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의 공허함,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다
장재형 지음 / 유노북스 / 201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공자는 마흔을 '불혹'이라 했다. '미혹되지 않는 나이'라는 의미의 불혹이라지만 요즘은 마흔에 접어들면서 불안함과 공허함으로 힘들어하는 이들이 많다.

어떤 이들은 그럴 것이다.
"마흔이 어때서 그렇게 의미를 두냐"고
100세시대라고 보자면 마흔이라는 나이는 한창 나이라고 하겠지만 대개는 마흔은 앞서 달려온 나의 삶과 앞으로 달려가야할 나의 삶을 돌아보고 고민해봐야 할 나이이기도 하다.

그저 지나가는 시간의 한 부분이라 여기며 그냥 그냥 세월을 보내는 이도 있을 것이고, 삶에 대해 새롭게 계획하고 도전하면서 '터닝포인트'로 삼아 인생 2막을 시작하는 이도 있을 것이다.
그런 가운데 느끼게 될 공허함을 그리스 로마 신화를 통한 지혜로 달래며 지내온 이가 전하는 <마흔의 공허함,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다>는 마흔을 맞이하는 이나 마흔을 지나온 이들에게 신화 속 삶이나 우리의 삶이 다르지 않음 보여 주며 신화를 보는 시각을 달리하면 읽는 재미도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방황하는 벨레로폰의 삶과 현재 우리의 인생은 닮은 점이 많다. '인간이란 존재는 너무나 나약하고, 그의 삶 또한 덧없음 그 자체구나'라고 느껴진다. 누구나 인생에 한 번은 시련과 고통이 찾아온다는 사실을 알고 있지만 막상 어려운 일을 당하면 어찌할 바를 몰라 막막해한다. 또 선택의 갈림길에 서 있을 때도 무엇을 택해야 할지 몰라 답답해한다. 어떻게 하면 길지 않은 인생을 후회 없이 살 수 있을까? (224p)

그리스로마신화에 등장하는 인물 중 한명인 벨레로폰은 모함을 당해 억울한 누명을 쓰게 되고 죽임을 당할 위기에 처하나 괴물 키미이라를 물리치면 그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키미이라를 물리치려면 날개 달린 말인 페가수스가 필요했고 벨레로폰은 아테나 신전에서 페가수스를 구하는 기도를 드리다 잠들고 꿈 속에서 아테나에게서 건네 받은 황금재갈 덕분에 페가수스의 주인이 되고 괴물도 물리치게 된다.
불행했던 인생에서 행복한 인생을 살게 된 벨레로폰은 오만함때문에 결국 제우스의 노여움을 사게 되고 그로 인해 남은 인생동안 방랑하는 삶을 살게 된다.

저자는 이처럼 그리스 로마 신화를 토대로 우리의 삶에 마주하게 되는 꿈, 사랑, 관계, 행복에 필요한 지혜와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고난과 역경을 이겨내는 모습을 통해 우리의 삶과 결부시켜 서술하고 있는 것이 이색적이라 여겨졌다.

사실 그리스 로마 신화를 제대로 읽어보지 못했다. 수많은 등장인물들의 이름에 지쳐서 신화 속에 담긴 메세지를 캐치하지 못한 것이다.
신화라 하여 신과 인간이 어떻게 같을 수 있을까하지만 그의 이 책을 읽다보니 신화 속 주인공과 우리가 다르지 않음은 그들도 욕망과 사랑, 고통과 역경 등을 겪고 이겨내거나 좌절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인생은 마음먹은 대로 되지 않을 때가 많다. 시간을 돌아보면 눈물이 나고 후회스러운 순간도 많다. 한쪽 날개가 부러진 채 마음이 혼란스럽고 정신이 혼미한 나날들도 있지만 지금부터 암울한 과거는 잊기로 결심하자. 꿈을 향해 끝없이 도전하는 이카로스처럼 비상의 날개를 펼쳐보는 진정한 영웅이 되어 보면 어떨까? (107p)

다시 한 번 읽어보고 싶다. 그리스 로마 신화를...
신화에 대한 나의 편견과 인식의 전환을 위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