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있었다 - 경제학이 외면한 인류 번영의 중대 변수, 페미니즘
빅토리아 베이트먼 지음, 전혜란 옮김 / 선순환 / 2023년 4월
평점 :
페미니즘 (女性主義, feminism)은 어떤 집단에서는 낙인처럼 사용하는 단어가 되어버렸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페미니즘은 젠더 불평등을 연구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인류가 올바름으로 나아가기 위한 운동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활동 덕분에 단지 성별 때문에 ‘잊혀지거나 무시된’ 많은 과거 여성들의 업적을 다시 이해하기 시작했고, 그럼으로 인해 우리가 지금 마주한 현실의 불평등을 다시 한번 되새겨 보기도 합니다. 페미니즘을 단순한 여성 우월주의로 이해해서는 안되는 이유는 현실에서는 아직까지는 남성의 권력이 공고하기 때문이지요.
“우리가 있었다 (빅토리아 베이트먼 著, 전혜란 譯, 선순환, 원제 : The Sex Factor: How Women Made the West Rich )”는 흥미로운 책입니다.
자본주의가 발달하면서 ‘돈’의 가치가 무엇보다 숭상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서구로 통칭되는 미국과 유럽이 어떻게 ‘부자’가 되었는지를 이야기하면서, 이러한 발전 과정에 있어 여성의 역할을 기존 경제학에서 어떻게 간과하고 무시했는지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특히 저자는 , 여성의 기여가 현대 경제 시스템을 형성하는 데 결정적이었다고 주장합니다.
저자는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경제사를 살펴보는데, 이를 통해 독자로 하여금 새로운 관점으로 경제사를 바라보게 하고 있습니다. 특히 농업, 산업, 무역, 금융 분야에서 여성의 역할을 살펴보고 각 분야에서 여성의 공헌이 무시되었으나, 사실은 무시될 만큼 가벼운 공헌이 아니었다고 저자가 주장하는데 책을 따라가다 보면 독자는 저자의 주장에 동조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사례와 근거를 제공받게 됩니다.
경제성장 관점에서 역사적으로 경제 성장이 가장 높았던 시기와 지역을 보면 일반적인 통념과는 다르게 임금이 높은 시대, 그리고 임금이 높았던 지역을 중심으로 폭발적인 경제 성장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저임금으로 인한 잉여가치의 극대화가 경제 성장의 핵심이라는 전통적 자본주의 경제 사상이 실제와는 맞지 않는다고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산업혁명의 발상지였던 영국은 전통적인 고임금 국가였고, 대부분의 경제 호황기를 맞이한 대부분의 국가 역시 마찬가지 였다는 것이지요. 심지어 산업화의 중심 국가가 이동하기 시작한 19세기말에서 20세기 뿐 아니라 21세기에도 이러한 역사적 증거는 유효하다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또한 서구 경제 발전에 대한 여성의 기여에 대한 현대적 맥락 역시 놓쳐서는 안되는 중요한 주장입니다. 특히 2차 대전 이후 여성의 경제 참여가 활발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완전한 경제 참여에 여전히 성별 임금 격차, 리더십 직책의 여성 부족, 가정 내 성별 분업 등 다양하며 상당한 장벽에 직면해 있음을 이야기합니다.
경제의 지속 발전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류의 절반을 배제하지 않는 것이라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반드시 성별에 따른 경제 활동 참여의 장벽을 해소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우리가있었다, #빅토리아베이트먼 #전혜란 #선순환 #책좋사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