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의 마지막 공부 - 마음을 지켜낸다는 것 다산의 마지막 시리즈
조윤제 지음 / 청림출판 / 201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저자의 이전 저작들에 비해 책 제목과 소주제들이 그닥 매칭된다는 느낌이 들지않지만 책에 소개된 좋은 글귀들은 한번씩 되새겨볼 만하기에 모아본다.

《도덕경》에는 ˝만족할 줄 알면 욕됨이 없고, 멈출 줄 알면 위태롭지 않아서 오래 갈 수 있다(지족불욕, 지지불태, 가이장구知足不辱, 知止不治, 可以長久)˝ 라고실려 있다. 만족할 줄 안다는 것은 스스로의 환경과 처지를 인정하고 받아들일 줄 아는 겸손을 기반으로 한다. 멈출 줄 아는 것은 감정이나 욕망이과잉이라고 판단되면 더 이상 휩쓸리지 말고 잠깐 멈추고 스스로를 돌이켜보는 용기다. 화가 솟아오를 때는 한 번 호흡을 가다듬고, 슬픔에 무너질 때는 무심하게 주위를 둘러보고, 쾌락에 이끌릴 때는 잠깐 멈춰 선다.
이렇게 상황과 그 상황 속에서의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라는 작은 신호를 스스로에게 주는 것이다. p40

자존심이란 타인이 나를 무시했을때가 아니라 스스로가 자신에게 거는 기대에 도달하지 못했을때 부끄러움을 느낄줄 아는 감정이다.p123

하늘이 사람들에게 준 것 중에 가장 공평한 것이 시간이다. 어떤 부유한 사람도, 최고의 권력을 가진 사람도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은 시간을가질 수 없다. 아무리 비천한 사람도, 어려운 상황에 처한 사람도 마찬가지다. 그 시간 중에서 오직 우리의 것이라고 할 수 있는 것, 우리의 뜻대로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오늘, 현재뿐이다. 과거는 이미 지나갔으니 우리 것이라 할 수 없다. 미래 역시 아직 오지 않았다. 마치 외상처럼 당겨 쓸 수도없으니 역시 우리 것이 아닌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오직 우리의 것인 오늘에 충실해야 한다. 바로 오늘, ‘내면의 성실함‘을 채워가야 하는 것이다.
사람의 혀나 펜에서 나오는 말 중에 가장 슬픈 것은 ˝그랬더라면 좋았을텐데˝라고 한다. 결코 고칠 수 없는 과거를 후회하며 오직 내 것,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오늘을 허비하고 있기 때문이다.p128

주변을 바꾸고 싶다면 자신부터 바꿔야한다.스스로를 바꾸고 싶다면 마음부터 지켜야한다.p134

지식은 시간이 지나면서 머릿속에서 사라진다.그러나 공부하며 축적해갔던 사유의 시간만큼은 머리가 아닌 몸에 새겨진다.

생각하는대로 살지 않으면 사는 대로 생각하게 된다˝는 말도 있다. 유대인의 지혜서《탈무드》에서도 ˝책을 읽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당나귀가 책을 잔뜩짊어지고 가는 것과 다를 바 없다˝고 하면서 성찰 없는 지식의 축적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다.p211

소년등과 , 어린 나이에 출세하는 것. 석부형제지세, 권세있는 부모형제를 만나는 것, 유고재능문장, 재능과 문장이 뛰어난것, 오늘날 가장 큰 행운이라고 하는 세 가지가 긴 인생에서 보면 오히려불행이 된다는 것이다. 젊어서 일찌감치 출세 길에 올라 명성을 닐리던 뛰어난 사람들이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추락하는 요즘의 현실이 이를 잘보여주고 있다. 하늘로부터 받은 재능이나 운보다는 차곡차곡 내실과 실력과 경험을 쌓아서 이룩하는 것이 진정한 성공이 되고, 이러한 경륜이 있어야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는 소중한 통찰이다.p250~251

《여씨춘추》에는 ˝사람들은 산에 걸려 넘어지지 않지만 개미 뚝에 걸려 넘어진다˝ 라고 실려 있다. 크고 중요한 일에 집중하면서 작고 사소한 일은 경시하는 사람들을 깨우치는 글이다. 모든 큰일은 작은 일을 소홀히 함으로써 일어나기에 큰일을 하고 싶다면 작은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사람의 미래는 평상시의 모습에서 드러난다.p26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