴물같고, 괴물이 인간같은 이야기를 담고 있다. 어떻게 보면 괴물이라는 존재를 박사가 실제로 창조해 낸것일수도 있고, #지킬박사와하이드 처럼 박사의 내면의 존재를 밖으로 꺼낸것일 수도 있겠다. 



이 작품이 200여년 작품이라고 생각하면 도저히 믿겨지지가 않는다. 그리고 그 당시 여성이라는 신분으로 이러한 작품을 순식간에 적어내려갔다는 것도.. 이 작품이 너무 좋아서 다른 작품을 보려고 했지만 메리셀리의 작품이 많지가 않다. 단편 몇편정도뿐이라니, 너무 안타깝다.



프랑켄슈타인은 예전에 뮤지컬로 봤을때 뮤지컬의 넘버들도 주옥같았는데, 이번에 책세상 프랑켄슈타인을 읽으면서 뮤지컬음악과 함께 읽으니 이야기의 재미가 증폭되어 더 풍부하게 작품을 읽었던거 같다.



고전문학 입문을 하고자 하는 분, 무언가 재미있는 소설을 읽고 싶으신분들은 이 작품 꼭 추천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재명의 길 - 소년공에서 대선후보까지, ‘그들의 악마’ 이재명이 걸어온 길
박시백 지음 / 비아북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재명이 이깁니다 꼭 승리할꺼에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트] 악의 교전 1~2 세트 - 전2권
기시 유스케 지음, 한성례 옮김 / 현대문학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악의교전 #기시유스케 #한성례 #현대문학 #독서모임지원도서 #출판사지원도서 #서평 #도서지원 #개정판 #리커버판 #신간도서 #일본문학 #추리소설 #북스타그램


<해당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일파만파독서모임에 지원받았습니다>


일본 모던 호러의 대표작가 기시유스케의 악의교전이 이번에 현대문학 출판사에서 재출간이 되었습니다. 표지도 강렬한 까마귀일러스트로 소장욕구 땡기게 디자인이 되었고, 이번에 10년만에 재출간되면서 악의교전의 프리퀄 정도 되는 단편 #비밀 과 후일담을 다룬 #악의교전 두편의 미공개 작품을 추가하였다.


일단 지금까지 보아왔던 추리작품속에 나오는 살인마 중에서 단연코 완전 싸패왕급은 되는 놈이 나왔다. 첨에 시작할때는 약간 미드 덱스터 정도 되는 놈인가 했는데, 이놈은 그냥 살인마 그자체이다. 그리고 일본 추리소설들을 보면서 약간은 적응 하기 어려운 부분이긴한데, 성적인 이야기들이다. 이 작품은 학교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작품이다보니, 작품의 등장 인물들은 모두 선생님들이나 학생들이다. 근데 선생님과 학생, 남자와 여자의 성적인 구분이 없는 그냥 마구잡이 난잡성인물 그 잡채이다. 이런 부분만 아니라면 점수를 많이 줄 수 있었을텐데 말이다. 2권의 책이 매우 두꺼워 보이지만 작품의 가독성은 진짜 후루룩 찹찹이다. 거의 일본영화 배틀로얄 같은 학원물을 보고 있는 듯하다. 처음에는 신중하게 살인을 저지르는 하스미의 모습이 2권으로 가면 무작위적으로 매우 감정적으로 살인을 저지르는 모습이 조금 엉성하긴 했으나, 학원물 추리소설을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이미 이 작품은 많이들 봤을지도 모르겠다. 너무나도 유명한 작품이니 말이다.


작품이 어떤 교훈이나 감동을 주는 작품은 아닐지라도 확실히 재미하나만은 보장할수 있겠다. 머리 아픈 글들을 읽었던 사람들이라면 잠시 이런 작품으로 머리를 식혀가는 것은 어떨까?

확실히 호불호가 있는 작품이라서 선택은 본인의 성향에 따라 선택하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유론 고전의세계 리커버
존 스튜어트 밀 지음, 김만권 옮김 / 책세상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세상 #책세상서포터즈1기 #자유론 #존스튜어트밀 #김만권 #새로운번역 #신간도서 #책세상문고 #고전의세계 #북스타그램 #도서지원 #서평단


< 이 서평은 책세상 서포터즈1기 자격으로 작성했습니다 >

2005년 초판 발행된 책세상출판사의 『자유론 –서병훈옮긴이』은 Joh Stuart Mill의 <자유론On Liberty)을 온전히 옮긴 것이며 Educational Publishing, 1982)를 저본으로 삼았고, 거트루드 힘멜파브Gertrude Himmelfarb가 편집한 On Liberty (Harmondsworth, Middlesex: Penguin Books1974)를 참고했고,


2025년 발행된 이 책은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의 <자유론on Liberty>을 온전히 옮기면서 스테판 콜리니Stefan Collini가 편집한 On Liberty and other writings(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에 실린 "On Liberty"를 원본으로 삼았다. 


이 시기 어째서 다시 『자유론』일까 하는 궁금증을 던진다. 그것도 그다지 오래지 않아 같은 출판사에서 같은 표지를 갖고 나올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자유론”의 ‘자유’가 ‘freedom’이 아닌 ‘liberty’에서 오는 차이를 시작으로 책을 펼쳤다. 


우리가 알고 있는 서구적 개념의 ‘자유’를 존 스튜어트 밀은 “권력에 제한을 두는 일로서의 자유”로 다루고 있다. 

피지배자들의 지배권력에 대해 저항하거나 헌법을 세우고 일정기간으로 제한된 권한을 위임하기도 한다. 

밀은 정부의 공권력을 통한 개입에 제한을 두는 일뿐만 아니라 토론을 통해 자유롭게 이견을 제기할 수 있는 사회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기존의 진리가 새로운 진리의 끊임없는 도전에 열려 있는 사회, 자신의 주장에 오류가능성을 열어두는 사회가 훨씬 더 강하고 건강하다고 역설한다. 

‘오류가능성의 인정’은 그가 이 책에서 가장 강조하는 ‘공적토론의 도덕성’을 이루는 근본토대이기도 하다. 이 오류가능성을 부정하는 태도는 극단주의와 쉽게 결합한다. 극단주의는 타자의 말을 경청하는 일을 거부하기에 대화와 타협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필연적으로 강요와 폭력을 조장한다. 


이 책은 책으로서가 아니라 존스튜어트 밀과 한배를 타며 이 시기의 대한민국을 둘러 싼 이슈의 면면을 목도할 수 있는 것이다. 탈 진실과 극우포퓰리즘의 결합은 회복탄력성없는 경직된 사회를 만들고 있다. 


2025년 3월의 대한민국 국민은 국민이 권력의 자유를 제한하기 위해 만든 헌법기관을 바라보고 있다. 다른 사람의 생각을 얼마만큼 ‘수용’할수 있고 ‘경청’할 수 있는가. 

우리는 반드시 지금 『자유론』을 읽어야 한다. 


우리나라 12.3 계엄령이후에 번역되어 나온 작품이라 그런지 번역자분의 글도 너무나 와닿았습니다. 번역도 이전 번역보다 훨씬 가독성도 좋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