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인생이 겨울을 지날 때 - 얼어붙은 시간 속에서 희망을 찾는 법
캐서린 메이 지음, 이유진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은 겨울이다. 어느덧 나뭇가지에 달린 잎들이 다 떨어진 계절이다. 추워지기 시작하는 날 사실은 따스함이 그립다. 호호 하며 입김 불어가며 먹던 호빵과 오뎅 국물이 생각난다. 바깥에서 활동하기보다 실내에서 활동하기에 좋은 시절이다.

 

캐서린 메이의 우리의 인생이 겨울을 지날 때란 책은 이런 시기와 어울린다. 이 책을 읽으며 인생을 다시 돌아본다. 우리 인생이란 언제 해뜰날이 있었을까 싶다. 혹자는 터널을 지나면 빛이 보인다고 하지만 인생의 터널을 너무나 길기만 해서 빛이 잘 보이지 않는다. 때론 인생을 겨울에 비유하여 봄일 올 때까지 기다리자고 했지만 과연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라는 시의 제목처럼 인생의 겨울에도 봄은 오는가 란 질문을 던진다면 쉬이 대답을 하지 못할 것 같다.

 

책은 살아내는 인정 여정 같다. 우린 산다고 하지만 살아내는 것이다. 살아낸다는 이야기 속에는 끝없이 기다리고 기다리는 인고의 시간을 견디는 그런 과정이런 거다. 저자는 겨울의 한 시절을 살아낸 이야기를 그렸지만(그 안에는 여러 일들이 있었지만) 살아내는 인생 속에는 참 다양한 사건들이 많다.

 

저자도 배우자의 아픔을 겪었지만 나의 아내가 갑상선암이란 이야기에 충격이 아주 컸다. 아내와 만난 길거리에서 난 그저 아내를 안아주고 눈물 흘릴 수밖에 없었다. 지금 생각해도 인생의 큰 시련이었고 아픔이었다. 우리 삶의 아픈 순간들이 연이어 터질 때 이것을 온전히 받아들일 수 있을까. 사실 어렵다. 아무리 의식 속에서는 지금이 인생의 겨울이고 이런 추운 시절을 지나면 반드시 봄이 온다고 하여도 실제의 삶 속에 그렇게 희망을 갖고 살아가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이런 책이 필요할지도 모르겠다. 비록 인생의 겨울을 나고 있지만 그 속에서 희망을 찾고 희망을 노래하고 희망을 소망하며 바라보는 것 이것이 그나마 삶을 살아가게 하는 그리고 견디게 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겨울엔 때론 겨울잠이 필요할 수 있다. 겨울잠을 잘 수 있다면 그래서 아픈 기억을 한 순간이라도 잊을 수 있다면 조금은 더 행복에 가까울 수 있을 것이다. 아무리 추운 겨울도 봄의 따스함을 완전히 이길 수는 없다. 인생도 그런 시기가 올 것이다. 이런 희망을 안고 살아내는 법과 소소한 행복을 누리며 사는 지혜를 알아가는 것이 삶을 살아내는 데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란 속삭임에 한 번쯤은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맹자의 꿈 - 제왕학의 진수, 맹자가 전하는 리더의 품격
신정근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대마다 혼란스러운 시기가 있다. 요즘 세계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혼란스럽다. 국제 유가가 너무 많이 올라서 혼란스러운 시기도 있었고 전쟁으로 인한 혼란스러운 시기도 있었다. 이런 시기가 사실 리더가 출현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한 명의 리더가 중심을 잡고 모든 사람들이 리더를 중심으로 뭉쳐간다면 이런 혼란스러운 위기를 잘 극복해 나갈 수 있다.

 

신정근의 맹자의 꿈이란 책을 읽었다. 이 책은 맹자에 대한 내용인데 맹자란 것이 때론 책 이름으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맹자는 사람 이름이다. 맹자는 중국 역사상 가장 혼란스러운 시기인 전국 시대에 활동했다. 전국 시대란 진시황이 통일하기 전 일곱 개의 나라가 서로 패권을 차지하기 위한 다툼을 했던 시대였다. 이런 혼란스러움의 시기에 맹자가 등장한 것이다.

 

저자는 맹자를 통해 이야기를 전한다. 그런데 독특한 순서가 있다. 입문, 승당, 입실, 여언으로 이루어졌다. 입문은 우리 시대의 이야기를 통해 자연스럽게 고전과 연결시키고 승당은 원문 소개를 입실은 한자의 뜻과 풀이를 여언에서는 왜 이런 이야기를 하게 되었는지를 확인하며 이야기한다. 여언에서는 주로 저자의 주관적 맹자의 말 주석서라고 해야 하나 아니면 설명서라고 해야 하나 암튼 그렇다.

 

맹자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그리고 때론 보면서 우리 시대에도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은 많다고 생각했다. 다만 저자의 설명이 너무 장황한 나머지 맹자 본연의 글에 집중할 수 없다는 것이 이 책의 단점이라면 단점일 수 있겠다 싶은 부분이 있다. 맹자를 읽으면 이해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 친절하게 설명해 주는 것이야 좋겠지만 모르는 사람이 과도한 친절을 베풀면 오히려 부담스러운 것처럼 이 책이 그런 경우에 속한다.

 

맹자의 원문을 우리 말로 풀어서 장황한 주석이 아닌 간략한 소개로 끝난 책이 조금 어렵게 느껴진다면 이런 책이 도움이 될 것이다. 다만 한 편의 영화를 보고도 본 사람들간의 느낌과 감동은 차이가 있듯 맹자를 읽고 사람마다 각자의 방식과 생각대로 느끼는 것이 다르니 저자의 이야기에 꼭 따를 필요는 없다.

 

언제 읽었는지 기억도 나지 않는 맹자를 참 오랜만에 다시 살펴본 것만으로도 이 책이 내게 주는 가치는 충분히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두 사람이 걷는 법에 대하여
변상욱 지음 / 멀리깊이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론이란 무엇일까? 늘 티비에 보도되는 내용은 참 부정적이다. 사건 사고가 왜 그리도 많은지 그 모든 것의 중심은 늘 가진 것에 있다는 느낌이 든다. 요즘은 뉴스에서 가장 많이 보여지는 것은 대선 관련이다. 물론 코로나 변이인 오미크론에 대한 뉴스가 가장 먼저 나오긴 하지만 이것도 조금 지나면 묻힐 것이다. 

 

변상욱 기자의 두 사람이 걷는 법에 대하여란 책을 읽었다. 편하게 읽을 수 있는 글이지만 뭔가 울림이 있다. 특히 기억에 남는 구절은 박노해의 시를 인용한 온 하늘이 새의 길이듯이란 글이었다.

 

인생에 있어 정해진 길이 없다고 여겨지면서도 어쩐지 내가 정말 좋아하는 것은 무엇일까 싶었다. 사람들은 각자 자신의 자리를 잡아가는 것처럼 보이고 실제로 오랜 시간 자신이 해야 할 일이나 가야 할 길을 가는 그런 사람들을 보면 지금까지 무얼하며 살았나 싶어 서글플 때가 있다. 마치 처음부터 이 길은 내 길이 아닌가봐 하며 길 타령 아닌 길 타령을 하며 잘못된 길을 가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고 불안할 때가 많았다.

 

그러나 인생을 배우고 연습한 적이 없다는 저자의 이야기처럼 우리는 이 인생을 처음 살아본다. 여러 가지의 길 중 하나를 찾는 것이 아니라 어떤 길이든 바로 가고 서로에게 유익하도록 가야한다는 그 이야기엔 정말이지 인생을 헛되이 산 것은 아니었구나 싶었다. 그러면서 박노해의 잘못들어선 길은 없다를 소개해 주는데 정말이지 위안이 되었다. 잘못 살았기에 별 볼일 없다고 여겨졌던 지난 날의 인생이 아주 값진 것은 아니었을지 몰라도 최소한 헛된 삶은 아니었다는 확신이 들었다.

 

책에서 또 인상적이었던 것은 주목하지 않은 이름을 주목했다는 것이다. 무연고 사망자들의 장례 공지를 소개하며 덧붙일 이야기를 거의 하지 않고 가만히 공지만 소개한다. 누구도 기억하지 않는 이름을 기억한다는 것은 인간으로서 가장 기본적인 예의와 도리였을까. 먹먹함이 느껴졌다.

 

책은 아무런 희망이 없는 사람들에게 한 줄기 구원의 빛으로 나가온다. 조용히 그리고 은밀하게 속삭이는 글을 읽으며 내가 위로 받았던 것처럼 위로 받기를 바란다. 궁극적으로 저자가 꿈꾸는 건 타인을 위로하고자 하는 마음이 아니었을까 싶다. 마음이 아픈 사람들에게 감히 추천하고 싶은 한 권의 책이 더 생겼다. 힘내시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손경희의 수제청 정리노트 - 새콤달콤 나만의 홈카페 즐기기
손경희 지음 / 한국경제신문i / 2019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언젠가 잼을 직접 만든 적이 있었다. 은근 손이 많이 가고 과일도 생각보다 많이 들어가서 들이는 노력과 시간에 비례 한다면 그냥 사서 먹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했다. 물론 직접 만드니까 몸에는 더 좋다고 생각하고 있고 가격적인 측면에서도 메리트가 있지만.

 

수제 청은 한 번도 만들어 보지 못했다. 그래서 손경희의 수제청 정리노트를 통해 직접 도전해 보고 싶은 마음이었다. 무엇보다 잼 만큼 시간을 들지 않을 거 같다는 느낌이 있어서였다. 만드는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했다. 너무 간단해서 정말 이게 다야? 하고 몇 번을 들여다보았다. 그런데 정말 간단했다. 잼은 계속 수저로 저어 주어야 해서 정성이 필요한데 청은 그러지 않아도 되는 것 같았다. 

 

청을 만드는 방법은 과일을 자른 다음 유기농 설탕을 넣어 절인 다음 용기에 보관하면 끝이다. 설탕이 녹을 때까지 앞뒤로 흔들어주고 두껑을 열어 가스를 제거해 주고 이런 과정도 필요하다. 물론 과일에 따라 자주 수저를 이용하여 저어 주면 된다. 잼을 만드는 과정보다는 훨씬 간단했다. 이런 간단한 방법으로 청을 만들 수 있다면 그냥 집에서 만들어 먹는 것이 더 좋겠다는 생각이었다. 물론 아무리 간단해도 가장 기본적인 것을 소홀히 하면 안 되겠지만 말이다. 

 

천연 발효 식초라든지 건조 과일을 만드는 법이라든지 이런 것도 복잡할 것이 없었다. 발효 식초야 한 번쯤 만들어 놓아서 두고 먹으면 좋겠지만 건조 과일은 굳이 그럴 필요까지 없을 거 같았다. 그냥 과일로 먹으면 되니까. 

 

귤을 한 박스 샀다가 오랫동안 방치하다시피 하여 결국 잼을 만들게 되었다. 중간에 상해서 버리는 것들도 많았다. 그러면서 한 박스 단위로 혹시라도 사게 된다면 잼이나 청을 만들어 먹는 것도 좋겠다 싶었다. 이런 계기로 잼을 만들었고 청을 만들어 보려고 한다. 

 

저자의 정리노트를 보면서 간단하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사실 이건 경험에서 나오는 노하우다. 그렇기에 아무런 정보 없이 무턱대고 청을 만든다면 만드는 과정도 쉽지 않겠지만 막상 만들었다 해도 어떻게 보관해야 하는지 이런 것도 몰라 나중엔 먹을 수 없어 버렸을 것이다. 

 

청 만들기 노하우를 담은 이 책을 통해 여러 종류의 과일 청을 직접 만들어서 집에서 맛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기회가 된다면 다른 사람들에게 선물하는 것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을 이해하는 아름다운 수학 공식 - 예측 불가능한 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한 18가지 방정식
크리스 워링 지음, 고현석 옮김 / 21세기북스 / 2021년 11월
평점 :
품절


수학을 생각하면 선생님이 칠판에다 문제를 적고 난 다음  "오늘이 3일인가? 3번, 13번, 23번, 33번, 43번 나와서 풀어" 했던 그 순간 밖에 기억나지 않는다. 문제를 풀면 다행이지만 풀지 못하면 창피를 당하는 것은 물론이고 심지어 매를 맞기도 했으니 수학에 대한 기억은 가히 좋지 않았다. 수학이란 과목은 왜 존재할까 싶었고 더구나 중요과목 가운데 하나였기에 대학 진학을 위해선 포기할 수 없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점점 복잡해져 가는 공식에 따라 포기하는 반 친구들이 많았다. 

 

크리스 워링의 세상을 이해하는 아름다운 수학 공식이란 책을 읽었다. 책을 읽으면서 중고교 시절 무턱대고 공식을 외워 문제를 풀라고 하기 전에 어떤 상황을 만들어주고 여기에 수학 공식을 대비하여 그 상황을 해결하게끔 하는 문제를 주었다면 그래도 수학을 골치아프게 생각했을까. 십대 시절은 그래도 호기심이 있다. 이런 호기심을 자극하며 수학을 이야기로 혹은 재미있는 사례로 풀어갔다면 분명 골치 아프게 생각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물론 이 책에 나온 공식을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아니 한마디로 이야기해서 어렵다. 수학을 좋아하는 사람이나 수학에 관련된 학과를 전공하지 않는 이상 공식을 이해할 수는 없을 것이다. 더구나 공식을 적용시켜 해결하기엔 너무 난해하고 복잡하다. 다만 이런 상황을 이렇게 풀어갈 수도 있구나 하는 호기심은 충분히 자극할 수 있으니 수학 문제를 주고 무작정 풀라고 하는 것보다는 그나마 접근이 쉬워 수학 공식 하나라도 더 관심있게 보게 만든다. 사실 이렇게 보아도 무슨 말인지 이해가 가지 않지만 말이다. 

 

수학에 전혀 관심이 없던 사람이 하루 아침에 수학을 좋아하거나 잘 할 수는 없다. 수학에 관해 쉽게 씌어진 그리고 사례를 통해 수학적 사고를 하게 만드는 이런 책을 통해 수학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조금씩 키우게 된다면 수학이란 학문에 대해 호기심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은 수학을 전혀 모르는 사람들을 위한 책은 아니다. 공식 자체가 너무 어렵기 때문이다. 다만 수학에 관한 호기심을 조금이라도 키울 수 있는 책인 것 같다. 이런 호기심으로 세상을 볼 때 좀더 수학적인 아파트 건물과 건물 사이의 꼭지점을 연결하여 삼각형을 만들어 보기도 하는 이런 관심을 키우기엔 적합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