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엄마의 말하기 수업 - 스웨덴 자녀교육 베스트셀러 1위
페트라 크란츠 린드그렌 지음, 김아영 옮김 / 북라이프 / 2015년 9월
평점 :
절판



"엄마가 그렇게 소리를 지르면 나는 나를 사랑하기가 어려워요."

언젠가 내가 올린 블로그 포스트의 제목이다.

평소에는 자신을 사랑하지만, 엄마가 화난 목소리로 말을 하면 자신이 바보가 된 것 같다는 딸의 말에

그녀는 많은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저자 역시 '전문가'임에도 아이에게 감정을 앞세운 말들로 상처를 주는 악순환을 반복해 왔다.

그러다 엄마에게 확고한 기준이 없다면 의미 없다는 것을 꺠닫고 자신의 아이가 어떤 어른이 되면 좋을까 생각한 끝에 내린 결론이 바로 '스스로를 사랑할 줄 아는 자존감이 높은 사람'이었다.

이 책은 치열했던 저자의 육아 경험은 물론,

현장에서 만난 엄마들과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 아이와 어떻게 대화를 나눠야 하는가'라는 주제를 풀어낸 책이다.

이책은 아이와 부모의 수평적 관계를 중요시하고,

수많은 대화를 통해 서로의 감정과 생각을 공유하는 스웨덴식 육아의 핵심을 보여주고 있다.

 

아이를 셋을 키우면서

제가 살아오면서 가장 어려운건 육아,양육...바로 엄마가 되는 것이였습니다.


과유불급...

너무 친절하고 웃기만 하면 이녀석들이 해야할 것도 하지 않은채 주의 산만이고,

무섭고 근엄한 엄마이기만 하면 주눅이 들어버리니..

참 어떤것이 현명한지...

엄마도 가면을 써야하나봐요..

상황에 맞는 적절한 가면을 말이에요..

하지만 엄마도 사람인데 어찌 감정조절을 딱딱 상황에 맞게 할까요?

항상 생각하고 고민하는 부분이에요..



큰아이와 둘째의 수업이 끝나는 시간에 맞춰서 학교앞에 있으면

이녀석들 세상을 다가진 행복한 표정으로

"엄마"를 부르면 내려옵니다.

그럴때

아~정말 아이를 낳기를 잘했다는 생각을 하곤해요.


만나자마자

오늘 있었던 일을 조잘조잘 얘기하는 아이들..

형의 이야기, 동생의 이야기를 이젠 들어주며 서툴지만 호응도 해준답니다.


아이가 셋이다 보니 한번 이야기를 하면

서로의 목소리만 커지고 다른형제의 말을 듣지를 않아서

꽤 오래 훈련하고 기다려준 결과입니다.


저녁식사를 할때는 손을 들고 이야기를 하죠..

눈으로

다음엔 네가 이야기 차례야..기다리자

라는 눈짓을 주면

알겠다고 고개를 끄덕이며 알겠다는 신호를 보냅니다.


가끔은

만약 아이가 하나였다면 더 많은 이야기를 나누고

더 많은 감정을 공감해주며

더 가깝고 친밀하게 지낼 수 있을텐데라는

아쉽다는 생각을 하곤합니다.


세녀석이다 보니

한녀석의 말투를 줄줄히 영향을 받아 따라 하기때문에

조금의 실수나 나쁜 어투는 바로 고쳐줘야합니다.


제말 한마디 한마디가 아이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저나 옆지기의 말투를 그대로 따라하는게 보여요.

또한

아이들의 성격형성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아이들과 하루종일 대화를 하며 순간순간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의 연속이랍니다.


저는

존댓말과 공손하고 예쁜말투를 유지하기 위해

말문이 트일때부터 존댓말로 말을 가르쳤습니다.

그때, 옆지기가

아이가 존댓말로 말을 하면 거리감이 느껴지고 귀여움이 없을거 같다고

반말하게 내비려두자고 했었습니다.

하지만 아들들이 나중에 자라서 사춘기때 반말로 제게 반항을 하면 서로 거칠어질것도 생각해서

3,4살 아이들에게 존댓말로 말을 주고받았어요..


제가 한 육아중에 참 잘한 일이라는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산넘어 산이라고..


하루에도 예상치 못하는 행동들을 수도없이 하는 아이들.

잘못을 했을 때

어떻게 말을 해야 아이가 잘못은 알되 마음은 다치지않는지..

칭찬받을 일을 했을때

과정을 칭찬하라고 했는데 어떻게 해야하는지...

상황은 수백개, 수천가지인데 말이에요..


내 몸의 컨디션이 안좋은 날엔

아이에게 너무 많은 말을 퍼부어버리죠.

아이가 흐르는 눈물을 보며

아차 싶을때도 있지만 제 입은 주절주절 아이의 잘못을 비난하고 있죠.


마음이 상했을거라고 생각하면서 아이에게 엄마를 이해해달라고 말을 합니다.


아이가 엄마를 이해하기보다 제가 아이를 이해하는 편이 더 쉽다는 것을 알면서 말이에요.


저는

많은 육아서를 곁에 두고 밑줄을 그어가며 읽습니다.

친구들에게 말을 합니다.

육아서는 읽을때 많은 후회와 공감을 하며

내 다시는 아이들에게 이러지 않으리라

라는 경각심을 갖게해주는데... 며칠안가서 문제야...


그럼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경각심을 갖기위해 읽는답니다.


읽은 책을 소개하려고 했는데 제 양육스타일만 주절주절 말했네요..

제게 많은 도움을 준 책이있어 소개합니다.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는 스칸디식 공감 대화

스웨덴 엄마의 말하기 수업

스웨덴 자녀교육 베스트셀러 1위


라고 하네요..


아이스크림이 먹고 싶다고 떼를 쓰는 아이와의 대화입니다.

현명한 대화법이 있어서 소개합니다.



 

 

 



맞아! 그래! 그렇구나! 아하!

이런 공감을 하면서 계속 읽었습니다.


이제 막 말을 배우기 시작하는 아이들 둔 부모님들에게,

떼를 쓰기 시작하는 아이와 힘들게 갈등을 겪고 있는 5~6세 부모님들에게도~

점점 자신의 이야기를 하지 않는..물어봐야 겨우겨우말하는

 비밀스런 8~9세의 아이를 둔 부모님들에게도

권해드리고 싶네요.




훌륭한 부모로부터 받은 사랑에 넘치는 체험은 먼 훗날 노년이 되더라도 결코 지워지지 않는다. -루드비히 베토벤


책속에 말이에요..

아이들이 자라 어른이 되고

어른이 된 아이들이 자기의 아이들을 키울때

"그래..우리 엄마,아빠는 정말 훌륭한 부모님이셨어..

우리 부모님처럼 그런 부모님이 되고싶어."

라고 말 해 주었으면 좋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