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 퀸 - 테일러 스위프트 평전
롭 셰필드 지음, 김문주 옮김 / 영림카디널 / 2025년 3월
평점 :
2010년, 아만다 사이프리드를 좋아하는 한 여고생은 그가 주인공인 영화를 보러 집 앞 영화관으로 향했다. 이 여고생은 영화가 끝나자마자 집으로 돌아와 컴퓨터를 켜고 검색창에 노래 제목을 입력하고 엔터를 눌렀다.
"Love Story"
그렇게 여고생은 한 가수를 알게 되었다. 이 노래를 보다 더 가득히 마음에 품고 싶어서 가사를 프린터기로 뽑아 밑줄을 그으며 노래를 듣고 또 듣는다. 그리고 15년이 지난 지금, 이 여고생이었던 사람은 스포티파이에 이 노래를 검색하고 재생 버튼을 누른다. 그리고 이 가수의 전시회에 가고 이 가수의 일대기가 담긴 책을 읽는다. 그때도 지금도 여전히 기타 소리로 시작되는 이 노래를 들으면 괜히 마음이 설레인다.
그렇다. 다들 짐작했겠지만 나의 15년 전 이야기다. 외국 가수나 팝송을 거의 모르던 시절에 처음으로 내 손으로 찾아서 들었던 외국 노래다. 이 이후로 테일러 스위프트의 새 노래들을 계속 찾아 들었다. 벌써 테일러 스위프트를 좋아한 지 15년이라는 시간이 되었다니. 참 신기하다. 2011년에 금발을 한 소녀가 서울 한복판에서 지하철을 타고 다니던 사진이 아직도 선명한데, 그 뒤로 한국에서의 공연을 하지 않았다는 사실도 종종 나를 슬프게 만든다. 아무튼, 나와 함께 커온 테일러 스위프트의 책이라니. 읽지 않을 수 없었다. 마치 ‘테일러 백과사전’ 같은 책이다. 읽는 동안 내 주변의 테일러를 좋아하는 사람에게도 선물해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을 테일러를 열정적으로 좋아하는 한 사람이 썼지만, 그렇다고 무조건적으로 테일러가 잘했다고 옳다고만 말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그 모든 것은 테일러다. 그런 점이 참 좋다. 이런 점이 내가 테일러를 좋아하는 이유다. 테일러도, 테일러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2006년의 테일러도, 2010년의 테일러도, 2019년의 테일러도 2025년의 테일러도 모두 테일러라고 여기며 그런 테일러를 좋아한다. 나도 마찬가지다.
“그것이 테일러다움의 핵심이다. 자아를 꾸준히 수정하는 것이 바로 자아다. 그녀는 자기 노래를 다시 쓰고, 앨범을 리메이크하며, 이미 자신이 테일러임에도 재수정한다. 가끔은 연민을 품고 가끔은 용서를 구한다. 그녀는 어른들의 방식처럼, 끊임없이 변화하는 관점에서 자신의 옛이야기들을 되돌아본다.”
“나는 이렇게 바뀐 곡이 더, 훨씬 더 좋다. 그러나 이 변화에서 상실을 느낀다거나 젊은 시절의 유대를 배신당했다고 생각한다면, 그래도 이해한다. 그러나 가수가 자신이 의도하지 않은 가사대로 노래해야 한다는 법은 없다. 그러나 또 다른 차원에서, 이것은 반칙일까? 글쎄, 당연히 그렇다. 그래서 어쩌라고? 자기 과거를 계속 어설프게 땜질하는 모습은 정말 스위프트답다. 자신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면 과거의 자신이었던 소녀를 배신하는 것일 테니.”
“그러나 테일러는 (다행히도) 본인이 고수하는 본질적인 괴짜 성향을 전혀 잃지 않고이 새로운 테일러를 계속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각양각색의 모든 테일러들은 실제로 존재하는 사람처럼 들린다. 이들은 모두 한 사람의 ‘까다롭지만 실존하는’ 여성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2022년 테일러가 말했듯 그녀의 음악에는 ”내 친구들과 열렬한 팬들 그리고 가장 까칠한 험담꾼들 그리고 내 인생에 등장했더나 떠나간 모두“가 포함되어 있다.”
이렇듯 테일러는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여 계속해서 자기 자신을 덮어 쓴다. 지우지 않는다. 과거의 테일러도, 지금의 테일러도 모두 테일러니까. 나의 과거를 많이 부정하는 편이었는데, 테일러가 삶을 대하는 자세를 보고 자라나면서 결국 과거의 나도 나니까 나 자신을 인정하며 더 나아가는 삶을 살기 위해 나 자신을 갉아 먹지 않으려고 하고 있다. 이렇듯, 단순히 좋아함을 넘어서 내 인생의 길잡이가 되어주기도 하는 테일러다.
300쪽이 넘는 썩 얇지 않은 이 책을 읽으며 많은 태그를 붙였지만, 마지막으로 이 한 부분은 꼭 서평에 담고 싶다.
“나는 내가 사랑하는 것들로 정의되고 싶어. 내가 미워하는 것들 말고. 또는 한밤중에 나를 괴롭히는 것들 말고.”
나에게 테일러는 청춘이자, 사랑이자, 맑음이자, 윤슬이다. 나에게 있어 맑은 단어들을 가득 담아 테일러에게 건네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