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 25 | 2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말이 필요 없다. 이번 방학에 제일 잘한 일은 돈키호테1, 2권을 읽은 거다. 두꺼운 책을 볼 때마다 뭔가 숙제 같았는데 독서모임 발제자로 읽었기에 더 깊이 있고 여러 번 훑어 읽을 수 있었다.

1권에서는 돈키호테가 좀 바보같은 면도 있고 워낙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가 많이 버물어져 나와서 뒷부분은 힘겹게 책장을 넘겼는데, 2권은 정말 재밌었다! 하루에 100쪽씩 8일만에 읽기 프로젝트였는데 더 읽으면 더 읽었지 못 읽어낸 날은 없을 정도로 이야기 자체도 재미있고 무엇보다 돈키호테와 산초를 정말 좋아하게 된 것이다. 캐릭터에 이렇게 정이 들기는 처음인 거 같았다. 2권은 이들의 이야기만 나와서 더 재미있었다. 그리고 메타 소설적인 부분-10년의 공백 중 나온 다른 작가의 돈키호테를 까는 부분-도 있어서 진짜 재밌었다.

발제를 위해 번역가의 해설서도 읽었는데 이것도 대부분은 넓은 시야를 같게 해주는데 도움이 되었다.

그 흔하고 많던 기사소설은 다 사라졌지만, 그 패러디로 사회를 풍자한 돈키호테는 살아남았다. 어떤 책은 이렇게 오래 살아남는 걸까 생각하다 <열하일기>도 생각이 났다. 그당시를 앞서가는 파격이 그 원인이 아닐까 싶었다.

중간에 있던 나의 생일엔 돈키호테가 지나갔던 고장에서 생산된 스파클링 와인과 스페인 감자칩을 먹었다. 돈키호테 발자취 따라 스페인 여행 다시 가고 싶은 뽐뿌도 막 왔다. 너무 무식한 상태에서 스페인을 다녀 왔구나 싶었다. 돈키호테도 안 읽고 말이다.



돈키호테는 무모하게 풍차에 뛰어드는 미친놈이 아니라, 약한 자들을 지키고 싶어하는 맘 따뜻한 옆집 아저씨라는 것을 알게 되어 기쁘다. 돈키호테와 산초는 사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위화의 <허삼관 매혈기>(이하 <허삼>)를 먼저 읽고 옌렌 커의 <딩씨 마을의 꿈>(이하<딩씨>)을 나중에 읽었을 법한데, 이 반대의 순서로 읽었다. 그러다보니 <허삼>은 삶의 페이소스가 있는 책이건만 나에겐 그저 가볍게만 느껴지는 것이었다. 나름의 해피엔딩이어서 더 그런 것일 수도 있다. 허삼관은 병에 걸리지도 않았고 그저 나이에 맞게 쇠약해져 간 것뿐이니까 말이다. 사실 중간에 큰아들 살리려고 지역을 이동하며 피를 뽑을 때는 허삼관이 죽으면 어쩌나 걱정이 되었는데, 이것도 너무나 비극적인 <딩씨>의 영향이 아니었나 싶다.

단연 올해 책읽기의 충격적 경험은 <딩씨>가 아니었나 싶다. 사실 중간에 한 번의 위기가 있었는데, 친구가 추천해준 책이라-그리고 사실 그 친구가 평소 나보다 더 깊이 있는 책읽기를 하는 친구가 아니라서-그가 읽으먼 나도 읽지하는 마음으로 다시 책을 집어 들었는데 정말 다 안 읽었으면 어쩔뻔했냐 이말이다. 옌렌 커는 처음 접하는 중국 작가인데 중국에서 왜 싫어하는지 알 것 같았다. 돈에 미치면 인간이 어디까지 악랄해질 수 있는지 너무 잔잔하면서도 슬프게 보여주는 소설이었다. 소재가 워낙 충격적인데, 실제로 이런 마을이 있었다고 하고 이 실태를 알리다 중국의 미움을 받아 미국으로 망명한 의사도 있다고 한다.

중간에 엉엉 운 부분도 있었는데, 어떤 부분에서 많이 슬퍼하는지를 정확히 알게 되었다. 예전에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을 읽고 엉엉 울었던 마음과 정확히 일치했다. 그리고 옌렌 커에게 너무 반해서 이 작가를 유명하게 해준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도 읽고 있는데 여자가 배신할까봐 조마조마하며 뒷이야기 못 읽는 중.. 하.. 읽어야 하는뎅. 배신하면 너무 속상할 거 같다. 이 책 영화화도 되었다고 하는데, 미친듯이 글을 잘 썼지만 나는 <딩씨>가 훨 백배 나은 거 같다. 사랑의 문제보단 인간의 깊은 내면과 사회를 다룬 이야기를 더 흥미있어하는 사람이 된 것이다. 몇 년만에.

암튼 중국은 왜 이리 피를 뽑고 난리였는지 궁금했는데 아마도 수출하지 않았을까 싶다고 역사전공 친구가 말해주었다. 피 뽑으면 주는 돈이 꽤 큰 금액이어서 중국 내에서 환자들에게만 쓰는 거라면 그렇게 큰 돈을 줄 수 있을까 싶었다-사실 현재 우리나라만 해도 헌혈은 봉사지 돈을 주진 않으니까 말이다. 하긴 환자는 돈으로 사긴 하지. 좀 이상한 시스템이네-근대기의 중국 매혈에 대해 관심이 생기기도 했다. 그래서 워낙 유명한 <허삼>을 읽기 시작했단 거다. 몇 시간 안되어 후루룩 읽어낼 수 있을 정도의 가벼운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목포여행 중 들른 목포시립도서관
높은 곳에 있어 오르기는 어렵지만 경치는 좋다.
사람이 매우 적어 한산한 느낌마저 든다.
도서관은 어디를 가든 집같은 느낌이 든다.
해외여행을 갔을 때도 그럴까? 잠시 생각해 보았지만, 책이 국어로 되어 있어야 할 것 같다.

<어느 정신과 의사의 명상 일기>는 기대 이하였다. 1월과 12월만 읽었는데, 하루 10~20분씩 집중 명상을 해서 뭐 어쩌란 말이냐. 좌선 시간만 있을 뿐 삶이 없다. 서양의 정신과 의사라고 해서 이렇게 허접한 책을 내다니? 그리고 번역이 되어 내 손까지 오게 되다니 인생은 불공평하다. 내 수행 일기가 훨씬 읽을게 많겠다. 이렇게 생각하며 고개든 나의 에고를 알아차린다.ㅋㅋㅋㅋㅋ

<여학교의 별>은 재밌을 거 같지만 호떡집 문여는 시간이 다가와서 얼마 못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 25 | 2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