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순수국어 : 독서 (2025년) - 압도적 수능 1등급을 만든 초격차 국어 비법 ㅣ 순수국어 (2025년)
유민우 지음 / 싼타북스 / 2025년 2월
평점 :
도서를 제공 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강사의 시선이 아닌
학생의 시선에서 사고 방향을 풀어내
폭발적인 지지를 받아왔던 <순수국어>의
두터운 인기의 비결이 무엇인지 궁금했는데
책을 통해 국어비법, 그 이유를 알 수 있었다.
“글을 읽었는데 왜 문제가 안 풀리지?”
문제를 풀다보면 다들 이런 생각을 한번쯤 해봤을 것이다.
“당신은 글을 읽은 게 아니라, 그냥 눈으로 본 것뿐이다.”
생각 없이 훑기만 하면 그건 그냥 ‘스캔’일 뿐, ‘독서’는 아니다.
수능 국어는 단순히 글을 읽는 시험이 아니라,
‘문장 → 문단 → 전체 흐름’을 연결해 맥락을 잡는 싸움이라는 걸
<순수국어> 책을 통해 확실히 깨달았다.
단어 하나하나를 뜯어보는 것도 좋지만,
더 중요한 건 전체 문장을 어떻게 연결하느냐이다.
단어와 단어를 연결해 의미를 잡고,
문장과 문장을 연결해 맥락을 파악하고,
문단과 문단을 연결해 글의 흐름을 장악하는 것.
이걸 깨닫는 순간, 그동안 왜 문제 풀이가 막혔는지 깨닫게 된다.
저자의 설명이 너무 친절해서,
처음엔 어렵게 느껴졌던 개념들도 술술 이해가 된다.

책에서 정말 인상 깊었던 부분이 바로 ‘생각노트’ 작성이다.
귀찮게 이걸 언제 작성하고 있나... 이런 생각을 하고 책을 읽어나갔는데
생각 노트 작성을 하면 나의 부족한 점을 눈으로 확인하고 점검해나갈 수 있는 기반이 된다.
문제의 지문을 읽으면서 먼저 스스로 글을 정리해보고,
그다음 저자의 해설과 비교해보면
내가 어떤 부분에서 놓쳤는지,
어떤 정보를 캐치했어야 했는지 명확하게 비교가 된다.
생각노트 작성이 지금은 느리더라도 나중에는 글을 보는 눈이 달라질 것 같다.
나도 생각노트를 한번 작성해보았는데
처음에는 무엇을 적어야할지 막막하다가
일단 해보니 대충 감이 잡힌다.
역시 직접 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도 중요한 사실 한가지,
문제를 1:1 대응으로 풀지 않는 것!이다.
생각해보니 내가 예전에 이런 방식으로 국어문제를 풀었었다.
이런 문제풀이는 어쩔 수 없을 때
푸는 방식이어야지 기본 원칙이 1:1로 풀면 안된다는 것!!!
수능 국어는 글의 맥락을 통해
자연스럽게 답이 튀어나오게 문제를 만들기 때문에
맥락을 잡으면 문제를 잘 풀 수 밖에 없다.
이게 국어 능력의 본질이라는 말에 진심으로 고개가 끄덕여졌다.

이 책 한권만 제대로 이해하여
저자의 노하우를 따라가다보면
수능 국어 1등급은 문제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수능 국어가 막막하게 느껴진다면,
또 ‘왜 난 항상 정답에서 한 끗 차이로 밀릴까?’ 고민해본 적 있다면
이 책이 분명 좋은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