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부론 -하 - 경제학고전선 애덤 스미스, 개역판
아담 스미스 지음, 김수행 옮김 / 비봉출판사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국부론 영문 원서를 보지 않았고, 김수행 선생의 수업을 들은 점이 없다는 점을 먼저 밝혀 둔다. 이것을 밝히는 것은, 이 책의 번역이 잘 되었는지 -이전의 동아출판사 본이나 다른 분의 번역과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잘 모른다는 것과, 김수행 선생이 어떤 목적에서 이 책을 번역했는지도 역시 모른다는 것을 말하기 위함이다. 때문에 번역에 대한 논의는 하지 않겠다. 다만 빈번하게 등장하는 "번역자의 주석"에 대해서만 말하겠다.

The Wealth of Nations (Modern Library)

(김수행 선생의 번역본이 원전으로 삼은 것 중 하나인 Edwin Cannan의 국부론. 아마존에서 17.79달러-2008.07.18일 현재-에 구할 수 있다)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출판사에서 겉 표지에 붙인 광고문구인데, 이렇게 되어있다.

....."불후의 경제학 명저! 사회과학 최고의 고전!!...."

한마디로 꼭 읽어봐야 할 책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하나 재미있는 것은 김수행 선생의 국부론 번역본은 자본론을 읽기 위한 전초라는 것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것은 원서에는 없는 역자 주석에서 잘 나타난다.

국부론 (상) 제1편 1-11장(총 329쪽) 중에는 역자 주석이 모두 38번 나오는데, 주로 이런 식이다.

"마르크스에 의하면.... 자본론 제3권 제45장을 참조하라...."(190쪽)

뉘앙스를 말하자면, "마르크스는 스미스가 잘못 이해한 모모한 것들을 지적했다" 다. 그런데 이렇게 마르크스 또는 자본론을 언급한 주석이 20번이나 된다.

역주 38개 중에 20번 마르크스가 언급된 것이 뭐 그리 많을까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마르크스가 언급되지 않는 다른 역주의 경우 굳이 하지 않아도 될 주석인 경우가 많다. 

예를들면,

 "(이 책의) 제4편 제5장(장려금)을 참조하라"(252쪽)

과 같은 것이 그렇다. 

따라서 20개의 역자 주석이 마르크스가 자본론을 반박한 내용에 집중하고 있다면 나머지 18개의 주석은 저자가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그러나 본질 적이지는 않은 - 친절한 고려에 그치고 있다. 마르크스에 관련된 주석은 비교적 충실한 반면, 나머지는 없어도 될 역자 주석이다.    

김수행 선생은 마르크스 전공자 답게 이 책을, 자본론을 읽기 전에 먼저 읽어야 할 사전 작업으로 여기고 있는 듯 하다.(자본론 수업시간에 학생들이 국부론을 먼저 읽어 오지 않은 것에 '분노'하시어 이 책을 번역한 것은 아닌지 궁금하다) 

사실, "자본론은 국부론과 함께 읽어라"라는 말이 있듯이 국부론은 자본론을 보려는 이에게는 선수 과목과도 같은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에서 역자의 주석은 자본론과 국부론을 연계해서 읽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쉬운 점은 번역자가 굳이 "국부론" 번역서에 자본론을 사사건건 끌어들여 역자 주로 처리할 필요가 있었을까 하는 점이다. 이는 마치 군데군데 잘못된 책을 읽고 있는데, (저자도 아닌) 역자가 친절하게 Erratum를 함께 제공해 준 느낌이다.(출판사는 이 책을 불후의 경제학 명저이자 사회과학의 최고 고전이라고 선전하지 않는가?) 자본론 입장에서 본 국부론 비판은 굳이 번역서 역자 주가 아니더라도 논문이나 강의를 통해 보다 충실하게 다룰 수 있을 텐데 말이다.   

물론, 역자의 이런 편집 의도는 잘했다 못했다를 따질 문제는 아니다. 더구나 김수행 선생을 다소라도 안다면, "김수행 선생의 국부론은 마르크스 시각에서 본 자본론"이라는 것을  어느 정도 각오할 일이기도 하다. 

하지만 번역자가 원서에 어떤 가치를 불어 넣고, 해석하여 독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과연 옳은가 하는 의문은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김수행 선생의 제자가 아니라면 이런 역자 주는 불편하다)  이 책의 경우, 자칫하면 국부론을 위한 역자 주가 아니라 자본론을 읽기 위한 역자 주가 될 수도 있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달리말하자면, 김수행 선생의 번역본은 독자가 책을 읽으면서 스미스의 견해를 쫓아가며  스스로 생각해 볼 기회를 빼앗아 버린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이런 이유로 평점에서 별을 하나 뺐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이사르 2008-08-10 14: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당신의 말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저는 이 책을 잘못샀다는 생각마져 드네요~^^
저는 정말로 국부론 자체를 탐독하기 위해
이 책을 샀는데 그저 자본론적인 시각으로만 바라보는
역자의 시선이 책을 읽는데 많은 혼란을 갖게 만드네요.
국부론 자체도 그리 읽기 쉬운책이 아닌데
내용 자체에 하나하나 반박을 가하니 이건 한장한장 넘기기가
힘드네요~^^ 저 같았으면 별 한두개 줄까말까 입니다~^^

홍상표 2008-10-24 19: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리플 감사드려요^^
많은 도움이 됐어요

oren 2009-01-29 18: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또한 님의 리뷰 내용글에 어느 정도 공감이 가는군요. 한편으로는 김수행 교수님께서도 '서문'에서 명백히 밝혀둔 내용이니만큼 역자분의 생각도 어느 정도 이해할만 하다고 봅니다.
**************************************************************************
내가「국부론」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자본론」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고 있는 책이 바로 「국부론」이기 때문이다.
둘째,「국부론」에는 경제학의 체계를 세우려는 스미스의 진지한 조사와 탐구의 노력이 스며있기 때문이다.
셋째, 「국부론」이 강조하는 자유경쟁은 부르주아경제학이 예찬하는 시장과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 '역자 서문' 中에서
**************************************************************************

jaibal 2009-05-05 00: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라면 그런 식의 주석이 감사할 것 같은데요.... 국부론이나 자본론이나 사회과학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자본론의 시각에서 국부론을 바라봐서 주석해준 것이 있다면 아주 좋은 참고가 될 것 같은데요.

더불어 경제학 공부하려는 사람이라면 김수행 교수의 역주에 대해서 스스로의 주관으로 비판을 하면서 참고할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그게 정 싫은 사람은 다른 사람이 번역한 국부론을 읽으면 좋지 않을까요? 소설에 주석을 붙이면 읽기에 방해가 될지 몰라도, 경제학 공부하는 책인데.... 주석이 많을 수록 좋은 것이고, 더우기 자본론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역주라면 더욱 더 좋을 것 같은데요...

jaibal 2009-05-05 00: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출판사가 이 책을 불후의 경제학 명저이자 사회과학의 최고 고전이라고 선전하는 것은 책 팔아먹기 위한 것이고.... 아담스미스의 국부론이 오류가 없는 책이란 말은 아니겠죠. 말 그대로 고전이라서, 후대의 경제학자들에게 참고가 된 것이고, 또한 국부론은 아담 스미스의 독창적인 저작이라기 보다는 일종의 짜집기라고 봐야죠.

그런 책에 대해서 일관된 어조로 주석을 붙여주는 것은 매우 좋은 것 같은데요.... 나중에 다른 이가 더 번역하면서, 프리드만의 시각으로 주석을 붙여주는 책도 나올 수 있는 거겠죠.

경제학 연구 2018-04-21 19: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는 국부론을 김수행 본으로 읽지 않고 최임환 본(을유문화사)으로 읽었습니다. 번역이 무난하고 한자도 많아서 이해가 좋았습니다. 젊은 사람들은 힘들겠지만 모름지기 김수행 본 보다는 낫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을 보기 힘들다면 최호진,정해동 본(범우사)으로 보셔도 됩니다. 이 분들도 유명한 분들이고 제가 틈틈히 참고 했는데 좋다고 생각합니다. 유인호 본(동서문화사)은 단락이 나누어 지지 않았어나 다른 본과 무차별하며 young2miso님의 지적을 극복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