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피로사회
한병철 지음, 김태환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2년 3월
평점 :
“”피로란 스스로 고통을 느낄 줄 모르는 간의 고통이다. “”
자유에서 새로운 강제가 발생한다는데 자유의 변증법이 있음
<<우리는 피로하다>>
우리는 늘상 피로하다고 생각한다. 육체적인 피로 뿐만 아니라 무엇으로부터 쫒기고 있다는 압박을 받으며 생활한다. 이는 정보사회를 살고 있는 우리 모두에게 적용되는 현상이며 이것의 발생원인과 개선점에 대한 사고가 필요한 시점이다. 평상시에 무언가로부터 심리적 압박을 느낀 경험이 있다면, 성과를 위해 자신을 과도하게 채찍질하고 있다면, 즉 다시 말해 스스로를 더욱 피로한 상태로 몰고가고 있는 현대사회의 우리들에게 필요한 책이다.
<<우리는 왜 피로한가>>
긍정성과 부정성의 패러다임
저자는 부정성의 패러다임과 긍정성의 패러다임으로 현대 사회의 가치관과 생활 습관의 변화를 설명한다. 부정성은 규율, 규범, 강제 등의 패러다임으로 “~ 하지 마라” 라는 통제, 규제다. 이는 과거 서양사회의 가치관으로 자리 잡았으며,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규율이 우리의 생활을 지배했다. 다시 말해 누군가 우리를 압박하며 성과를 만들어 내도록 통제했다는 점이다.
하지만, 자본주의와 물질만능주의 세태는 부정성의 프레임과는 다른 긍정성의 프레임으로 사람들을 몰아가고 있다. 긍정성은 “~해야 한다” 라는 생산적 패러다임이다. 이는 장미빛으로 보이는 ‘자기주도적’ 이라는 단어와 함께 개개인의 자유를 존중하는 것 같지만, 오히려 성과의 압박으로 인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자신을 채찍질하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긍정성 패러다임의 과대화는 우리를 ‘더 많이, 더 빨리’ 라는 생각으로 이끌며, 지금 생산적인 일을 하고 있지 않다면 잘못하고 있다는 불안으로 살게 만든다. 무엇을 해야만 할것만 같은 압박을 주는 것도 바로 이 긍정성의 과대가 일으킨 증상이다.
긍성성 패러다임의 과대화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규율로부터의 자유는 포스트모더니즘적 유토피아를 약속하는 것 같지만, 이러한 긍정성의 과잉이 자아를 새로운 궁지로 몰아가고 있다. 성과주체는 긍정성의 과대화로 인해 자기 자신을 뛰어넘으려 끊임없이 노력하고, 자신을 마모시키는 피로 사회를 만든다. 그 결과 사회는 우울증이 만연하며 성과를 위해 도핑주사까지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는 규율로 부터 자유로움이 아니라 성과주체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없는 더욱 피로한 ‘피로사회’를 만든다. 이는 성과와 생산성이라는 또 하나의 계율을 형성하고, 현대 사회인들은 ‘자유로운 강제’ 또는 ‘강제하는 자유’ 로부터 진정으로 자유롭지 못하다.
“인간을 병들게 하는 것은 과도한 책임과 주도권이 아니라 후기 근대적 노동사회의 새로운 계율이 된 성과주의의 명령이다. “ 성과주체는 자기 자신과 전쟁 상태에 있다.
“성과주체는 성과의 극대화를 위해 강제하는 자유 또는 자유로운 강제에 몸을 맡긴다 과다한 노동과 성과는 자기 착취로까지 치닫는다. “성과사회의 심리적 질병은 바로 이러한 역설적 자유의 병리적 표출인 것이다”
<<우리는 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깊은 주의
깊은 주의란 눈의 부산한 움직임을 중단시키고 제 멋대로 이리저리 움직이는 자연의 손을 묶어둘 수 있는 집중 상태를 만들어 내는 힘이다. 하지만, 깊은 주의는 과잉주의에 자리를 내주며 사라져가고 있다. 다양한 과업, 정보 원천과 처리 과정 사이에서 빠르게 초점을 이동하는 것을 멀티테스킹 능력이라고 부르며, 이러한 산만한 주의의에 적응되어 가고 있다.
예를 들어, 기계는 어리석게 계속되는 활동은 중단되는 일이 거의 없다. 기계는 사람의 일을 도와주지만, 잠시도 멈출 줄을 모른다. 컴퓨터는 이러한 엄청난 연산 능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깊은 주의와 잠시 멈춰 생각하는 능력이 없다. 이렇듯 깊은 주의 없이는 부산한 움직임과 기계와 같은 입력된 동작만이 존재할 뿐이다.
보는 법의 교육
보는 법을 배우는 것은 정신성을 갖추기 위한 최초의 예비 교육이다. 인간은 어떤 자극에 즉시 반응하지 않고 속도를 늦추고 중단하는 본능을 발휘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눈으로 하여금 사색적인 주의의 능력, 오래 천천히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게 해야한다.
정신의 부재 상태, 천박성은 자극에 저항하지 못하는 것, 자극에 대해 아니라고 대꾸하지 못하는 것에 그 원인이 있다. 즉각 반응하는 것, 모든 충동을 그대로 따르는 것은 이미 일종의 병이며 몰락이며 탈진이다.
균형, 긍정성의 힘과 부정성의 힘의 조화
‘무엇을 할 수 있는 힘’ 의 긍정성과 ‘무엇을 하지 않을 수 있는 힘’의 부정성이 조화됨이 필요하다. 지속적인 성과주의와 물질만능주의의 폐혜로 인해 긍정의 힘이 과잉된 현 상황은 자기 자신을 압박하고, 채찍질하며 살아가게 만든다. 이러한 성과에 대한 압박은 피로와 탈진으로 자신을 마모시킨다. 우리는 긍정성의 힘을 과대화 시키기 보다는 잠시 멈추고 생각할 수 있는 힘인 부정성의 힘을 긍정성과 조화시켜야 한다. 이유없이 자신을 성과로 향하게 만드는 것에서 벗어나, 사색을 통해 두 힘의 조화 시키는 연습이 필요하다.
<<주체적 자유사회>>
“언제나 피로한 상태. 그것은 특별한 의미에서 피로한 자들의 사회이다.
긍정성의 과잉. 부인이 아니라 아니라고 말할 수 없는 무능함, 이는 무엇을 해서는 안됨이 아니라 전부를 할 수 있음에서 비롯된다. “
성과주의 사회에서 자기 자신을 더욱 채찍질 하는 것을 나쁘다고는 볼 수 없다. 하지만, 이런 현상과 노력이 자의적인가 또는 본인도 모르는 압력으로 인해 진행되고 있는지를 생각해봐야 한다. 어떤 상황을 인지하고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거은 큰 차이를 가진다. 책의 내용과 의미를 곱씹으며 사색을 통해 내 자신을 보다 자유롭게 만드는 일이 필요하다. 이유없는 압박과 불안 그리고 초조함으로부터 자유는 피로사회가 아닌 주체적 자유사회(가칭)를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피로사회로부터 자유로운 주체적 자유사회를 만들어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