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역사 - History of Writing History
유시민 지음 / 돌베개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를 이야기함에 있어 늘 들어오던 말이 있다.
"역사란 무엇인가?
이 질문에 답을 할 수 있는 이가 얼마나 될까? 세상의 수 많은 역사학자나 역사가 조차도 그 답을 찾지 못하지 않았을까?
그러하기에 유시민작가는 다르게 질문하길 권한다.
"사람들은 역사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위의 질문보다는 조금 쉽게 느껴지는지....

역사의 역사란 무엇인가? '인간과 사회의 과거에 대해 문자 텍스트로 서술하는 내용과 방법이 변화해 온 과정에 대한 이야기'다. 더 정확하게는 '역사 서술의 역사'라고 해야 하겠지만 편의상 간단하게 '역사의 역사'라고 하자.  (15p)

유시민의 <역사의 역사>라는 제목을 보며 이 책에는 어떠한 이야기가 담겨 있을까 궁금했다.
그가 유명해서, 그가 쓴 작품이 인기가 있어서가 아닌 '역사'라는 단어에 매료되어 집어들게 된 책이 <역사의 역사>였다.

이 책에서 언급되어지는 역사가와 역사서를 보며 내가 읽어본 책이 몇 권있나 훑어보면서 역사를 좋아한다고 했으나 그가 언급한 책에서 본 것이 한 두권 정도였다.
그마저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 채 읽은 것도 있었다.
그러기에 이 책에 대한 기대감이 컸다.

우선 역사학자와 역사가, 역사이론서와 역사서에 대한 개념 이해가 필요했다.
그가 설명해놓은 개념을 읽고 이해한 후 본격적인 역사가와 역사서에 대한 내용을 보게 되었다.

작품을 읽지 못했더라도 이름은 들어봤을 헤로도토스와 투키디데스.
그는 두 역사가의 태도와 서술 방식의 차이에 대해 면밀하게 짚어서 이야기해 주고 있으며, 서술의 차이는 있지만 이 두 사람의 공통점이라면 서술에 있어 공정성을 기했다는 점이다.
헤로도토스의 경우는 그리스와 페르시아를 공정하게 대했고, 투키디데스는 델로스동맹과 펠로폰네소스동맹을 공정하게 다루었는데 어느 한쪽으로 감정적으로 편들어 편향적으로 기록되었다면 그들이 저술한 역사서가 인류의 자산으로 기억되지 못했을 것이다.

역사는 역사가의 목적과 사실, 사실에 대한 해석과 역사가의 상상력이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복합적 피드백의 산물이라 본 카는 매우 간결하고 우아한 문장으로 그 생각을 표현했다. "역사란 역사가와 그의 사실들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의 과정이다."  (48p)

이 상호작용에 있어 '서사의 힘'이 발휘되는 것이다.
'서사의 힘'은 역사서뿐 아니라 모든 글로 표현하는 장르에서 강조되고 중요시되는 부분이다. 아무리 훌륭한 글이며, 다작을 남겼다고 하더라도 독자에게 지적 자극과 정서적 공감을 주지 못하면 그 작품은 세상에 존재했는지 조차 모르게 사장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인물과 사건이 역사의 뼈와 살이라면, 제도와 문화는 혈관과 신경이다. 사회와 시대를 입체적으로 재현하려면 제도와 문화를 함께 보아야 한다. (75p)

60억킬로미터 넘게 떨어진 곳에서 촬영한 지구는 말 그대로 우주의 어둠 속을 떠다니면서 태양 빛을 받아 희미하게 보이는 '창백한 푸른 점'에 지나지 않는다. (286p)


그는 자신의 견해를 이야기할 때 비유적인 표현을 간혹 쓰기도 했다. 적절한 비유적 표현은 글을 읽는 재미를 줄 뿐 아니라 좀 더 쉽게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가 언급한 역사가와 역사서 중 생소한 인물이 있었는데 <역사서설>을 쓴 이븐 할둔이라는 역사가였다.
그에 대해 설명하고 이야기하는 부분 중 눈에 띄는 구절이 있었다.

역사학자는 많은 자료와 다양한 지식, 예리한 시각과 철저한 조심성이 있어야 실수와 오류를 피하고 진실에 도달할 수 있다. 전해오는 정보를 액면 그대로 믿고 관습의 원리, 정치의 법칙, 문명의 속성, 인간 사회에서 발생하는 여러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거나 비슷한 시기의 자료와 비교하지 않는다면 진리의 길을 벗어나 발을 허디디게 될 것이다. (88p)

이 부분은 할둔의 역사서를 집필함에 있어서의 자세를 보여줄 뿐 아니라 역사를 기록하고 연구하는 이들에게 일침을 가하는 말이 아닐까 싶다.
수 많은 문헌 기록 속에서도 가치있는 내용과 그렇지 않은 내용이 있을 것이며, 편향적이거나 검증되지 않은 내용들이 있을 것이기에 그에 대해 무조건적인 믿음이 아닌 비판적이고 비교가능한 자료를 찾아서 심사숙고하여 기록하는 자세가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랑케를 표현함에 있어 대단한 역사학자이자 볼품없는 이야기꾼이라 말한다.
'있는 그대로의 역사'로 유명한 그의 서술 방식과 '배운 사람'이라야 겨우 알아들을 수 있는 단어들을 자주 썼던 그의 문체를 보자면 저자의 표현이 그럴듯하게 느껴졌다.

역사가 역사를 쓰는 사람의 철학과 연구 방법에 따라 얼마나 크게 달라질 수 있는지 새삼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절대적으로 옳은 역사, 과거에 있었던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역사란 존재할 수 없다는 사실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202p)

<역사의 역사>의 곳곳에는 저자의 역사관과 역사에 대한 통찰에 관한 견해가 담겨 있다. 사람에 따라 판단 기준이 다르겠지만 대체로 그가 언급하고 있는 역사에 대한 생각은 역사를 배울 때나 접할 때면 하게 되는 생각과 의문이였기에 공감이 되는 부분이 많았다.

<역사의 역사>는 단순히 역사학자나 역사가의 서술 태도나 방식에 관한 이야기가 아닌 총 9장에 걸쳐서 우리에게 역사의 변천을 보여 주고 있으며, 역사를 기록함에 있어서의 한계와 그로인해 빠질 수 있는 함정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이 책 속에 제시되어 있는 역사서들을 새로운 시각에서 볼 수 있게 해 주었다.

이 책의 모든 내용을 읽고 난 후 서문에서 밝히고 있는 저자의 집필 의도를 다시금 보았다.

역사가 무엇인지 또 하나의 대담을 제시해 보려는 의도는 없다. 위대한 역사가들이 우리에게 전하려고 했던 생각과 감정을 듣고 느껴봄으로써 역사가 무엇인지 밝히는데 도움이 될 실마리를 찾아보려 했을 뿐이다. (5p)

역사는 사람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기에 모든 사람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 역사학자, 역사가가 아닌 역사를 애호하는 일반인들에게도 역사는 단순한 학문의 한 분야가 아닌 삶을 살아가는 처세술이요. 잘못된 역사를 반복하지 말라는 경고의 메세지가 아닐까?
단순히 역사서를 읽는 것에 그칠 것이 아니라 역사서에 담긴 역사가의 시각과 주관적 견해 및 당시의 시대상을 고려하여 제대로된 역사의식을 기르는 것이 중요함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