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도리, 인간됨을 묻다
한정주 지음 / 아날로그(글담)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는 그렇게 한자에 담긴 뜻을 하나 하나 떠올리며 제 스스로 '인간됨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고민하고, '인간의 도리란 무엇일까?'에 대해 질문하고, '나는 얼마나 인간답게 살고 있는가?'에 대해 성찰해 본 결과가 담겨있습니다. 인간으로서 지켜야 할 최소한의 도리란 무엇인지에 대해 잠시나마 함께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책을 펴내며)

어느 나라의 글자에나 그 구성과 의미에 깊은 뜻이 담겨 있다.
단순하게 보이는 상형 문자도 그 자체만으로도 뜻이 있고 의미가 있지만 글자가 합쳐지면서 깊이나 의미가 달라지기도 한다.
특히 한자의 경우는 더 그렇다고 할 수 있다.

한자의 구성과 뜻을 깊이 들여다보고
그 안에서 인간다움에 이르는 길을 찾다.

저자가 이 책을 통해 우리에게 말하고자 하는 메세지는 맨 앞장의 '책을 펴내며'에서 밝히고 있다.
60개의 한자를 통해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과연 인간답게 살아가는 것인지를 알려주는 그의 이색적인 접근이 나의 마음을 사로 잡았으며, 중학교 때 한문선생님을 떠올리는 시간이 되었다.

중학교 때 한문선생님은 늘 수업이 시작하게 되면 녹색 칠판 가득 수업 때 배울 한자를 빼꼭하게 적으셨다.
단순히 한문 한자를 쓰는 게 아니라 그 글자가 어떻게 만들어지게 되었는지를 분해하여 적어서 부수의 이해를 통한 의미 이해를 추구하셨다.
그 선생님 덕분에 한자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을 뿐 아니라 경전이나 한문으로 기록된 사료들을 보면서 해석하는 재미를 느낄 수 있었다.

<인간도리,인간됨을 묻다>는 선생님의 수업 방식과 비슷한 형식을 띠면서도 차이라면 '인간 도리'와 관련한 한자의 구성과 뜻을 통해 삶에 대한 성찰의 시간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부끄러울 치(恥)를 시작으로 해서 어려울 난(難)을 끝으로 하고 있는 이 책은 60개의 한자와 관련한 '인간됨'에 대한 고사성어나 중국 고전 속에 담긴 일화를 살펴보면서 진정한 인간 도리가 무엇이며, 그를 위해 우리가 가져할 자세를 생각해보게 한다.

오히려 사람은 누구도 완전하고 완벽한 존재가 될 수 없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불완전하고 불완벽한 자신조차도 긍정하면서 '자기답게 사는 것'이 훨씬 더 지혜롭고 현명한 삶이라고 하겠습니다.
(완전할 완(完) - 완정함을 좇지 말고 불완전함을 긍정하라 / 155p)

재물과 권력과 명예는 자기 안에서 찾을 수 없는 것입니다. 그것들은 다른 사람이 나에게 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반면 도리는 내 안에 찾을 수 있는 것입니다. 그것은 다른 사람이 나에게 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편안하다(安)'는 밖에서 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내 안에서 구할 수 있는 것입니다. 만약에 그렇게 한다면 반드시 '스스로 편안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196p)

단순한 한자가 아닌 하나의 글자의 형태로 우리에게 알려진 한자어가 어떠한 글자들이 합쳐져서 이러한 의미를 형성하였는지 알아가면서 한자어를 새롭게 느껴지기도 하고 그냥 그런 뜻인가보다 생각하며 그 깊이를 알지 못했던 부분들에 대해 알게 되면서 세상을 보는 시야도 조금은 달라지고 배우게 되었다.

"지금 우리는 얼마나 인간답게 살고 있는가?"
인간답게 라는 말이 가지고 있는 무게가 오늘따라 무겁게 느껴진다.
사실 '인간됨'이 무엇인지 모르지는 않다. 알지만 언행일치가 되지 않을 뿐이다.
오랜 세월이 지났음에도 고전 속에 담긴 내용들은 시대는 변했지만 변하지 않아야 하는 것이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삶이 바빠 앞만 보고 달리느라 주변을 돌아볼 여유가 없이 지내고 있는 현대인에게 잠시 자신과 주변의 타인들도 돌아보는 시간을 가지면서, 열심히 사는 것만이 중요한 것이 아닌 삶을 가치있게 사는 것이 중요함을 일깨워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