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부격차없이 적어도 부정없는 시험을 통해 자신의 능력에 의해 시험을 통과하고 직업을 가지며 성공하는 것은 공정하다고 생각해왔다. 공부안하면 성공할수없고 부자도 될수없어라는 말은 공공연하게 어릴때부터 우리 머리에 각인되었다.
그런데 이 책에서 마이클 샐던은 이러한 능력주의의 폐해로 부의 양극화와 고학력 세습화,승자의 오만과 패자의 굴욕 등을 지적하며 우리에게 뭔가 빠진걸 찾아보라고 한다.

‘스카이캐슬‘이라는 드라마는 극단적인 면을 너무 부각했지만 최근 서울대 입학생 통계만 보더라도 부유한 집 아이가 성적이 더 좋은것으로 나타나며 암암리에 성행하던 입시부정이 공직자 자녀를 통해 수면에 드러나기도 했다.

그는 대학입학을 일정 수준의 지원자를 걸러 뽑기를 하자는 제안을 하기도 한다 (그럼 그 일정수준은 또다른 능력의 잣대가 되는거 아닌감?).

능력주의적 오만에서 벗어나 운의 개입을 인정하고 겸손해져야 하며 직업의 귀천이 없어져야하고 공공선을 실현해야 한다고 역설하지만 과연 가능한 일인가 자문해본다.

최근 차이나는 클라스에 출연한 강연영상도 찾아봐야 겠다.

 능력주의 이상의 어두운 면은 가장 매혹적인 약속, 즉 ‘누구나자기 운명의 주인이 될 수 있고 자수성가할 수 있다‘는 말 안에 숨어 있다. 이 약속은 견디기 힘든 부담을 준다. 능력주의의 이상은 개인의 책임에 큰 무게를 싣는다 - P67

 운의 윤리는 인간의 이해와 통제력을 벗어나는 삶의 차원을 중시한다. 세상이 반드시각자의 능력에 맞는 보상을 주지는 않기 때문에, 인생에는 신비, 비극,
겸손함이 있어야 한다고 본다. 다음과 같은 〈전도서〉의 내용은 이런 윤리의식을 잘 표현한다. "내가 돌이켜 해 아래서 보았다. 빠른 경주자라고 먼저 도착하는 것이 아니다. 강한 자라고 싸움에 승리하는 것이 아니다. 지혜로운 자라고 음식을 얻는 것이 아니다. 명철한 자라고 재물을 얻는 것이 아니다. 기능을 갖춘 자라고 은총을 입는 것이 아니다. 이는 때와 우연이 이 모든 자에게 임함이로다.
- P7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