셸터 - 집으로 쓴 시!, 건축 본능을 일깨우는 손수 지은 집 개론서 로이드 칸의 셸터 시리즈 1
로이드 칸 지음, 이한중 옮김 / 시골생활(도솔) / 2009년 8월
평점 :
품절


최근의 부동산 광풍, 그 중에서도 특히 아파트에 대한 투기열풍을 보면서 과연 집이라는 것은 무엇인가, 에 대해서 자주 생각해 본다.

언젠가부터 인구밀도가 매우 높은 우리나라에서 집의 개념은 단지 쉬고, 잠자고, 가족이 함께 하는 시간을 통한 에너지의 재생산을 도모하는 장소가 아닌 재테크의 수단으로 전락한지 오래다.

사실 어린 시절을 시골에서 보낸 나에게는 높다랗게 서 있는 아파트는 집의 개념으로 인식되긱까지는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아무리 작더라고 마당이 있고, 대문이 있고, 현관문을 열고 나서면 언제라도 흙을 밟을 수 있는, 그런 곳만이 집이라고 세포에 각인되었기 때문이다.

사회속에서 살아가면서 생활의 편리를 위해서 현재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지만, 언젠가는 인생의 휴식기를 자연과 더불어 흙을 친구삼아 살아가리라는 야무진 계획은 비단 나만의 꿈은 아니리라.

얼마전부터 부쩍 환경문제가 정치권에게까지 거론되기 시작하면서 에너지 고갈 문제 또한, 우리 인류의 미래를 암울하게 화두로 빈번하게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생활의 편리만을 추구해온 작금의 우리네 생활방식은 아무리 과학의 비약적인 발전에 기댄다고 할지라도 커다란 위협을 받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이다

이 책 셸터는 우리에게 강력히 말한다.

' 직접 하시라, 게으름뱅이들이여! 하면 된다!

 필요에 의해서건 결단에 의해서건, 앞으로는 자기 손으로 하는 일이 부활할 것이다. 사람에겐 그러한 능력이 있으며, 타고났지만 숨어 있는 그런 재능이야말로 앞으로 우리의 가장 귀한 자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단순한 집, 자연에서 구한 재료, 인간의 타고난 능력을 다루고 있다. 동시에 발견, 땀 흘려 하는 작업, 자족의 기쁨, 해방을 이야기한다. 셀터는 단순히 비를 가리는 집 그 이상의 무엇이다'

정말 대단하지 아니한가.

이 책의 저자 로이드 칸은 집 짓는 목수이자 작가이자 건축책 출판인으로서 올해 75세로 두 세대에 걸친 문화적 충격을 모두 체험한 자급자족 장인이라고 한다. 그는 유용하면서 사람을 행복하게 하는 건축을 찾아다니면서 모은 자료로 1973년에 이 책 <셀터>를 펴냈고, 건축관련 책으로는 이례적으로 25만부나 팔리게 되었으며 또한, 손수 자기 집을 지으려는 사람들에게 필독서로 꼽히고 있다고 한다.

여기서 잠깐 셸터의 의미를 짚어보자면, 거주 유형 가운데 비바람과 볕을 막아주고 몸을 보호해주되 영구주거보다는 일시적 대피, 또는 임시 주거의 느낌이 강한 말이나, 여기서는 사람이 무엇가를 짓고 사는 데 얽힌 모든 것을 포괄적으로 담아내는 것의 의미를 갖고 있다. 이 책에서는 소박한 주거문화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또한, 더 나아가 동물의 보금자리까지도 셸터의 범위 안에서 다루고 있기에 살아 움직이는 모든 것이 비와 더위와 추위를 견디기 위해 무엇인가를 이용한다면 그것이 바로 셸터라고 말하고 있다.

 

이 책에는 정말로 매우 다양한 민족들의 동굴, 천막, 오두막에 대한 설명과 사진이 잘 정리되어 있고, 재료에 따른 주거의 형태도 다양하게 소개되어 있다.

이렇게나 다양하고 자연환경에 어우러지는 집이 있다는 것이 신기할 정도이며 인간의 능력은 과연 어디까지인지 새삼 놀라고 감탄하게 된다. 국가별로 간단한 소개도 되어 있는데, 우리나라의 초가지붕의 용마루도 몇 줄 언급되어 있어 반가웠지만, 일본편에 속해 있어 아쉬움이 컸다.


집은 결국 우리 피부의 외연이라는 저자의 표현에 깊이 공감하기도 하며, 아파트의 콘크리트가 주는 낯설음과 차가움이 이해가 되었다.

집짓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그림과 친절한 설명은 그 집에 대한 이해를 높여줄 뿐 아니라, 직접 짓고 싶은 마음을 들게 한다.

또한, 집을 짓는데 필요한 재료로 나무나 볏짚, 콘크리트 외에는 특별히 생각나는 것이 없었으나, 이 책에 나오는 세계의 집들은 대나무, 풀, 어도비, 돌, 흙, 너와, 갈대, 이엉, 건초블록, 켄버스 천 등 정말 너무도 다양한 재료들이 자연환경과 어우러진 집을 짓는 재료로 사용되고 있었다.

 

자연의 셸터라고 소개된 부분에서 거론된 호주의 사막에서 살고 있는 한 토착민 할머니의 얘기는 자못 감동스럽기까지 했다. 그녀는 옷을 입지 않은 채 애완견 열다섯 마리와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는 샘을 찾아다니며 살고 있는데, 밤이 되어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면 누운 그녀위에 개들이 몸을 포개고 아침에 되어 개들이 일어나면 행복한 미소를 지으며 그녀가 기지개를 켠다고 한다.그녀에게는 애완견이 셸터였던 것이다. 참, 동화같은 이야기가 아닌가.


 

대부분의 동물은 셸터가 엄격히 '밖에' 있지도 않고 '안에' 있지도 않다. 안과 밖을 엄하게 구분하는 것은 근대인의 나쁜 버릇이다. 우리는 집안에서 스웨터나 외투를 걸치기보다는 난방을 한다. 우리는 모두 석유중독자이며 그 때문에 '셸터' 그 자체의 생생한 힘을 잃어버렸다. 자연의 셸터는 닫혀 있는 캡슐이 아니다. 그보다는 걸러내고 골라내고 균형을 잡아주는 활발한 막에 더 가깝다.(193p)




이 책에서 가슴에 담아야 할 내용은 바로 이것이다. 삼천리 금수강산에서 자급자족으로 지혜로운 삶을 살아왔던 우리민족이 급격한 산업화의 길을 걸으면서 비록 경제발전은 이루었을지는 몰라도 삶의 질까지 향상되었다고는 당당히 말할 수 없는 이 시점에 이 책을 한번쯤은 모두가 만나봤으면 좋겠다. 유럽에서는 에너지 절약이 추운 겨울에도 핫팩이용하기, 두터운 스웨터입기 등으로 생활화되어있다고 하는데, 한겨울에도 반팔로 지내며 에너지를 낭비하는 우리나라의 생활습관은 꼭 바뀌어야 할 것이다.

이 책을 만나게 된 것은 내게 있어 행운이었다. 앞으로 나만의 삶을 꾸려가는데 나름의 지표가 되어줄 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