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스토옙스키의 명장면 200
석영중 지음 / 열린책들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스토옙스키 작품에서 불안,고립,권태,권력 등 12개 항목에 맞는 명장면을 뽑아 저자가 주석 비슷하게 달아 엮은책.
아직 못읽은 작품도 많고 읽은 작품들도 이런 구절이 있었나 싶었지만 공감되는 부분이 많았다.

『지하로부터의 수기』, 제2부제1장에 대한글
나만 뒤처졌다는 생각만큼 인간을 불안하게 만드는 게 없다. 유행에 뒤처졌다는 생각, 네트워크에서 배제되었다는 생각, 무언가를 향한 기다란 줄에서 낙오되었다는 생각, 이른바 포모FOMO 증후군은일상을 뒤흔든다. 지하생활자의 경우 전체에 대한 경멸과 고립에대한 공포는 동일한불안의 양면이다.p37

도스토옙스키는 고립을 악의 조건이자 악의 결과로 본다. 악행과 고립은 우로보로스처럼 맞물려 있다. 그에게 고립이란물리적으로 혼자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여럿이 있으면서도 서로 간에 아무런 공감이나 유대가 없는 상황을 의미한다. 그래서 오로지 자기만을 위해 무언가를 끝없이 쌓아 올리는 축적 행위가 그에게는 고립의 일면이 된다. 한 가지 흥미로운 것은, 도스토옙스키는 고립을 항상 구체적인 공간으로묘사했다는 점이다. 고립된 인물들에게 할당된 비좁고 누추한 공간은 고해상도로 찍은 그들 마음속 사진이다.
반면 고독은 실존을 지속하기 위한 철학적 거리 두기이다. 파스칼은 <인간의 모든 불행은 단 한 가지 사실, 즉 그가 방 안에 조용히 머물러 있을 줄 모른다는 사실에서 유래한다)고 했다. 인간답게 살기 위해서 우리는 고립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러나 인간다움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고독을 수용해야 한다.
인간이 할 수 있는 가장 위대한 일 중의 하나가 고독을 전 존재로 내면화하는 일일 것이다. 이때의 고독은 사실상 절대자를 받아들이기 위해 내 안을 비우는 행위라 할 수 있다. 아이러니하게 들리겠지만, 이것이 가능해지기 위해서는 타인을의존이나 집착이나 위로나 증오나 경멸의 대상이 아닌 있는그대로, 신이 창조한 온전한 존재로서 인정하는 행위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런 고독이야말로 진정한 독립이다.
p45

『백치』, 제3부 제2장
『백치』의 주인공 미시킨 공작이 현실의 무게에 짓눌리며 살아가던 어느 날 하는 생각이다. 스토리 전개와는 크게 관계없어 보이는이런 대목들은 도스토옙스키 읽기가 간혹 묵상의 단계로 올라가야함을 말해 준다. 스위스는 공작이 실제로 거주했었던 지도 위의 공간이자 그의 상상력이 지어낸 낙원이기도 하다. 그를 사로잡은 <오로지한 가지 생각이란 무엇일까. 관념으로 표현할 수 있는 선 아닐까..
어마어마하게 아름다운 공간과 어마어마하게 긴 시간은 하나로 합더 쳐져서 선의 시공간이 되는 게 아닐까. 선의 시공간을 인간의 상상력으로 만들어 내려면 절대 고독이 필요한 게 아닐까.p75

권태는 대단히 광범위하고 복잡한 개념으로 책 한 권으로도다 담아내기 어려운 깊이와 넓이를 지닌다. 도스토옙스키가소설에서 진지하게 다룬 주제 중 가장 덜 연구되고 동시에 가장 어려운 것이 권태다. 권태라는 커다란 개념 속에는 목적 없는 삶, 나태, 무감각, 정체, 실존적 공허, 심리적 마비, 불변, 타성, 단조로움, 안주, 범속성, 평범성 등이 들어간다. 이것들은모두 추악하거나 사악하다.
아주 간단히 설명하자면, 인생은 기본적으로 다람쥐 쳇바퀴돌듯 단조롭다. 그 어떤 변화도 오랫동안 지속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존재의 의미는 기본적으로 그 역동성에 있다. 그러므로 인간이 만일 단조로움에, 혹은 평범함에 그대로 안주한다면 그것은 인간적임을 포기하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인간이 단조로움을 못 견뎌서 자극을 끝없이 찾는다면 그것은 악행으로 귀착한다. 여기서 평범한 일상>의 복잡한 측면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평범한 일상 자체는 좋은 것도 나쁜것도 아니다. 선한 것도 악한 것도 아니다. 그러나 인간이 단조로움을 어떤 식으로 수용하느냐에 따라 평범한 일상은 최고의 축복이 될 수도, 반드시 빠져나와야 할 수렁이 될 수도있다. 시몬 베유도 비슷한 말을 했다. <단조로움은 이 세상에존재하는 것 중 가장 아름답거나 가장 추악한 것이다.〉p79

악령 제1부 제 5장
공포를 전혀 모른다>는 이 한마디로 도스토옙스키는 니힐리스트들의 우두머리 스타브로긴을 규정한다. 완벽한 허무와 접한 인간,권태의 극에 도달한 인간은 실존에 의미를 부여하는 모든 것을 상실했으므로 공포조차도 초월한다. 그런 인간에게는 타인이라는 존재자체가 아예 부재한다. 완벽한 무감각과 무관심과 무위가 그의 특징이다. 스타브로긴을 통해 도스토옙스키는 권태가 왜 악인지를 보여 준다. 체호프는 말했다. 〈무관심은 영혼의 마비이자 때 이른 죽음이다.)p85

그렇다, 인간은 불멸이다! 인간은 모든 것에 익숙해질수 있는 존재이며, 나는 이것이 인간에 대한 가장 훌륭한정의라고 생각한다.
『죽음의 집의 기록, 제1부 제1장
나는 이것이 도스토옙스키가 발견한 가장 중요한, 그러면서도 가장 섬뜩한 사실 중의 하나라 생각한다. 삶에의 의지는 모든 것을 압도한다. 인간은 거의 모든 것에 적응할 수 있다. 삶의 지속을 위해서라면 인간은 무엇이건 다 할 수 있다. 인간에 대한 칭찬만은 아닌 것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