펭귄철도 분실물센터 펭귄철도 분실물센터
나토리 사와코 지음, 이윤희 옮김 / 현대문학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한번쯤은 기차나 지하철 혹은 버스 안에서 자신의 물건을 잃어버린 기억이 있을 것이다. 유실물이라하여 이러한 유실물은 주인이 찾아주기를 기다리며 '유실물 보관소'라는 곳에 보관되어 있다.

<펭귄철도 분실물센터> 역시도 사람들이 두고 내린 물건을 보관해서 주인에게 돌려주거나 주인이 돌려받기를 원치 않을 경우 폐기해주기도 하는 우리의 '유실물 보관소'와 같은 곳으로 다른점이라면 명칭이 분실물센터라는 것이다. 이는 '유실물 보관소'라 하면 왠지 느낌도 딱딱하고 발음하기도 어려울 뿐아니라 위치적으로 찾기 어려움이 있음으로 인해 명칭을 변경한 것이라는 점과 상상할 수 없고 보고도 믿기지 않는 아치형 머리띠같은 하얀 띠무늬와 오렌지색 주둥이 배는 하얗고 등은 검은 완벽한 투톤 컬러의 깃털을 가진 펭귄이 있는 곳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빨간머리의 훈남 역무원인 소헤이가 있다는 점이다.

"저기 .... 왜 역 분실물센터에 펭귄이 있어요?"

이 곳에 들어오는 분실물에도 각자의 사연을 담고 있다. 작가는 분실물이라는 단순한 소재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그 물건을 잃어버린 사람들의 사연이나 감정을 섬세하게 표현함으로써 결코 가볍지 않지않고 단순하지 않게 우리가 느끼도록 이야기하고 있다.

이 이야기는 잃어버린 물건을 찾아 분실물센터를 찾는 4명의 사람들의 이야기로 이 잃어버린 물건을 찾아줄 뿐만 아니라 빨간머리의 역무원인 소헤이와 펭귄을 만나면서 예기치 않은 일들이 벌어지면서 단순히 물건을 찾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이 그 동안 정말로 분실하고도 찾지 못했던 어쩌면 찾기를 포기했던 자신의 내면 속의 분실물을 찾아가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강한 여운을 준다.

4편의 이야기중 기억에 남는 장면은 2장. 팡파르가 들린다라는 편에서 현실세계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지 못하고 은둔형 외톨이의 생활을 한 겐이라는 인물이 소헤이와 함께 나누는 대화 장면으로
" 내가 지금 있는 곳이 내가 있을 자리라 생각하는 게 마음이 홀가분하고 마음으로 이어진 누군가를 소중히 여길 수 있게 되면 그 순간부터는 혼자가 아닌거야." - 169p
라고 말하는 부분에서 나는 과연 현실 속에서 나의 자리를 잘 찾은건가?하는 생각을 해보며 이 문구가 와 닿았다.

그리고 마지막 4장. 스위트 메모리스의 경우 자식과의 불화로 관계를 끊고 살던 아버지가 자식의 죽음과 뇌종양으로 기억을 조금씩 잃어가면서도 자식에 대한 사랑을 부정할 수 없음을 보여 주는 장면과 분실물센터에 왜 펭귄이 살게 되었는지 이야기하는 부분이 기억에 남는다.

이 이야기는 4편이 독립된 형태로 전개되는 듯 보이지만 하나의 퍼즐판의 조각들로 결국은 퍼즐조각들이 모여 한 편의 이야기가 되는 형태를 띤다. 각각의 이야기가 담고 있는 사연들도 감동적이지만 하나의 그림이 그려진 후의 장면 역시도 여운을 남기기에 작가의 표현능력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리고 펭귄과 빨간머리 역무원 소헤이가 주는 절묘한 재미는 작품을 돋보이게 하는 요소 중 하나였다.

잃어버린 소중한 물건과 마음을 찾아주는 조금은 특별한 분실물센터에서 이루어지는 기적의 만남!

그 감동의 순간을 느껴보고 싶다면 <펭귄철도 분실물센터>로 당신을 초대하고 싶다. 정말 이런 펭귄이 있는 분실물센터가 있다면 얼마나 신기할까라는 생각도 해보면서 이야기를 읽어간다면 더 재미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