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인생이 겨울을 지날 때 - 얼어붙은 시간 속에서 희망을 찾는 법
캐서린 메이 지음, 이유진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은 겨울이다. 어느덧 나뭇가지에 달린 잎들이 다 떨어진 계절이다. 추워지기 시작하는 날 사실은 따스함이 그립다. 호호 하며 입김 불어가며 먹던 호빵과 오뎅 국물이 생각난다. 바깥에서 활동하기보다 실내에서 활동하기에 좋은 시절이다.

 

캐서린 메이의 우리의 인생이 겨울을 지날 때란 책은 이런 시기와 어울린다. 이 책을 읽으며 인생을 다시 돌아본다. 우리 인생이란 언제 해뜰날이 있었을까 싶다. 혹자는 터널을 지나면 빛이 보인다고 하지만 인생의 터널을 너무나 길기만 해서 빛이 잘 보이지 않는다. 때론 인생을 겨울에 비유하여 봄일 올 때까지 기다리자고 했지만 과연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라는 시의 제목처럼 인생의 겨울에도 봄은 오는가 란 질문을 던진다면 쉬이 대답을 하지 못할 것 같다.

 

책은 살아내는 인정 여정 같다. 우린 산다고 하지만 살아내는 것이다. 살아낸다는 이야기 속에는 끝없이 기다리고 기다리는 인고의 시간을 견디는 그런 과정이런 거다. 저자는 겨울의 한 시절을 살아낸 이야기를 그렸지만(그 안에는 여러 일들이 있었지만) 살아내는 인생 속에는 참 다양한 사건들이 많다.

 

저자도 배우자의 아픔을 겪었지만 나의 아내가 갑상선암이란 이야기에 충격이 아주 컸다. 아내와 만난 길거리에서 난 그저 아내를 안아주고 눈물 흘릴 수밖에 없었다. 지금 생각해도 인생의 큰 시련이었고 아픔이었다. 우리 삶의 아픈 순간들이 연이어 터질 때 이것을 온전히 받아들일 수 있을까. 사실 어렵다. 아무리 의식 속에서는 지금이 인생의 겨울이고 이런 추운 시절을 지나면 반드시 봄이 온다고 하여도 실제의 삶 속에 그렇게 희망을 갖고 살아가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이런 책이 필요할지도 모르겠다. 비록 인생의 겨울을 나고 있지만 그 속에서 희망을 찾고 희망을 노래하고 희망을 소망하며 바라보는 것 이것이 그나마 삶을 살아가게 하는 그리고 견디게 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겨울엔 때론 겨울잠이 필요할 수 있다. 겨울잠을 잘 수 있다면 그래서 아픈 기억을 한 순간이라도 잊을 수 있다면 조금은 더 행복에 가까울 수 있을 것이다. 아무리 추운 겨울도 봄의 따스함을 완전히 이길 수는 없다. 인생도 그런 시기가 올 것이다. 이런 희망을 안고 살아내는 법과 소소한 행복을 누리며 사는 지혜를 알아가는 것이 삶을 살아내는 데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란 속삭임에 한 번쯤은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