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야상곡 미코시바 레이지 변호사 시리즈 2
나카야마 시치리 지음, 권영주 옮김 / 블루홀식스(블루홀6)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속죄의 소나타」 그건 전초전에 불과했다.
미코시바 레이지, 그에 대해 알려주는 전초전이자 진정한 '속죄'의 의미를 한 번쯤 생각해보게 했던 작품이였던 「속죄의 소나타」
드디어 2탄이 나왔다. 그리고 미코시바의 매력에 빠져 들게 하는 묘한 작품이며, 나카야마 시치리 작가의 필력 덕분에 몰입도와 가독성이 최고였던 작품이였다.

미코시바 레이지
그는 실력은 최강, 평판은 최악인 불량변호사이다.
포커페이스에 능한 인물로 그의 표정을 통해 무언가를 알아내려는 이들에게는 헛수고라고 말하는 편이 나을 것이다.
악질이더라도 돈이 많은 자산가라면 OK였던 그가 이번에는 돈도 없고 승산없는 싸움에 변호를 하겠다고 자처하고 나서면서 모두를 놀라게 했다.

쓰다 아키코 사건 - 주부 아키코의 남편 살해 사건
남편을 살해한 아키코는 두 아이의 엄마로 파트타임 일을 하며 가정을 꾸려가던 주부였다.
경제 활동을 하지 않고 할 의지가 없으면서 아이들과 자신에게 폭력까지 행사하는 남편에 대한 분노가 쌓여 살해했다는 그녀.
그런 그녀를 변호해서 무죄 판결을 받아 내거나 최소한 감형을 받아서 아이들 품으로 빨리 돌려보내려는 마코시바.
아키코는 재력이 없고 볼 것도 없는 자신을 변호하려는 이유가 뭐냐 묻자 미코시바는 유명해지기 위해서라는데...

나도 궁금하다. 돈이 되는 일에만 변호를 했던 그가 왜 자선사업가도 아니면서 재력도 없고 생활에 찌든 얼굴로 삶의 의지마저 없어보이는 그녀를 변호하려는건지....
아니 이전과는 다른 선택을 한 것인지...
이것도 혹 과거의 자신의 잘못에 대한 속죄를 위함일까?

의문의 남자, 미코시바 레이지
그가 궁금하다. 그리고 빠져들게 된다.
분명 그는 용서받을 수 없는, 현실 속에서 그를 만났다면 나 역시도 그를 이해할 수도 이해하고 싶지도 않을만큼의 파렴치한 범죄 경력을 가졌다.
어두웠던 과거만큼이나 현재의 화려함 뒤에 그는 아직도 어둡고 냉혈한 인물이다.
하지만 이야기가 진행될 수록 그에게 빠져들게 된다.

이 작품의 관전포인트는 심리전이 아닐까?

미코시바 VS 아키코
자신에게만을 진실만을 말하라는 그와 들키면 안된다. 의심을 사서도 안된다. 경계를 늦추지 말자.
들춰서 밝히려는 그와 무언가를 숨기고 있는 그녀의 심리전은 이야기가 끝이 날 때까지 계속된다.
그녀가 숨기려는 것은 뭘까? 말 못할 사정으로 범인을 자처하는 것은 아닐까? 들켜서도 들어나서도 안되는 진실은 무엇일까?

미코시바 VS 미사키
변호사와 검사의 대결로 포커페이스에 능한 미코시바를 상대로 결코 지지않는 인물인 미사키, 두 사람의 법정 공방과 법정을 벗어나 사건을 두고 불꽃튀는 심리전을 벌이는 모습은 작품을 읽는 내내 흥미롭고 긴장감마저 들게 했다.

이번 작품에는 어느 정도 예상가능한 반전과 전혀 예상 못한 대반전이 담겨 있다.
이것은 나카야마 시치리 작가의 트릭 중 하나가 아닐지...
예상이 가능한 반전을 주면서 이것으로 끝이 나는가 싶었는데 모든 것이 밝혀진 상황에서 또 다시 반전을 내보이며,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님을 보여주는 묘미와 전편과 연결이 되는 진정한 '속죄'의 의미를 다시금 상기하고 생각해함이 담긴 「추억의 야상곡」

음악이 누군가에는 추억을 상기시키는 것이기도 하지만 누군가에게는 기억하기도 떠올리기도 싫은 일을 다시금 생각나게 하기도 한다.
이야기의 중반에 등장하는 '쇼팽의 야상곡'은 아키코에게는 외롭고 무서웠던 시절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행한 어떠한 잊고 있던 기억의 파편 한 조각을 떠올리게 하는 '추억의 야상곡'이였다.

「추억의 야상곡」은 미코시바 레이지의 법정 대활극으로 법정이라는 신성한 장소로 포장된 도박판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본래 증거와 논리로 다투는 법정에서 미코시바의 속임수와 심리전이 미사키의 기분을 언짢게 하는 모습은 상대방의 표정에서 심리를 읽어내는 게임인 도박을 연상케하였다.

그리고 이번 작품은 시사하는 바도 컸다.
언론에 보도되는 사건들의 단편적 사실 속에는 우리가 모르는 속 사정이 있기에 섣푸른 판단으로 그들을 비난하거나 멸시해서는 안됨을 상기시켜주는 작품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