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루 15분 정리의 힘 - 삶을 다시 사랑하게 되는 공간, 시간, 인맥 정리법
윤선현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정리란 무엇인가?>>
정리를 함으로 인해 좀 더 여유있는 삶을 살 수 있다.
하루 24시간의 1%에 지나지 않는 15분이란 짧은 시간의 정리로 인해 좀 더 여유로운 삶을 살 수 있다. 자신의 삶을 좀 더 사랑하는 삶을 살 수 있다. - 본문 中-
우리는 정리라는 단어를 막연하게 생각한다. 자기 자리를 깨끗한 정돈하는것인 ‘청소’를 정리의 전부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사람들에게 저자는 말한다.
“정리는 일상의 질서로 인생의 질서를 되찾는 마법이다. “
책을 읽기 전 다음과 같은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보자.
‘정리란 무엇인가?’
‘정리는 왜 필요한가?’
‘정리를 통해 무엇을 얻고 싶은가?’
상기 질문들에 대해 자신만의 정의와 답을 만들어가며 책을 읽는다면 더욱 효과적인 책이라 생각한다. 개인적으로는 공간, 시간, 인맥 관리법에서 정리 부분이 유익했다. 시간 관리는 다른 책과 평이했고, 인맥 관리 방법은 개인적으로 생각이 다른 부분이 있어서 ‘공간 정리’ 편 위주로 내용을 정리해본다.
<<왜 정리를 해야하는가?>>
21세기의 현대인은 끊임없이 새로운 일, 물건, 사람, 정보가 들어오는 사회에 살고 있다. 이런 수 많은 정보를 정리하지 않는 다면 일상생활의 효율성은 떨어지고, 정리로 하여금 스트레스까지 받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자신만의 정리의 흐름을 만들어 삶을 좀 더 윤택하게 만들어감이 필요하다.
<<어떻게 정리를 해야하는가? >>
정리는 습관이다
날잡고 정리를 하기 보다는 정리는 하루의 일과가 되게끔 만들어라.
이제 더이상 대청소는 없다. 하루 15분 정리의 힘을 통해 정리를 습관으로 만들자.
(습관이 되면 15분이라는 시간도 길 정도로 정리가 익숙해질 것이다.)
정리의 세가지 규칙
1. 사용 후 제자리에 둔다.
2. 일정기간 사용하지 않는 물건은 버린다.
3. 필요없는 물건은 구입하지 않는다.
이런 사소한 습관은 누구나 알고 있는 조언이다. 하지만, 이것을 직접 실행해야지만 정리를 통해 자신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다.
잡동사니 버리기
나에게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제 3자의 입장에서 그 물건에 대해 객관적인 평가를 내려보라. 1년 뒤, 3년뒤, 10년뒤에도 내가 이 물건이 필요할 것인가? 한번이라도 필요할 것인가?
첫번째 시작은 지갑정리
많이 쓰는 것들을 앞에 배치하고, 필요없는 쿠폰이나 영수증등은 처리하여 깔끔하게 정리한다. 지갑을 시작으로 정리에 대한 자신감을 갖고, 자신의 공간을 정리해보자.
잡동사니를 버리기 위한 자가질문
- 1년동안 이 물건을 사용하신 적이 있나요?
- 앞으로 다시 사용하실 일이 분명히 있나요?
- 똑같은 물건이 이렇게 많을 이유가 따로 있나요?
(잡동사니를 버리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추천할 방법이다. 추억이라는 이유로 물건을 버리지 못하는 물건에게 이제는 작별을 고해야할 시기다.)
5단계 정리법 (공간정리)
1. 목적 파악하기 - 왜 정리를 해야하는가? 무엇을 위해 정리를 하고 싶은가?
2. 분류하기 - 필요/불필요, 빈번/가끔.
3. 시스템 만들기 - 자신의 공간에 규칙을 부여함
4. 정리 정돈 청소
정리 - 필요 - 꼭 필요한 일을 하는 것
정돈 - 편리 - 편안하게, 사용하기 편하게
청소 - 깨끗하게, 깨끗하게 처리
5. 규칙만들기 - 아침, 저녁 10분간 정리. 최소한 중앙은 비워두기
시간정리
패턴을 파악하기. 고정시간을 분석하고, 가변시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시간을 관리한다.
필수시간 - 수면, 출퇴근, 식사
의무시간 - 회사일 or 수업
여가시간 - 내가 control 할 수 있는 시간
이렇게 카테고리를 나누고 30분 단위로 나의 시간 사용을 정리해보라.
(개인적으로 고정시간과 가변시간을 파악한 결과 내가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의 흐름과 낭비하고 있는 시간을 파악할 수 있었다.)
효과성과 효율성
아무런 효과가 없는 것에 효율성을 중시하는 사람은 핵심을 놓치고 있는것이다.
현재 일 중에서 필요한 일과 불필요한 일이 무엇인지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야근을 하는 사람은 많다. 한국인 평균 일주일에 2~3번은 야근은 한다. 이유는
멍하게 시간을 보내는 사람. 시간 관리에 취약한 사람이라고 한다. 내가 그렇게 생활하고 있지는 않은가? 특히 지금 현재 정확히 무엇을 해야할지모른 채 컴퓨터 앞에 앉아있는내 모습은 시간관리는 커녕 생각 없이 살아가는 직장인 한명으로 보일 것이다 .
<<나에게 정리란>> (개인적인 정의로 책의 내용과는 연관이 없다)
Q. 정리는 무엇인가? 나는 왜 정리를 해야하는가?
정리는 나의 삶을 윤택하게 만드는 행동이다. 또한, 나의 삶을 더욱 사랑하는 행동이다. 작은 범위에서 보면 시간을 줄여주는 습관이라고만 말할 수 있지만, 정리가 가진 효과는 표면적 가치 그 이상이다. 규칙적인 생활과 깨끗한 환경으로 인해 마음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이 책을 읽고 달라진 나의 사무실 책상과 내 방의 정리된 모습을 보면 뿌듯함을 느끼며, 나도 모르게 마음이 편해진다. (물론, 이 정리가 습관이 되도록 유지하는건 나이게 달렸지만 말이다.)
Q. 정리를 통해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
일과 삶의 균형을 얻을 수 있다. 시간을 쉽게 관리할 수도 있고, 좀 더 차분한 환경에서 내가 담당하는 일과 좋아하는 일에 더욱 쉽게 집중할 수있을 것이다.
대외적으로 나의 이미지를 관리할 수 있다. 정리가 잘 된 사람을 싫어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더불어 평소에 어지럽혀진 방이 정리정연된 모습으로 변했을 때 느끼는 성취욕과 자기만족은 정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분명한 장점이다.
Q. 어떤 나만의 정리법을 만들고 싶은가?
'정리의 기본 3원칙'을 지키겠다.
사용한 것은 제자리에 놓는다.
불필요한 것은 사지도 않고, 사용하지 않을 물건을 정리한다.
무엇보다 이것이 습관이 되도록 만든다.
나만의 '정리 리츄얼'을 만들겠다.
출근 시 나의 책상을 닦고, 사물을 정리하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하겠다. 정리 정돈된 나의 책상을 보며 하루를 상쾌 하게 시작함과 동시에 to do list 를 일목요연하게 만들어 규칙적인 생활을 하겠다.
Q. 다짐이 있다면?
언행일치.이제는 달라지겠다.
책에서 읽은 정보를 지식들에서 끝내지 않고, 생활 습관으로 바꾸겠다.
P.S
주변의 친구, 지인들이 이 리뷰를 본다면, 제 사무실 책상이나, 집안의 공간, 휴대폰, 지갑 등에 정리되지 않은 모습을 본다면 말해주세요. 커피한잔 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