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스로 마음을 지키는 아이 - 믿는 만큼 성장하는 아이를 위한 심리 육아
송미경(힐링유).김학철 지음 / 시공사 / 2017년 5월
평점 :

첫 아이를 임신하고 엄마가 된다는 게 마냥 신기하기만하고 낳고 나면 모성애가 바로 생겨서 아이가 마냥 이쁜 줄 알았다. 하지만 모든게 서툴고 생활리듬도 깨지고 아이에게 어떻게 해줘야할 지 몰라서 의존하게 된 게 육아서였다.
전문가가 쓴 책이라 믿을 수 있으니 이대로 따라하면 되지 않을까하는 마음에 많은 육아서들을 읽고는 아이에게 적용해보려고 노력하기도 하고 우리 아이는 왜 이렇지 하며 조급해하고 불안함도 생기게 되게 되었다.
그랬다. 나에게 있어 육아서는 약이 되면서도 독이 되었던 것이다.
이제는 두 아이를 키우면서 육아서가 일종의 참고서로써 나에게 필요한 정보를 골라서 보게 되고 좋은 팁을 얻는 자료가 되었다.
이 책은 제목부터가 나의 눈길을 끌면서 믿는 만큼 성장하는 아이를 위한 심리육아라는 문구가 강하게 와 닿았다.
많은 엄마들의 지지를 받은 육아 블로거인 힐링유와 정신과 전문의 남편이 세 아이를 키우면서 함께 쓴 <스스로 마음을 지키는 아이>
힐링유 송미경씨가 남편의 조언을 듣기 전에 아이에게 행하는 육아의 모습은 나의 모습이기도 하였다. 그녀 역시도 아이를 위하는 마음으로 한 행동들이 오히려 아이가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잃어버리게 하는 것들이였다는 것을 옆에서 조언해주는 남편과 시아버지로 인해 알게 되고 실천하긴 어렵지만 그래도 자신이 변해야 아이가 변하는 걸을 느끼기에 힘들어도 노력하는 모습과 육아를 하면서 느끼는 솔직한 느낌을 표현한 글들은 공감도 되고 나의 육아를 뒤돌아보게 하였다.


아이가 스스로 마음을 지키며 자라기 위해선 공감과 존중이 중요하다.
알면서도 화가 나거나 힘들 땐 감정적으로 행동했으며, 공감 역시도 마음이 아닌 머리로만 이해하려고 했다.
내가 이 책에서 말하는 것 중 알아두면 좋은 중요 Tip이라 생각하는 것은
엄마의 감정과 아이의 감정을 구분하기,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알 수 있도록 도와주기, 청개구리 짓을 하는 시기가 오히려 책임감을 가르쳐 주기 좋은 시기로 정말 위험하거나 다치는 상황이 아니라면 아이의 자연스러운 발달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마음이론'으로 보통 만 5세(60개월) 전후로 상대방의 마음을 짐작하는 능력이 생기는데, 엄마들이 많이 하는 실수가 아직 그런 능력이 없는 아이에게 엄마가 감정대로 하여 아이가 그 순간 많은 기회를 잃게 되고 억울함과 화가 사라지지 않은 상태로 다 잊고 노는 것처럼 보이지만 예상치 못한 순간에 그것이 튀어나오게 되어있다.

징징대는 아이 달래는 방법으로 미션을 주어서 미션을 수행시 요구를 들어주고, 상의 부작용을 막기위해서는 상을 받을 수 있는 미션이 되도록 자신보다는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한다.
아이의 결정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 때 중간 중간 괜찮냐고 확인하지 말고 중간에 포기하더라도 비난하지 말아야 한다.

" 아이를 있는 그대로 봐 주세요.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인정해주고 수긍해주세요. 엄마의 욕심으로 아이에게 맞지 않는 옷을 입혀 놓으면 아이는 평생 그 옷에 갇혀 힘겨운 삶을 살게 될 것입니다." - 180p
자아가 형성되기 이전 즉 사춘기 이전까지 아이는 실제 자기 모습이 아닌 엄마가 건 최면때문에 왜곡된 자아를 형성하여 그것이 '진짜 나'라고 생활하다 실패를 경험하게 되거나 하면 좌절감으로 인해 힘들어하게 된다.
부모의 과도한 불안은 오히려 아이를 망치거나 왜곡된 삶을 살게 할 수 있으므로 엄마는 자신의 마음을 내놓는 작업이 정말 중요함을 느꼈다.
아이가 두려운 마음이 들 때 그 두려운 마음으로부터 도망가려 할 수록 오히려 끌려가게 되니 그 두려운 마음을 당당히 마주하고 들여다 보게 하여 '아~ 이게 별것 아니구나' 느끼게 해 주어야 한다.

사실 육아서를 읽을 때마다 느끼는 것이 "내가 할 수 있을까?" "우리 아이도 이렇게 하면 잘 클 수 있을까?" 하는 마음이 들고 내가 과연 잘하고 있는가하는 마음을 확인하기 위해 육아서를 찾는 경우가 많았다.
나는 육아에 있어 아이마다 기질이나 성향이 다 다르고 엄마와 아이의 코드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모든 육아서들이 강조하고 있는 내 아이의 눈빛을 바라보며 공감해주고 존중해주려는 마음과 일관성있는 육아원칙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 책에서 말하는 부분 중 가장 공감이 된 것은
엄마가 아이를 다루는 방식은 사실 엄마가 자기 자신을 다루는 방식의 복사본이다. 라는 것이다. 아이들은 부모를 보고 자라며 특히 많은 시간을 보내는 엄마가 최고의 스승이니 내 자신이 먼저 실천하고 아이가 스스로 잘해나갈 수 있다고 믿어주는 마음으로 아이의 많은 기회를 뺏지않도록 노력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