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중독'이라는 두권짜리 책을 나는 중학생때인가, 고등학생때인가 읽었던것 같다. 처음 읽을때는 좀 이해도 안되고 뭐 그냥 그렇네... 하는 맘이었다... 솔직히 그때 사랑과 나이와 관계에 대해서 알기엔..음 좀 어린감이 없지않았다고 생각한다... ^ ^;;; 어쨌든 난 이책을 내가 25살에 다시 읽었다.  그 나이도 그다지 많은 나이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래도 이책에 많은 공감을 하며 그렇게 읽었다.

'서른'이란 나이가 주는 어떤 묘한 서글픔... 소위 꺽어진 60이라 말하는 '서른'이란 모든 사람이 겪어야하는 인생의 전환점이 아닌가 싶다. 특히나 여자들에게는 서른이라는 나이가 남자들에게보다 더 서글프게 느껴지는 게 아닌가 한다. 나이가 서른인데, 결혼도 하지않았고 딱히 남자친구가 있는 것두 아니구 더이상은 탱탱한 피부도 화장기 없는 얼굴로는 다니기가 좀 그런 한창이라는 나이인 20대를 지나 상당히 어정쩡한 상태로 들어선다는 느낌을 받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일꺼라 짐작한다. 게다가 뭐 어느나라나 그렇기는 하지만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여자나이 서른이에....'라는 수식어가 너무나 많은 곳에 붙기 때문에 더 많은 상실감을 느끼는 게 아닌가 한다. '결혼을 못한(안한게 아니라 못했다라고들 한다.) 서른 먹은 노처녀'와 서른이지만 결혼을 해서 남편이 있는 혹은 남편과 아이들이 있는 여자들은 엄청나게 다른 대접을 받는 다. 구지 부연설명을 주저리 주저리 달지 않아도 다들 말 없이 이해하거나 혹은 현재 그런 다른 대접을 받거나 그렇게 다른 대접을 하고 있을 꺼라고 생각한다.

서론이 길었지만, 어쨌든 내가 드라마로 본 김삼순과 이 책 연애중독은 너무나도 그점들을 적날하게 그리고 재미있지만 상당히 씁쓸하게 표현했다고 본다. 김삼순은 해피엔딩이지만, 연애중독은 반반의 엔딩을 담고 있다. 결국은 타의에의해 어쩔수 없이 그 멋지고 괜찮은 놈과 헤어졌지만, 자기 자신에 대한 자신감(?)을 느끼며 그 결말에서 자신스스로가  자신을 일으켜세우는 것으로 끝난다. 적어도 내게는 그렇게 다가왔다.

서른이란 나이는 참 어정쩡하다. 10대는 공부와 입시 그외에는 부모님과의 갈등과 친구들로 그 세계가 채워지고 20대에는 막 젊음을 알아가고 즐기고 세상을 알아가고 조금씩 익숙해지는, 책임감보다는 즐기는 시간이지만, 30대는.... 20대에 느끼지 못한 책임감을 아니, 미뤄두었던 책임감에 익숙해져야하고 무엇보다 자기자신을 추스리고 말하자면 정신적인 홀로서기를 해야하는 때 인것 같다... 그런데, 그게 말이 쉽지, 정말 그렇게 하기란 하늘에 별따기만큼이나 어렵다고 생각한다. 특히나 앞에서도 말했듯이 여자는 어느정도 나이가 되면 어떻게 해야한다는 선입견이 너무나 강한 우리나라에서는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