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턴의 아틀리에 - 과학과 예술, 두 시선의 다양한 관계 맺기
김상욱.유지원 지음 / 민음사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같은 키워드에서 뽑아낸 다른 전공자의 관점들, 상호교감이나 콜라보는 없음.
김상욱 교수님 다른책은 찾아보고 싶게 만든 책




20세기 말에 인간은 결국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소통 방법을 찾아냈다. 우리는 여전히 길을 오가며 만나는 사람들을 물체대하듯 서로 피해 다니지만, 가상공간에서 만난 사람에게는 오랜 친구를 만난 듯 속내를 털어놓기도 한다. 정보화 시대는 자본주의의 욕망보다 소통에 굶주린 인간의 본성이 만들어 낸 결과물인지도 모른다. 인터넷을 통한 소통은 우리를 행복하게 했을까? 적어도 현대인의 외로움은 치료해 주었을까? 사람들이에드워드 호퍼의 작품에 여전히 열광하는 것을 보면 답은 ˝아니오.˝인 것 같다.p54


˝과학의 눈으로 볼 때,
문질로 이루어진 우주에 인간이말하는 의미나 가치는 없다.
중력에 의한 물체의 낙하자체는 아름다운 일도 불행한일도 아니다. 낙하하는 것이낙엽일 때 아름답고, 유리잔일 때불행하다. 가치는 인간이 임의로부여하는 것이다.˝p185

하나의 경로만 정상으로 간주하면, 개인의 고유성은 소외된다. 그런 기준으로부터 상정되는 평균이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 같은 것이 아닐까? 이 침대는 거의 모든 사람들을 부적격자로 만든다. 애초에 침대를 사람에게맞춰야지, 왜 사람의 키를 침대에 맞춰 늘였다 잘랐다 고통을 주는가? 특정한 기준에서는 정의되지 않는 능력들, 경제적 가치로환원되지 않아 사장되는 다채로운 재능들을 놓친다면 그것은사회적인 낭비가 아닐까?p2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